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중국의 자동차 산업에서 현지 기업의 기술혁신과 전략변화 연구
A Study on the Technology Innovation and Strategic Change of Local Automobile Makers in Chin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3049460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2 년 (2015년 11월 01일 ~ 2017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최병헌
연구수행기관 국립공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춘열(영남대학교)
최의현(영남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지난 4월 21일 상하이 모터쇼에서 중국 로컬 기업들이 다양한 유형의 신차를 공개하자, 국내에서는 한국 자동차의 절반 가격에 훌륭한 디자인을 갖고 있다며 ‘국내 산업이 위기’라는 지적이 나왔다. ‘중국 자동차는 아직 멀었다’고 말하고 싶어도, 거대한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한 중국기업의 성장과 세계 1위의 한국 휴대폰마저 제쳐버린 중국 스마트폰 기업이 등장하는 상황에서 명확한 근거 없는 낙관론은 설자리를 잃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중국 자동차 산업 그중에서도 현지 기업의 기술혁신과 기술추격을 분석하고, 이들의 기술력과 중국내 영향력이 한국 자동차 산업에 위협이 될 수준으로 높아질 것인가를 전망한다. 지금까지 중국 기업과 산업의 기술력을 평가한 연구는 R&D 투자, 특허출원, 생산성관련 대리변수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특허를 기술적으로 분석하고, 핵심부품의 개발사례를 추적하여 외부기술의 내부화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로컬 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와 달리 기술적인 부분에서 분석이 가능한 것은 사회과학적 방법론에 공학적 방법론을 첨가하였기 때문이다.

    중국 기업의 기술혁신에 관한 연구 중 자동차산업에 관한 국내외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중국 자동차 산업의 발전이 국제적인 관심사이기는 하지만, 다른 국가에 비해 한국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기 때문에 한국 입장에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이론들을 중국 자동차 산업에 적용시키는 한편, 한국과 한국 기업의 관점에서 중국 자동차 산업의 핵심적 이슈를 분석하여, 장차 한국 자동차 산업의 대(對)중국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연구가 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자동차 산업은 한국의 대표적인 주력 산업이지만, 아직까지 선발 주자들을 추월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중국 기업의 기술력이 빠르게 향상되고 있다는 소식은 우리에게 위기의식을 갖게 한다. 본 연구는 중국 자동차 산업과 기업의 기술경쟁력을 기술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과 한국 기업의 관점에서 위기의 본질을 명확히 정립하고자 한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기술혁신 및 기술추격 이론을 중국 자동차 산업에 적용하고, 로컬 자동차 기업의 저비용 혁신과정과 경로창출형 기술추격의 발생 가능성을 분석한다. 또한 현실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첫째, 중국 자동차의 기술경쟁력 분석, 중국시장에서 한국 자동차와의 경쟁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둘째, 차세대 자동차 시장 및 세계시장에서 향후 경쟁력을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기업 중심의 완성차 산업뿐만 아니라 중견기업 중심의 부품산업이 글로벌 전략을 수립하는데 적지 않은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방법론에서 사회과학분야 연구에 공학적 분석방법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향후 후속연구에서도 실질적인 융합 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허 자료를 활용하여 각 산업에서의 경쟁력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늘어나고, 중국의 각 산업이나 기업 분석에서 본 연구의 방법론이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중국 자동차 산업의 기술혁신과 현지 업체의 전략변화를 분석하여 한국 경제와 한국 기업에 대한 미래 성장 및 경쟁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사회과학연구에 비해 차별적인 방법론을 사용한다. 첫째, 개별 기업의 엔진 개발 사례를 통해 중국 기업이 기술혁신 과정을 통해 외부로부터 기술을 내부화하였는지 분석한다. 둘째, 특허 데이터를 이용한 기술적 분석이다. 본 연구는 WIPSon DB를 통해 중국 로컬 자동차의 특허를 각 세부 부품별, 특허출원국가, 특허시기별 등으로 세분화하고, 핵심적인 특허의 유무를 파악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단순히 특허의 수량을 R&D의 척도로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분명한 차별성이 있다.

