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인 학습자의 영어 모음 발화의 음성학적 차이와 발음 숙련도, 말하기 점수와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phonetic differences of Korean learners’ production of English vowels, pronunciation proficiency and speaking test scor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1023350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7월 01일 ~ 201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지은
연구수행기관 가톨릭관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한국인의 영어 발음에 대한 연구 동향을 보면 주로 한국인이 영어 발음을 영어 원어민 화자와 비교하여 오류를 분석하는 연구가 많았다. 물론 발음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즉 성별이나 지역 방언, 교육이나 동기의 정도 등 비 언어학적인 요소들을 고려한 연구들은 있었으나, 발음의 여러 요소들을 세분화하여(강세 모음과 비강세 모음, F1, F2, 길이, 모음의 종류, 피치, 모음의 길이, 발화 속도 등) 이 요소들의 전체 발음이나 영어 발음 숙련도나 말하기 평가 점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종합하여 연구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또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올바른 영어 발음의 평균값을 제시하였다면 본 연구는 그 중 가장 의미있는 것, 즉 의사소통 능력을 전반적으로 측정하는, 말하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연구 주제의 창의성;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예를 들면, 여러 개의 영어 모음들의 발음 중 발음의 정확성이 의사소통에 좀 더 영향을 주어 말하기 점수에 좀 더 영향을 주는 발음이 있는 반면, 의사소통에 별로 영향을 주지 않는 발음들이 있을 것이며 모음의 강세, F1 포먼트, F2 포먼트, 모음의 길이 중 전체적인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것이 있을 것이다(-->선행연구와의 방법에서의 차별성). 또한 지금까지는 원어민의 영어 모음 발음과 비슷한 경우에만 올바른 영어 발음이라고 간주했으나 모음의 종류에 따라서는 원어민과 조금 다르더라도 이해하는 데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도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OPIc이나 토익 스피킹 등 말하기 평가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고 있으며, 의사소통 중심 발음 교육에서 전체적인 발음 숙련도에도 관심이 많은데 이에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연구의 타당성)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영어 발음의 연구(음성학) 및 한국인을 위한 영어 발음 교육 분야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영어 발음 교육 분야에서는 기초 자료 제공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최근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영어 말하기 테스트 대비 등에도 적극적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 발음의 연구(음성학)에의 기여를 보면, 본 연구는 무엇보다도 영어 발음의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지금까지 본 연구와 같이 언어학적인 요소들을 세분화하여 이 요소들의 전체 발음이나 말하기 평가 점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연구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또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올바른 영어 발음의 평균값을 제시하였다면 본 연구는 그중 가장 의미있는 것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영어 발음 교육에 기여를 보면, 본 연구에서는 발음 숙련도와 말하기 점수에 영향을 주는 경우와 주지 않는 경우를 분석하기 때문에 한국인 학생들의 영어 모음 발음 교육 시에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발음의 요소들을 우선적으로 교육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파급 효과를 보면,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영어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연구 결과는 후속 연구 파생에도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 교육에서 발음 교육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는데 아직도 음성학에서는 이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는 듯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영어 교육에서의 발음에 대한 인식을 음성학 연구에도 반영하여 의사소통 중심 발음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으므로, 향후 이처럼 의사소통 중심 발음에 초점을 맞춘, 특정 발음 보다는 허용 가능한 발음에 대한 연구가 좀 더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발음 숙련도와 말하기 평가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영어 모음 발음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올바른 영어 모음 발음에 대한 재해석을 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험에 참여할 피험자는 모두 남성으로 영어 말하기 능력 자체의 차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영어 실력이 비숫한 화자들, 즉 영어 공인 점수 등 영어 능력을 측정하는 점수가 비슷한 화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녹음 자료는 (1) 동일 문단 읽기로 내용을 컨트롤 한 상태에서의 발음 숙련도 점수 차이를 위한 자료로 교과서 모음을 포함한 교과서 문단 자료가 사용된다 또한 (2) 자연스러운 발화로서의 말하기 평가 점수 차이를 위한 자료로 자연스러운 발화를 위해서는 녹음 일주일 전에 짧은 말하기 주제를 주고 연습하도록 한다. 이 때에는 말하기 점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문장의 수와 단어 수준 등을 비슷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다. 말하기 평가를 위해서는 대학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영어 원어민 교원 두 명과 한국인 교원 두 명이 참여할 것이며 피험자의 읽기 자료와 말하기 자료를 평가하게 된다. 읽기 평가에서는 발음 숙련도만을 평가하고, 말하기 평가는 발음 숙련도와 전체 말하기 평가를 별도로 하게 된다. 이 때 원어민들과 한국이 교수들의 평가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본다. 평가자들은 피험자들의 읽기와 말하기를 듣고 각 문장별 점수를 부여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1차와 2차로 나누어서 하고, 1차와 2차의 점수 차가 너무 많이 나는 경우에는 다시 평가를 하도록 한다. 평가자가 원하면 같은 문장을 여러 번 들을 수 있도록 하고 평가자들은 발음 숙련도와 말하기 점수를 5점 척도(1-very poor; 2-poor; 3:fair; 4-good; 5-excellent)에 따라 평가한다. 음성학적인 평가로, 녹음된 자료는 음성 분석 프로그램 Praat로 분석되는데, 영어 원어민 화자와 같은 억양 곡선을 나타낼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각 문장의 최대 F0값과 최소 F0값을 측정하고 그 차이를 분석한다. 문장에서의 초분절적 자질을 잘 구현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강세와 비강세 모음의 구현도 분석하는데, 내용어이며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강세가 주어지는 음절의 모음들과 기능어이면서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는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강세가 주어지지 않는 음절의 모음 길이와 피치를 비교한다. 