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출력능력의 증진을 위한 정형화 배열의 지도 모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사들이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정형화 배열 지도 모형을 제시하여 말하고 쓰는 출력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정형화 배열이란 이미 만들어 ...
본 연구는 출력능력의 증진을 위한 정형화 배열의 지도 모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사들이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정형화 배열 지도 모형을 제시하여 말하고 쓰는 출력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정형화 배열이란 이미 만들어진(pre-fabricated) 단어들이 결합한 덩어리로, ‘Thank you’와 같은 루틴(routine)에서부터 ‘birds of a feather’와 같은 숙어와 ‘have the appearance’ 와 같은 연어 그리고 ‘It's good to ~’와 같은 패턴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매우 넓다. 코퍼스의 발달로 인간 언어활동의 중심이 정형화 배열을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증명되면서 언어 지도에서도 정형화 배열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은 EFL 환경에서 정형화 배열 학습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한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경우 필수 문법과 어휘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음에도 말하고 쓰는 출력 활동이 수월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이를 스스로 느끼고 있다. 성인은 인지적으로는 충분히 성숙된 상태이기 때문에 언어를 받아들이고 사용하는데 실패할 때 오는 좌절감은 매우 크다. 학생들이 원하는 것은 자유롭게 언어를 구사하는 유창성이다. 물론 외국어 학습자로서 원어민과 같은 유창성이 결코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학습자 입장에서 자신들이 원하는 바를 자유롭게 말하고 싶어 하는 학문적 인지적 욕구를 간과할 수 없다. 원어민 기준의 유창성은 아니지만 학습자 스스로 생각하는 유창성을 달성할 수 있는 시도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방안이 바로 정형화된 배열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해 현실적으로 구연가능한 정형화 배열 모델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출력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기대효과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네 가지 측면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첫째는 교실 위상의 회복이다. 사교육을 통해 언어를 미리 지도하거나 해외 연수 등을 통해 영어를 배우고자하는 이들이 많아지면서 교실의 위상이 추락한 면이 있다. 교실에서 충분히 출력 연습을 하고 출력 ...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네 가지 측면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첫째는 교실 위상의 회복이다. 사교육을 통해 언어를 미리 지도하거나 해외 연수 등을 통해 영어를 배우고자하는 이들이 많아지면서 교실의 위상이 추락한 면이 있다. 교실에서 충분히 출력 연습을 하고 출력 능력을 향상 시키는 것이 증명 된다면 교실 영어 위상의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교사보다 영어를 잘하는 학생이 많아지는 추세에서 사회적 경험이 풍부한 교사가 이것이 부족한 학습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영역을 마련하기 때문에 교사의 위상을 살리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이며 나아가 영어 사교육으로 인한 사회적 위화감을 해소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는 현직 교사 중심의 영어지도 환경 조성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정형화 배열의 지도는 원어민 교사의 투입이나 영어마을 조성 등 새로운 환경을 조성하지 않고, 현재 전국에 배치된 영어 교사들이 충분히 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다. 이는 교실의 위상 회복과도 관련 있는 것으로 교사들이 자신감 있게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의 제안은 교사들의 위상의 위상을 높이는데도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는 현실적 영어지도법의 제시이다. 출력 능력의 증진을 위해서는 교실 밖의 현실 세상에서 직접 대화를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EFL 환경에서는 교실 밖에서 원어민을 만나 사교를 하기 어려운 만큼, 출력 능력의 학습이 어렵다. 그렇지만 어렵다고 해서 교실에서 출력 능력의 지도를 포기할 수 없다. 본고가 제시하는 정형화 지도는 교실 내에서 입력을 제공하고 이를 출력 연습하는 과정으로 EFL 환경의 공간적, 환경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지난 세월문법 번역식(grammar translation method) 지도는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없다는 이유로 오랜 세월 학계의 지탄을 받아왔다. 하지만 여전히 문법 번역식은 그 생명을 유지하고 있으며 교실에서 가장 쉽고 빈번하게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 이유는 교사의 입장에서 다루기 쉬운 방법이고(Brown, 2007), 공간적, 경제적, 시간적으로 요구하는 바가 적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방법이라고 하더라고 환경의 제약을 받거나, 경제적으로 뒷받침이 힘들거나 교사가 지도하기 힘든 방법은 좋은 지도법이라고 할 수 없다. 