    셋째, 중국기업의 특허에 정량적 가치를 부여한다. 특허란 독창성을 인정한다는 것이지 그 기술이 다른 특허에 비해 기술적으로 우위에 있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중국 기업의 특허를 한국 기업의 특허와 비교하여 특허에 대한 기술적, 경제적 가치를 부여하는 연구는 우리 연구팀의 기계공학 전문가가 담당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해 중국 자동차 산업의 기술혁신 과정을 분석하고, 로컬 기업에서 저비용혁신 발생 과정과 동력을 파악할 것이다. 또한 기술적 분석을 통해 향후 중국이 미래형 자동차 개발에서 단계생략형 추격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한국 기업과 경쟁관계는 어떻게 될 것인지를 내다보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 '중국의 자동차 산업에서 현지 기업의 기술혁신과 전략변화 연구'의 목적은 중국 자동차 산업, 특히 현지 기업의 기술혁신과 기술추격을 분석하고, 현지 기업의 기술력과 중국 내 영향력이 향후 한국 자동차 산업과 기업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전망하는 것이었음. 이에 본 연구는 1차 년도에 네 가지 성과; 첫째, 기술 혁신과 추격 및 도약에 대한 이론연구와 선행연구 검토, 둘째, 중국 자동차 산업구조와 특징 분석, 셋째, 중국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정책에 따른 자동차 수요조건 및 공급조건의 변화, 넷째, 중국 현지 자동차 기업들에 대한 특허 및 혁신 능력을 분석하였음. 아울러 본 연구 2차 년도에는 첫째, 미래형 자동차 모델 개발에서 한국, 일본, 중국 기업들의 기술 혁신능력 분석, 둘째, 전기자동차 사업에서 중국 현기 기업들의 경쟁우위 요인 분석, 셋째, 전기자동차 산업에서 중국 신생기업들과 기존 기업들의 사업전략 분석, 넷째, 세계 전기자동차 산업에서 중국 기업들의 영향력과 주도권 획득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음.
  • 영문
  • The research object of the study, “A Study on the Technology Innovation and Strategic Change of Local Automobile Makers in China” was to analyze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echnology catch-up of Chinese automobile industry, especially local makers, as well as to expect their technology capabilities.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Chinese automobile makers on Korean automobile industry and makers in the future. Overall four achievements of the study in the first year cover; firstly, to do the theory review and former studies for technology innovation process with catch-up and leapfrog, secondly,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automobile industry, thirdly, to look into the vehicle demand and supply condition changes which caused by electric vehicle (EV) industry promotion policies of China, fourthly, to do the patent analysis for Chinese local makers in accessing their innovation capabilities. In the second year of the study, the achievements include; firstly, to access Korean, Japanese and Chinese makers’ innovation capabilities for future oriented new vehicle launch, secondly, to analyze the competitive advantages of Chinese makers in the electric vehicle business, thirdly, to review the business strategies of Chinese vehicle makers and EV (electric vehicle) startups, fourthly, to expect the possibility for taking an initiative by Chinese vehicle makers or EV startups in global EV indust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 '중국의 자동차 산업에서 현지 기업의 기술혁신과 전략변화 연구'의 목적은 중국 자동차 산업, 즉 현지 기업의 기술혁신과 기술추격을 분석하고, 이들의 기술력과 중국 내 영향력이 한국 자동차 산업에 위협이 될 수준으로 높아질 것인가를 짚어보는 것이었음. 기존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기술 특허를 분석하고, 핵심부품의 개발사례를 추적하여 외부기술의 내부화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중국 현지 기업들의 기술경쟁력을 평가하였음. 우선 이론적 측면에서 기술혁신과 기술추격 이론을 중국 자동차 산업에 적용하였고, 현기 기업들의 저비용 혁신과정과 경로창출형 기술추격의 발생 가능성을 살펴보았음. 또한 실무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중국 자동차 기업들의 기술경쟁력 분석, 중국 시장에서 한국 자동차 기업과 경쟁관계를 검토하였고, 차세대 자동차 산업과 세계시장에서 경쟁상황을 전망하였음. 아울러 중국 자동차 산업의 기술혁신과 현지 기업들의 전략변화를 분석하여 향후 한국 자동차 산업과 기업들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고 있는 전기자동차 사업에서 중국 기업들의 사업전략과 사업모델 및 해외에서 제휴와 창업, 인수합병 등 기업전략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음.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술적 측면
    - 중국 자동차 제조업의 혁신 능력을 분석하기 위해 국제특허사무국(WIPSon) DB를 통해 중국 현지 기업들의 특허 출원 추이와 엔진과 변속기의 특허 출원 현황 및 전기자동차 관련 특허를 살펴본 것은 학술적으로 희소성을 지닌 시도였음.
