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단계변화모형과 사회생태모형 기반의 신체활동전략이 좌업직장인들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and social ecological model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in sedentary employe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학술연구교수(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B5A02024293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3 년 (2016년 07월 01일 ~ 2019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강수진
연구수행기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1년차 연구의 목적
    신체활동에 영향을 주는 개인특성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적 요인, 환경적 요인 및 신체활동을 설명하는 이론을 폭 넓게 이해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한다.
    2) 2년차 연구의 목적
    포괄적인 관점에서 좌업직장인의 신체활동을 설명하는 사회생태모형의 이론적 타당성을 검증한다.
    3) 3년차 연구의 목적
    단계변화모형과 사회생태모형 기반으로 한 신체활동전략이 좌업직장인의 신체활동 및 이와 관련된 심리적 변인을 변화시키고, 신체적, 심리적 건강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 기대효과
  • 학문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좌업생활자들의 신체활동부족과 관련된 다양한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특성을 확인하고 과학적 이론 기반의 신체활동전략을 적용한 본 연구는 스포츠과학 분야에서 신체활동변화 연구의 접근방식을 다양화하고 확대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사회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실제 사회구성원들의 비활동성 신체활동을 담당하는 정부 및 지역사회의 유관부서에서 신체활동 활성이나 비만퇴치 정책 그리고 신체활동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의미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교육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도출되는 신체활동 및 다양한 관련 변인, 그리고 과학적 이론 기반의 신체활동변화 전략에 관한 포괄적인 연구 성과들은 스포츠과학, 사회과학 및 예방의학 등의 다양한 학문에서 ‘건강심리학’, ‘건강증진’, ‘운동심리학’ 등의 과목들을 통해 유용하게 학생들에게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가. 1년차 연구방법
    본 연구의 1차 년도에는 포괄적인 관점에서 신체활동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단계변화모형과 사회생태모형을 근거로 수행된 국, 내외 연구들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한다.
    1) 체계적 문헌고찰
    문헌고찰 프로토콜 개발-문헌 검색 및 확인-기초 문헌 선정-문헌의 질 평가
    2) 메타분석
    메타분석을 위한 자료코딩-메타분석 결과에 대한 효과판정

    나. 2년차 연구방법
    본 연구의 2차 년도에는 사회생태모형을 토대로 신체활동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고 신체활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사회생태모형의 이론적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사연구 방법을 적용한다.

    1) 연구참여자 선정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중소기업 직장인 남, 녀 각 500명씩 총 1000명
    2) 측정도구
    신체활동량 질문지-신체활동단계질문지-운동자기효능감질문지-의사결정균형 질문지-사회환경질문지-물리환경 질문지
    3) 자료분석
    Chi-square()-다변량분석(MANOVA)-구조방정식모형