이런 점에서 본고에서 주장하는 정형화 배열의 지도는 현실적인 여러 가지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최선의 차선책이라고 판단된다. 물론 이 방법이 제대로 된 지도가 되기 위해서는 교사가 먼저 정형화 배열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점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워크샵이나 특강등을 통해 교사의 재교육이 가능한 영역이기 때문이다. 일례로 본 연구자가 지난 3년간 실시한 중등교사 대상으로 교사들의 정형화 배열에 대한 이해는 매우 수월하게 진행한 바 있다. 정기적인 교사의 재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 된다면 매우 좋은 결과를 얻을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는 사회적 인식의 전환이다. 본 연구가 예상하는 바, 정형화 배열의 학습을 통해 출력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면, 이것은 사회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영미권으로 가야만 한다는 인식의 전환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현실적으로 영미권으로 건너가 언어발달의 결과를 보기 위해서는 환경적, 경제적 조건이 형성되어있을 경우에 가능하다. 단순히 생활영어를 넘어서는 제대로 된 언어발달이 금전과 시간을 들여 해외로 나가야만 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 널리 인식된다면, 영어교육으로 지출되는 비용의 절감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조기영어교육이 강조되면서 성인이 영어 학습에 불리하다는 견해에 대해서도 반박의 여지가 생긴다. 영미권에서 생활하거나 조기영어교육이 좋은 결과를 가져올 확률이 있지만, 모두가 그런 환경을 갖기 어려우며, 된다하여도 그 성공확률을 보장할 수 없다. 본 연구가 영어능력이 평범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성인이 영어 학습을 하는데 갖는 정의적 두려움을 없애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연구요약
본 연구는 출력 능력 향상을 위한 출력 연습의 기회가 부족한 EFL 상황에서 언어발달을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형화 배열의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원어민 교사를 투입하는 등의 위험요소를 안지 않고 현장의 교사들이 출력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
본 연구는 출력 능력 향상을 위한 출력 연습의 기회가 부족한 EFL 상황에서 언어발달을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형화 배열의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원어민 교사를 투입하는 등의 위험요소를 안지 않고 현장의 교사들이 출력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출력 연습을 지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모형을 시도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정형화 배열 지도를 위한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그 동안의 우리나라에서 정형화 배열의 연구는 그 정의와 중요성을 다루는데 집중되어왔다. 지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초석이 되는 작업이 주를 이루었던 것이다. 이제는 이를 현장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이 제시가 되어야 할 때이다. 각기의 연구들을 통해 제시한 정형화 배열의 장점을 토대로 현장에서 교사들이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이 있어야 한다. 현장을 반영하지 않은 연구는 그 가치가 없으며 이론을 바탕으로 하지 않은 지도는 그 타당성과 성공적인 결과를 보장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각기 50명으로 구성된 집단을 6개를 구성하여 살아있는 영어를 목격할 수 있으며 말하기 구성이 논리적으로 되어있는 TED Talks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할 것이다. 정형화 배열의 이론에 바탕을 두며 실현 가능한 다양한 정형화 배열 지도 과정들의 결과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 출력 능력 향상에 일조할 수 있는 최선의 정형화 배열 지도 모형을 제시할 것이다. 모형의 타당성은 실험연구를 통해 검증할 것이다. 양적평가와 질적평가를 할 것이다. 기간은 1년이며 집단 간의 영어능력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총 6개의 집단(A-F)을 구성할 것이다. 각 집단은 50여명 내외로 구성한다. 먼저 3개의 집단(A-C)을 대상으로 출력을 강조한 정형화 배열 지도 모형으로 영어를 지도할 것이다. 그 결과를 토대로 모형의 수정을 거쳐 2차 실험집단(D-F)에게 동일한 모형으로 정형화 배열을 지도할 것이다. 1차 실험집단들의 정형화 배열 지도 모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집단에서는 정형화 배열을 제공(입력)하고 이를 출력 연습하는 과정으로 진행한다. B집단에서는 출력을 먼저 해보게 하는 선출력 활동을 한 후에 입력을 제공하고 선출력을 수정하고 이를 연습하는 과정으로 진행할 것이다. C 집단에서는 입력을 제공하고 이를 학습자들의 모국어 즉, 한국어와의 차이를 느끼면서 스스로의 영어를 수정하는 정교화를 거친 후에 출력 연습을 하는 모형으로 수업을 진행 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출력능력 향상을 위한 정형화 배열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의사소통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할때 출력능력의 증진은 필수적이다. 출력능력을 향상을 위해 정형화 배열의 이용을 제안한다. 입력중심의 모형, 선출력 활동의 모형, 정교화 활동의 모형을 구 ...