    - 중국 현지기업들의 특허 집중도와 특허 시장력 및 경쟁력을 지수화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한 것은 연구방법의 명료성과 객관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음.
    - 기술 혁신과 경영전략 측면에서 기술 특허 출원 현황과 추이를 바탕으로 자동차 제조업체의 혁신능력을 분석한 것은 향후 융복합 산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기업들의 혁신능력 분석에도 매우 유익한 연구방법이 될 것임.
    - 중국 지역학 관점에서 본 연구 결과는 차세대 자동차 개발, 특히 전기자동차 산업에 대한 중국 정부의 개입과 성과, 한계에 관한 구체적인 함의를 제시하였으며, 이는 향후 중국 정부 개입에 관한 제도적 요인 분석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임.
    - 블루오션 전략 관점에서 중국 자동차 부품기업, 완샹(Wanxiang)과 대만의 종합 전자기업, 폭스콘(Foxconn)의 전기차 사업 진출을 분석한 것은, 학술적으로 블루오션 전략을 적용한 사례연구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
    - 이는 향후 전기차와 같은 융복합 산업에서 블루오션 전략을 추구하는 기업들에 대한 훌륭한 선행연구 자료가 될 것임.
    2. 실무적 측면
    - 중국 전기차 산업의 전략집단 형성 관점에서 전기차 사업에 관여하고 있는 중국 기업들을 자동차 제조업 연관성 및 전기차 사업 전개 지역(중국 내수시장, 해외시장) 등 두 가지 변수로 네 그룹으로 분류하고 함의를 도출한 것은 앞으로 국내외 전기차 스타트업(Startup)들의 기업전략과 사업전략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
    - 차세대 자동차 개발에서 중국 기업의 특허 출원 현황을 검토함으로써, 중국 현지기업의 실질적인 기술 혁신능력을 가늠할 수 있음. 아울러 전기차 중심의 차세대 자동차 개발전략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한중 양국간 공동연구 개발 과제 및 협력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음.
    - 중국에서 자동차 산업과 IT, 온라인 산업간 융복합 현상과 트렌드를 이해하고, 3대 온라인 포털, 즉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의 기업전략과 다각화 전략을 파악하여 향후 중국 자동차 산업에서 나타날 변화 동력을 전망함.
    - 차세대 자동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중국 정부의 개입 및 정부 주도형 산업발전 모델의 성과와 한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중국의 차세대 융복합 산업에 진출하려는 기업들에게 정부 개입 변수의 리스크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
    - 중국 내 권역별 전기자동차 산업 클러스터(Cluster) 발전 현황과 주요 기업들을 파악하고, 향후 각 권역별 장단점과 성장 잠재력을 도출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
    3. 교육적 측면
    - 국제경영학에서 중국 자동차 산업발전 현황과 특징, 현지 기업들의 전기자동차 기술혁신에 관한 사례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 국제통상학에서 중국 기업의 기술혁신과 특허 출원이 한중간 교역에 미치는 영향 관한 사례연구와 실증분석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 국제경영전략에서 중국 IT, 온라인 기업들의 다각화 전략과 유형 및 사업전략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블루오션 전략의 적용방법과 시사점 도출에 관한 강의자료가 될 것임.
    - 중국지역학에서 중국 정부 개입과 산업정책 및 제도적 요인이 차세대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한계를 파악하고, 중국이 지닌 독특한 제도적 요인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데 유익한 자료가 될 것임.
  • 색인어
  • 중국 자동차 기업 혁신, 중국 자동차 기업 전략변화, 중국 자동차 산업 특허, 중국 전기자동차 사업, 비야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