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의사결정자의 합리성을 고려한 수익관리 기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Revenue Management with Consideration of the Rationality of the Decision Maker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542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3 년 (2016년 05월 01일 ~ 2019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승범
연구수행기관 홍익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과제는 기업이 수익관리 기법을 이용하여 수익의 극대화를 추구할 때 이에 관여되어있는 의사결정자들의 제한된 합리성과 행동의 방향성에 대해 탐구하고, 분석된 의사결정에 따라 기업이 어떠한 수익관리 기법을 채택해야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험, 시뮬레이션, 데이터 분석 등을 통하여 참여자들(기업 또는 소비자)의 의사결정을 측정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측정된 의사결정을 모델링하며, 개발된 의사결정 모델을 통하여 최적의 수익관리 정책을 제시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하여 제시된 수익관리 정책의 효용을 분석하고, 분석된 기법의 사용 범위를 확장한다.
  • 기대효과
  • 본 과제는 생산관리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다루는 재고관리에서 기원한 수익관리 분야를 연구함과 동시에 마케팅, 행동경제학, 데이터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이론을 활용하는 학제간 연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과제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연구가 성공적으로 완료된다면 생산관리, 수익관리,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수익관리는 항공 산업을 필두로 렌터카, 호텔, 소매업 등 폭넓은 산업에서 이용되고 있는 기법이며 주로 변동가격정책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 시키는 기법을 말한다. 수익관리는 그 범위를 엔터테인먼트산업과 다양한 O2O 비즈니스로 확장해 나아가고 있으며 사용되는 기법 또한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의사결정자의 합리성의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활용한 가격 정책을 책정할 수 있는 방법론이 구축된다면, 그 파급력은 엄청날 것이다. 또한 빅데이터라고 불리우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객의 의사결정을 분석하게 된다면 가격정책을 수립하는 새로운 기반을 확실히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본 과제에서는 우선 수익관리기법의 대상이 되는 고객들의 전략적인 행동양식을 측정하고 이를 활용하여 새로운 수익관리 기법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고객들이 전략적인 행동양식을 보일 때 이러한 행동양식이 얼마만큼의 합리성을 띠고 있는지, 그리고 시스템적인 행동 편향은 어떤 것들이 존재하는지를 실험적인 방법을 통하여 관찰하고 이를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모델화한다. 모델링은 정적 모델과 동적 모델이 사용되는데 우선 행동경제학과 마케팅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되어지고 있는 Quantal Response Model을 이용하여 정적인 분석을 수행한다. 또한 행동학습(Behavioral Learning) 또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분야에서 이용되는 Experienced Weighted Attraction Model 등을 기초로 다양한 행동양식을 추가하여 실제 고객의 행동을 정교히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모델링 작업이 완료되면 완성된 모델을 토대로 다각도의 분석을 실행한다. 가령 각기 다른 수익 관리 기법이 고객들에게 제시되었을 때 예상되는 구매 행태를 개발된 모델을 통하여 예측하고, 실험적인 방법 또는 데이터 과학을 이용하여 검증한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최적의 수익관리 기법을 개발하여 기업의 수익을 극대화 하는 데에 기여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기존의 수익관리 연구에서 다루는 전략적인 고객(Strategic Customers)의 의사결정을 분석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통하여 최적의 가격 정책이 무엇인지를 연구하고자 계획되었다.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완벽한 합리성을 보이기보다는 제한적인 합리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행동양식을 모델링 하기 위하여 Quantal Response Model, Exponential Smoothing, Experience Weighted Attraction Model 등 다양한 행동경제학적 모델들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위의 모델들이 각 행동양식을 성공적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 양식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모델로 예측을 시도할 경우 큰 폭의 손실이 일어날 수 있음도 확인하였다. 실험 도구로 동적인 방식과 정적인 방식을 비교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론과는 달리 두 방식에 따라 피실험자들이 다른 선택을 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판매자의 관점으로 최적의 가격정책 탐구를 시행하였다.