본 연구는 출력능력 향상을 위한 정형화 배열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의사소통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할때 출력능력의 증진은 필수적이다. 출력능력을 향상을 위해 정형화 배열의 이용을 제안한다. 입력중심의 모형, 선출력 활동의 모형, 정교화 활동의 모형을 구성하여, 실험을 통해 정형화 배열의 학습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주어진 입력을 정교화 활동을 한 정교화 모형이 정형화 배열의 암기에 효과적이었다.학습자들에게 정형화 배열을 내재화 하는 과정과 자신의 말로 연습하는 과정이 주어진다면 정형화 배열의 학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a learning model using formulaic sequences for improving output capability. It is crucial to enhance the output ability when aiming to increas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is study suggests the use of a combin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a learning model using formulaic sequences for improving output capability. It is crucial to enhance the output ability when aiming to increas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is study suggests the use of a combination. The model of the input centered model, the model of the pre-output activity, and the model of the elaboration centered-activity were designed, and the effects on the learning of the formulaic sequences were examined through experiments. As a result, the elaboration model with the internalization of the given input was effective in memorizing the formulaic sequences. If learners are given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formalization sequences and the process of practicing them in their own words, it will be helpful to learn the formulaic sequence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형화 배열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출력 능력을 향상 시키는 학습 모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우리나라와 같은 EFL환경에서 언어 출력 활동이 입력 활동에 비해 저조한 것이 사실이다. 출력 능력을 향상 시키는데 필요한 여러 요소가 있겠지만 본 연구에 ...
본 연구의 목적은 정형화 배열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출력 능력을 향상 시키는 학습 모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우리나라와 같은 EFL환경에서 언어 출력 활동이 입력 활동에 비해 저조한 것이 사실이다. 출력 능력을 향상 시키는데 필요한 여러 요소가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정형화 배열이 출력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았다. 정형화 배열은 이미 만들어진(pre-fabricated) 단어들의 결합 덩어리로 루틴에서부터 숙어와 연어, 그리고 패턴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매우 넓다. 코퍼스의 발달로 인간 언어 활동의 중심이 정형화 배열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증명되면서 언어 지도도 정형화 배열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자연스러운(idiomatic) 언어를 구사하기 위해서는 정형화 배열의 습득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정형화 배열의 습득을 위해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자가 3 가지 모형을 설계하였다. 입력중심의 출력연습 모형, 선출력활동 중심의 출력연습모형, 언어 정교화를 위한 이중번역 중심의 출력연습 모형, 총 3가지의 모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에게 주어진 언어입력을 정교화 과정을 통해 흡수(intake)할 기회를 제공했던 모형이 정형화 배열을 암기하고 활용하는데 다른 두 모형에 비해 좋은 결과를 보였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언어학습의 목적은 개인의 이해를 넘어서 상대와 상호작용하는 의사소통능력의 신장에 있다. 이것은 언어교육에서 대전제라고 할 수 있다. 상대에게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출력 능력을 키우는 것이 교사들이 경주해야 할 부분 중에 하나임에 틀림이 없 ...
언어학습의 목적은 개인의 이해를 넘어서 상대와 상호작용하는 의사소통능력의 신장에 있다. 이것은 언어교육에서 대전제라고 할 수 있다. 상대에게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출력 능력을 키우는 것이 교사들이 경주해야 할 부분 중에 하나임에 틀림이 없다. 그리고 그 언어 능력의 수준을 나타내는 것이 정형화 배열의 사용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제공하는 입력이 출력이 되는데 효과적인 모형을 찾을 수 있었다. 단순한 입력 제공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입력을 이해하고 스스로 써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어야 출력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었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EFL환경에서는 쉽게 출력 연습을 할 수가 없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들의 새로운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현실적으로 입력중심의 언어수업이 진행되는 것은 당연하다. 각종 시험 대비와 대규모로 진행되는 수업에서 입력이 중심이 되는 것은 바람직하게 보여 진다. 다만 입력을 제시할 때 정형화 배열을 중심으로 제시하고 주어진 입력을 학습자들이 인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활동을 추가한다면 출력활동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교실 밖으로 나왔을 때 학습자들이 진정한 대화자가 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출력연습을 시키는 방안도 염두 해야 할 부분이라고 판단된다. 이 점에서 본 연구의 모형이 출력능력의 증진 연구에 기초로 이용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끝으로 첨언하자면 본 연구는 출력활동 중에서 쓰기 부분만을 집중한 것이기 때문에 말하기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음성적 출력을 위한 연구도 향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본 연구가 이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이 연구자가 실시한 다른 모형에 비해 효과적이라는 것이지 절대적인 모형이 아니다. 교사마다 얼마든지 더욱 효과적인 모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그 모형을 설계 할 때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해석만 해주는 과정에 그치지 않고 언어 입력을 내재화 하는 과정과 정형화 배열을 이용한 응용과정을 포함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