모음의 정확도는 강세모음과 비강세 모음, 긴장모음과 이완모음으로 구별하여 모음의 F1, F2 포먼트(Formant)와 모음의 길이, 모음의 피치와 강도, 모음의 길이를 측정하여 평가하며, 측정된 값은 영어 원어민 화자의 모음 발화와 비교 될 것이다. 비교 모음의 포먼트, 길이, 피치와 강도와 평가자의 발음 숙련도 점수와 말하기 평가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를 이용한 평균 비교와 Pearson 상관관계 분석도 시행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여러 발음들과 요소들 중 한국인이 어려워하는 전설 모음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인의 영어 모음 발음 요소들(F1, F2, 피치, 길이, 강도)이 교과서 읽기와 그림 설명의 발음 이해도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말하기 평가 점수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교과서 연속 문장 읽기에서의 발음 이해도 점수에도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비강세 [i]의 모음 길이, 비강세 [ɪ]의 모음 길이, 비강세 [ɪ]의 F1값, 강세 [ɛ] 모음의 강도, [æ]의 F1값과 F2값, 그리고 모음을 포함한 문장들의 최대 F0 값과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였다. 즉, 비강세 모음의 구현과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의 구별과 전설 모음의 발화 구간을 원어민 화자와 비슷하게 넓히는 것, 그리고 문장의 피치 구현을 잘 하는 것이 발음 이해도 점수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좀 더 자유로운 발화인 그림 설명에서는 이전의 문장 발화 연구들에서 나타났던 한국인 화자들의 영어 발음 오류인 [ɛ]와 [æ]를 한국어의 ‘에’와 ‘애’ 발음과 비슷하게 발음하여 영어 원어민 화자들 보다 전설 모음의 구간이 짧아지는 것의 정도가 발음 이해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음 이해도와 말하기 점수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F0나 비강세 모음과 강세 모음의 구별 등 초분절음적인 요소는 물론이고 [ɛ] 나 [æ]의 F1값과 F2값이나 비강세 [i]와 비강세 [ɪ]의 모음 길이 등 분절음 발음도 발음 이해도 점수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발음 교육 시 본 연구에서 발음 이해도과 상관관계가 있는 요소들을 중심으로 교육한다면 좀 더 효과적인 발음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phonetic differences among Korean learners’ production of English front vowels, pronunciation intelligibility and speaking proficiency test score. To do so, thirty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1) to read English text book paragraphs and (2) describe a picture. Two English native raters and one Korean rater evaluated Korean subjects’ English pronunciation intelligibility and speaking. In addition, subjects' English vowel productions were acoustically analyzed(F0, F1, F2, vowel duration, intens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vowel quality and pitch of the unstressed vowels and lax vowel are related to the pronunciation intelligibility. In addition, the scores of pronunciation intelligibility and speaking are highly rela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phonetic differences among Korean learners’ production of English front vowels, pronunciation intelligibility and speaking proficiency test score. To do so, thirty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1) to read English text book paragraphs and (2) describe a picture. Two English native raters and one Korean rater evaluated Korean subjects’ English pronunciation intelligibility and speaking. In addition, subjects' English vowel productions were acoustically analyzed(F0, F1, F2, vowel duration, intens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vowel quality and pitch of the unstressed vowels and lax vowel are related to the pronunciation intelligibility. In addition, the scores of pronunciation intelligibility and speaking are highly related.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영어 발음의 연구 및 한국인을 위한 영어 발음 교육 분야에 활용될 것이다. 특히 영어 발음 교육 분야에서는 기초 자료 제공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최근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영어 말하기 테스트 대비 등에도 적극적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영어 발음의 연구에 기여(음성학에의 기여)
    본 연구는 무엇보다도 영어 발음의 연구에 활용될 것이다. 한국인의 영어 모음 발음에 대한 연구 동향을 보면 주로 한국인이 영어 모음을 발음을 영어 원어민 화자와 비교하여 오류를 분석하는 연구가 많았다. 물론 발음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즉 성별이나 지역 방언, 교육이나 동기의 정도 등 비 언어학적인 요소들을 고려한 연구들은 있었으나, 본 연구와 같이 언어학적인 요소들을 세분화하여(강세 모음과 비강세 모음, F1, F2, 길이, 모음의 종류, 피치 등) 이 요소들의 전체 발음이나 말하기 평가 점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또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올바른 영어 발음의 평균값을 제시하였다면 본 연구는 그중 가장 의미있는 것을 제시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음성학 분야도 세계어로서의 영어,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 등 최근의 분위기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언어학적 요소들이 전체적인 발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좋음 발음 나쁜 발음을 떠나서 얼마나 이해 가능한 발음을 발화 할 수 있도록 하는지, 이해 가능한 발음을 위해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가 달라진 올바른 발음의 개념에 적합한 음성학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영어 발음 교육에 활용
    의사소통 중심 영어 교육이 현 영어과 교육과정의 가장 큰 목표 중 하나가 되고 있고, 이에 따라 표준 영어 발음이라는 개념이 없어지고 의사소통에 지장이 없는 발음을 하면 된다는 분위기가 팽배해 있는 가운데, 그럼 의사소통에 지장이 없는 발음이란 어떤 발음인가 하는 의문점이 제기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어민이 직접 영어 말하기를 듣고 평가하여 말하기 점수에 영향을 주는 경우와 주지 않는 경우를 분석하기 때문에 위에 대한 답을 어느 정도 해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인 학생들의 영어 모음 발음 교육 시에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발음의 요소들을 우선적으로 교육 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한국인, 영어 전설 모음, 피치, 모음 길이, 발음 숙련도, 발음 점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