    다. 3년차 연구방법
    단계변화모형과 사회생태모형 기반으로 한 신체활동전략이 좌업직장인의 신체활동 및 이와 관련된 심리적 변인을 변화시키고, 신체적, 심리적 건강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1) 연구참여자 선정
    2년차 연구참여자 중 신체활동단계가 계획전단계와 계획단계에 해당하는 직장인, 2년차 연구에 참여를 하지는 않았지만, 신체활동을 하지 않은 기간이 한달이상인 직장인
    2) 측정도구
    신체활동 관련 심리적 변인-건강관련체력 -건강관련 삶의 질-우울
    3) 단계변화모형 및 사회생태모형 기반의 신체활동전략의 내용
    신체활동 프로그램-심리수정전략
    4) 자료처리
    -검증-Fisher's exact test-t-검증-다변량분산분석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신체활동 참여는 개인의 심리적요인과 직장의 사회적, 환경적 요인들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것을 전제로 사회생태모형을 토대로 좌업직장인들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확인하고, 좌업직장인들의 신체활동을 변화시키고 이를 통해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초점을 둔 단계변화모형과 대인관계 및 환경에 초점을 둔 사회생태모형을 토대로 한 신체활동전략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2차년도에는 조사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신체활동에 영향을 주는 사회심리적, 환경적 변인들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기효능감, 지각된 이득 및 장애, 사회적 지지, 운동시설의 질과 접근용이성 등의 사회심리적, 환경적 변인들이 신체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3차년도에는 사회생태모형과 단계변화모형을 기반으로 한 신체활동 중재전략을 적용하여 16주간의 신체활동 중재가 본 연구 참여자들의 신체활동관련 사회심리적, 환경적 변인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실제 신체활동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에서 적용한 16주 신체활동 중재전략은 좌업직장인들의 신체활동 자기효능감과 신체활동에 대한 지각된 이득 등의 심리적 변인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유의하게 작용하였다. 또한, 이들이 신체활동 참여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변인으로 친구와 가족의 지지가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운동시설의 질, 운동시설의 접근 용이성 또한 신체활동 참여에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 영문
  • In the 2nd year of ths project, the study investigates the physical activity distribution of Korea adults, examines the differences in the TTM constructs by the stage of physical activity,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the TTM constructs. A total of 799 adults (male: 326, female: 473, Mage = 46.8 years) randomly recruited from S district in Seoul, Korea. Four Korean-version questionnaires were used to identify the stages of physical activity and its related psychological variables: stage of physical activity change scale, decision balance scale for physical activity, exercise self-efficacy scale, and processes of change scale for physical activity. Results indicat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ale and female adults for physical activity stage distribution emerged (2 = 67.2, df = 4, p<.001).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2 test, M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Self-efficacy, pros, cons, cognitive processes of change, and behavioral processes of change differentiated across the stages of physical activity. Furthermore, the findings revealed that adults’ physical activ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TM constructs, and that the TTM construc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physical activity. The current study provides starting points for interventions aimed at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levels based on the TTM.
    In the 3rd year of this project,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 weight control intervention on BMI, physical activity level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toward physical activity. Thirty-three middle-aged obese women participated in the 16-week weight control interven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BMI significantly decreased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he intervention. Moreover, Exercise self-efficacy and perceived benefits toward physical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but perceived barriers of physical activity gradually decreased over the intervention.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not only physical activity itself, but also the various psychological variables when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weight control progra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신체활동 참여는 개인의 심리적요인과 직장의 사회적, 환경적 요인들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것을 전제로 사회생태모형을 토대로 좌업직장인들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확인하고, 좌업직장인들의 신체활동을 변화시키고 이를 통해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초점을 둔 단계변화모형과 대인관계 및 환경에 초점을 둔 사회생태모형을 토대로 한 신체활동전략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1차년도에는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신체활동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들을 확인하였으며, 2차년도에는 조사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신체활동에 영향을 주는 사회심리적, 환경적 변인들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3차년도에는 사회생태모형과 단계변화모형을 기반으로 한 신체활동 중재전략을 적용하여 16주간의 신체활동 중재가 본 연구 참여자들의 신체활동관련 사회심리적, 환경적 변인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실제 신체활동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1년차 연구에서 신체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다양한 사회적, 심리적, 횐경적 변인들을 도출하였다.
    -2년차 연구에서는 사회생태모형과 단계변화모형을 토대로 신체활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변인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3년차 연구에서는 단계변화모형과 사회생태모형을 기반으로 한 신체활동 전략이 좌업직장인의 신체활동 및 이와 관련된 심리적 변인을 변화시키고, 신체적, 심리적 건강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2. 연구결과의 활용

    학문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좌업직장인들의 신체활동부족과 이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들 간의 구체적인 관련 메커니즘을 제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명확한 관련성의 제시는 후속연구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대부분의 신체활동변화 연구들은 운동중심의 전략을 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좌업생활자들의 신체활동부족과 관련된 다양한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특성을 확인하고 과학적 이론 기반의 신체활동전략을 적용한 본 연구는 스포츠과학 분야에서 신체활동변화 연구의 접근방식을 다양화하고 확대하는데 기여할 것이며, 이것이 본 연구의 학문적 강점 중의 하나이다. 특히, 본 연구를 수행할 연구책임자는 지금까지 다수의 연구결과들을 국제저명학술지(SSCI, SCOPUS)에 게재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국제저명학술지에 투고하여 국내연구의 질적 수준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사회정책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양한 형태의 지역사회 신체활동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신체활동을 활성화하여 운동부족 및 중도포기의 원인이 되는 행동적, 심리적 요인들을 수정할 수 있도록 자극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 사회구성원들의 비활동성 신체활동을 담당하는 정부 및 지역사회의 유관부서에서 신체활동 활성이나 비만퇴치 정책 그리고 신체활동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교육적인 측면에서 학교에서 교수되는 신체활동 관련 과목들은 실제 신체활동 현장에 적용하기에 지나치게 이론 중심의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학교와 현장간의 거리감을 좁히고 현장친화적인 지식을 전달한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도출되는 신체활동 및 다양한 관련 변인, 그리고 과학적 이론 기반의 신체활동변화 전략에 관한 포괄적인 연구 성과들은 스포츠과학, 사회과학 및 예방의학 등의 다양한 학문에서 ‘건강심리학’, ‘건강증진’, ‘운동심리학’ 등의 과목들을 통해 유용하게 학생들에게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러한 과정이 성공적으로 안착된다면, 신체활동 관련 심리적 변인들에 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신체활동변화 전략 전문가를 양성하고 새로운 직업군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좌업직장인, 신체활동, 단계변화모형, 사회생태모형, 신체활동전략, 심리수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