- 감정노동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사회학적, 경제학적 연구에 치중되어 있어 감정노동에 대한 법리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임.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로기준법,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남녀고용평등 및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등 각각 개별적으로 ...
- 감정노동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사회학적, 경제학적 연구에 치중되어 있어 감정노동에 대한 법리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임.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로기준법,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남녀고용평등 및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등 각각 개별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법적 보호 규정들을 검토하여 감정노동 근로자에 대한 법적 보호 현황 및 판례와 외국의 입법례 등을 연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감정노동 근로자들의 법적 보호방안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감정노동이라는 정의 자체가 사회학적 용어로서 법학적 연구를 하기에는 포괄적이고 개념적인 느낌이 있음. 법학적 연구를 위해서는 그 정의방식과 적용대상 및 범주가 중요함. 따라서 외국법제 연구를 하면서 해당 국가별 감정노동의 정의방식과 감정노동자의 범주도 검토 및 소개함.
- 현행 우리나라 법제도 하에서는 감정노동에 대한 보호 방안을 규정하고 있는 단일법은 존재하지 않음. 따라서 근로기준법,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남녀고용평등 및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등 각각 개별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법적 보호 규정들 및 관련 판례들을 검토함.
- 미국은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제조업의 고용이 지속적으로 하락한 반면 정부의 경제활성화 정책에 따라 서비스업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면서 서비스업의 고용이 1970년대 후반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함. 미국은 2010년 기준으로 서비스업이 전체 산업의 80% 가까이 차지할 정도로 증가하였고, 오늘날 서비스 선도국가가 되었음. 이와 같이 서비스업의 발달과 그에 따른 서비스업 종사자가 증가하면서 미국에서는 감정노동에 대한 문제가 일찌감치 논의되었음.
-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현재까지의 논의 현황을 살펴보면서 감정노동의 개념과 사업장에서의 감정규칙, 그리고 실제 근로자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검토, 분석하여 감정노동이 어떻게 육체노동이나 정신노동과 같이 법의 보호영역에 들어올 수 있는 노동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살펴볼 것임. 또한 현재 국내에는 미국의 감정노동과 관련한 판례가 소개되고 있지 않은데, 미국 법원의 감정노동 관련 판례를 추적하여 감정노동이 현재 법의 영역에서 어떻게 평가, 판단되고 있는지를 분석할 것임.
- 독일에서 감정노동(Emotionsarbeit 혹은 Gefühlsarbeit) 역시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콜센터 근로자, 간호 업무 나 돌봄노동에 종사하는 근로자, 대민 업무 종사 근로자들의 정신적․육체적 건강보호 문제와 관련하여 사회학,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많이 논의되고 있음.
- 독일에서는 감정노동자의 법적 문제와 관해서는 대표적으로 독일기본법상 보장되는 중요한 기본권인 인격권과 근로관계상 근로자 보호의 문제를 검토하고, 노동보호법(Arbeitsschutzgesetz), 일반적동등대우법(Allgemeines Gleichbehandlungsgesetz) 등을 중심으로 관련 법리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
- 이탈리아에서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는 주로 사회학, 심리학, 의학적 연구와 관련되어 있음. 법리적 연구는 충분히 논의되고 있다고 할 수 없으나, 서비스업이 발달한 국가인 만큼 이탈리아의 감정노동 관련 개별 보호법과 관련 판례 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시사점을 도출함.
- 관광업과 패션 등 서비스업이 발달한 프랑스의 경우 감정노동에 대한 단일 보호법은 존재하지 않으나 2002년 직장에서 정신적 침해를 금지하는 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음. 이 법은 ‘근로자의 권리와 존엄을 훼손하고 직업 장래를 위협하는 반복적인 정신적 괴롭힘을 받아서는 안된다’라고 규정하고 있어 프랑스법 및 판례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에 적합한 시사점을 도출함.
- 일본에서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는 주로 개호노동의 직무평가와 관련되어 있음. 다만, 연구 중 “感情労働と法”이라는 제목으로 특히 보육, 간호, 개호 분야의 근로자들을 중심으로 그 노동 실태와 감정노동이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지를 밝히고 있는 연구가 있음. 특히 노동시간, 임금, 근로환경에 주안점을 두고 현행 일본 노동법적 규제의 방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있음.
- 일본에 관한 비교연구에서는 일본의 학자들이 감정노동을 정의하고 있는 방식과 기본적 인식, 감정노동에 접근할 수 있는 법의 영역, 그 법의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감정노동에 대한 법의 적용과 평가를 중심으로 할 것임. 이와 함께 일본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감정노동으로서의 개호노동에 관한 연구를 통해 법적 관점에서 감정노동을 평가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시사점을 함께 검토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