  • 영문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model that analyzes the decisions of strategic customers in the area of revenue management and to study the optimal pricing policy. The results show that strategic customers have a bounded rationality rather than perfect rationality. Various behavioral economic models, such as Quantal Response Model, Exponential Smoothing, and Experience Weighted Attraction Model, were used to model the behavior of the customers. In addition, we show that if a model ignores the behavioral factors of the customers the loss would be significantly large. The experimental tool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dynamic and static methods.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s made different choices according to the two methods. We also investigate the optimal pricing strategies from the point of the sell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기존의 수익관리 연구에서 다루는 전략적인 고객(Strategic Customers)의 의사결정을 분석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통하여 최적의 가격 정책이 무엇인지를 연구하고자 계획되었다. 수익관리 기법은 항공 산업을 필두로 발전하였으며 기존의 주요 적용 대상이었던 렌터카, 호텔 산업 뿐 아니라 현재에는 공유자동차, 공연, 극장 등의 산업까지 그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수익관리 기법은 동적가격정책을 기반으로 운영되는데 이 때문에 수리적인 분석이 난해한 분야로 여겨지고 있다. 수익관리에 관한 연구는 고객의 구매 행위에 대한 일련의 가정을 하고 진행되는데, 이에 따라 고객의 의사결정에 대한 다양한 모델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모델들은 점점 복잡성과 현실성을 가미해갔다. 최초의 모델들은 고객의 구매 의사결정에 관한 공통적인 가정을 하고 있었는데 이는 고객이 완벽히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규범적인(Normative) 연구들은 수익관리 분야가 발전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으나 이러한 의사결정의 합리성에 대한 가정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는 주장들이 실험적인 방법을 통하여 제시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주장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사용가능성이 높은 모델을 마련하고자 하는,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계획되었다. 1) 기업이 수익관리 기법을 사용할 때, 특히 동적 가격정책을 이용할 때, 소비자의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어떠한 행동적인 특성을 가지는지 다양한 각도로 탐구한다. 2) 소비자의 의사결정을 모델링 할 때 행동양식을 포함함으로써 충분히 현실에 가까운 모델을 개발하고 또한 의사결정을 예측하는데 있어 그 정확성을 증진시킨다. 3) 또 개발된 모델을 사용한 보다 정확한 예측을 통하여 최적의 수익관리 기법, 그리고 최적의 가격 정책이 무엇인지를 연구한다.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완벽한 합리성을 보이기보다는 제한적인 합리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제한적인 합리성은 Rationality, Anchoring Effect, Loss Aversion등으로 설명 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행동양식을 모델링 하기 위하여 Quantal Response Model, Exponential Smoothing, Experience Weighted Attraction Model 등 다양한 행동경제학적 모델들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위의 모델들이 각 행동양식을 성공적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 양식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모델로 예측을 시도할 경우 큰 폭의 손실이 일어날 수 있음도 확인하였다. 실험 도구로 동적인 방식과 정적인 방식을 비교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론과는 달리 두 방식에 따라 피실험자들이 다른 선택을 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판매자의 관점으로 행동양식 측정과 최적의 가격정책 탐구를 시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으며 국제저명학술지에 게재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하여 계획된 바와 같이 실험적인 방법을 통하여 고객의 의사결정을 목격하고 이를 기존의 모델이 설명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Quantal Response Model을 사용하여 실험데이터를 설명하였다. 실험적인 방법을 통하여 고객의 의사결정을 목격 한 결과 기존의 규범적인 연구가 제시하고 있는 예측과 다른 결과가 나옴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객의 전략적인 의사결정 행위를 실험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형식의 동적 방식과 Lottery 방식 등의 정적인 방식을 통하여 실험의 설명력을 측정하였으며 각 방식에 따라 고객의 선택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동적인 시뮬레이션 게임에서의 의사결정과, 정적인 설문 문항을 통한 의사결정 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urvey Sheet를 통한 정적인 설문문항을 통한 의사결정이 이론상의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그 추이가 더 비슷하였다. 하지만 이런 경향은 in-stock probability에 따라 다르게 일어났다. In-stock probability가 낮은 경우에는 동적인 방안과 정적인 방안 간의 차이가 In-stock probability가 높은 경우에 비하여 적었다. 또한 고객이 전략적인 구매를 할 때 필요한 정보를 어떻게 학습하고 처리하여 의사결정을 하는지 학습모형(Learning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EWA 모형을 사용하여 수집된 실험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EWA모형은 수집된 실험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fitting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EWA모형을 수정하여 Loss Aversion을 측정할 수 있는 방안도 탐구하였다. 물건을 구매할 수 있는 2가지 시기(period) 중 2차시기에 물건을 획득할 확률의 크기에 따라 다른 추이의 결과가 나오는 것을 확인하고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탐구하였다. 또한 의사결정의 평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실험적인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판매자의 관점으로 행동양식 측정과 최적의 가격정책 탐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이 될 예정이다. 우선 본 연구의 학술적인 활용계획은, 우선 국내외의 여러 유수의 저널에 투고하여 게재되도록 하는 것이다. 수익관리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 학계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분야이다. 하지만 의사결정자의 행동양식에 관한 요소들을 결합한 연구는 최근에 들어서야 진행되기 시작한 새로운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사결정자의 행동 분석을 수익관리에 결합하는 초기의 주류 연구가 될 것으로 보이며 여러 저널에 게재가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는 산업 분야로도 활용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현실적인 모델링기법은 이론적으로 의미가 있을 뿐 아니라 현업에서도 응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은 산업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의사결정 모델을 빅데이터 분석등에 적용한다면 IT 산업 또는 O2O 산업에서도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링을 활용하여 수익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여러 산학협력 연구가 파생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는 교육적으로도 활용을 할 계획이다. 생산/운영관리분야의 커리큘럼은 20~30년 전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발견한 다양한 행동양식과 의사결정간의 상호작용 및 그 영향을 학생들에게 인지시키고 다양한 분야에 해당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여 생산/운영관리의 교육분야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 색인어
  • 수익관리, 전략적 고객, 동적가격, 행동경제학, 행동운영관리, 제한적인 합리성, 학습모형, 실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