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숙의를 통한 대학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curriculum decision-making by teachers’deliberat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1022113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7월 01일 ~ 201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박민정
연구수행기관 동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은 대학의 교육목표 달성과 인재 양성을 위한 토대이자 대학교육의 질적 수월성을 판가름할 수 있는 핵심요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교육과정은 집단적 숙의와 협동적 의사소통 과정을 거치기보다 교수 개인의 전공이나 관심사에 따라 교육과정이 개설 유지되는 방식으로 교육과정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왔다. 지금까지 대학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은 전공교수들에게 전적으로 위임되어 진행되면서 교육과정 결정과정에 내재된 여러 가지 특징과 문제점에 대한 깊은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교육과정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결정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대학 교육과정의 결정과정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부족했고 이는 교육과정의 질 향상과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를 개선시키는 데 있어서 한계로 작용했다.
    교육과정 결정과정 연구의 주요 패러다임을 이끌었던 Tyler 모형은 목적설정, 내용선정, 내용조직, 평가라는 절차적 교육과정 결정모형을 주장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교육과정이 개발되는 과정은 수많은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상황적이고 역동적인 과정으로 숙의를 통해 개발된다고 할 수 있다. 숙의는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는 개발자들이 복잡한 상호작용을 거쳐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각기 다른 신념과 가치체계를 활용하여 교육과정의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으로서, 교육과정 개발 과정의 질을 담보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숙의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교육과정 결정과정에서의 숙의에 대한 연구들이 대다수 축적되었다. 해외에서는 숙의의 교육적 함의에 대한 연구와 숙의를 적용한 다양한 사례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과정 결정과정에 내재된 숙의과정과 이에 대한 반성적 고찰 연구가 활발하게 다루어지지 못했다. 이와 관련된 일부 연구들도 초중등 단계에서의 교육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어, 대학의 교육과정 의사결정에서 일어나는 실제적인 숙의과정을 설명해주는 경험적 연구는 많지 않다. 대학의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들도 대부분 교육과정 결정의 결과로 나타난 산물에 초점을 두거나, 개념적, 당위적 수준에서 대학 교육과정의 결정과정을 논의함으로써 대학 교육과정의 결정과정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숙의의 실제적 측면을 교육과정 결정과정의 중심에 두고 교육과정 결정과정에서 드러나는 숙의의 특징과 문제점들을 귀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대학 교육과정의 결정과정을 총체적으로 이해해보려고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대학 교육과정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고 합리적인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고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학술적ㆍ사회적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첫째, 이 연구는 지금까지 블랙박스로 간주되어왔던 대학 교육과정의 의사결정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대학 교육과정 개발의 특성과 쟁점에 대한 심화된 연구로 발전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대학 교육과정은 개별 교수들이 알아서 강좌를 개설하는 식으로 편성 운영되어 왔기 어떠한 논리와 기준에 따라 대학 교육과정이 개발되는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교육과정 관련 연구도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국한되어 있어서 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 연구의 연구결과는 초중등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에 주로 집중되어 온 교육과정 연구를 고등교육 수준에서의 교육과정 연구와 논의로 교육과정 연구의 초점과 범위를 확대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대학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서 어떻게 집단 숙의과정이 진행되는가를 보여줌으로써 다양한 갈등과 대립요소가 존재하는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서 숙의 모형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고 그것이 갖는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는 숙의모형을 대학 교육과정 개발이라는 특정 맥락과 관련하여 구체화함으로서 대학이라는 맥락에 적합한 교육과정 개발모형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셋째, 이 연구는 대학교육의 맥락 내에서 교육과정을 둘러싼 갈등과 쟁점이 무엇인가를 보여줌으로써, 지금까지 관행적으로 지속되어 온 교육과정 결정과정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효과적인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초석을 제공할 것이다.

    2)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첫째, 교육과정 결정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과 쟁점, 합의도출과정 등에 대한 분석은 향후 고등교육 기관에서의 교육과정 개선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책적 지원 방향을 수립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서 집단 숙의가 전개되는 모습과 특징, 그리고 숙의를 촉진 또는 저해하는 요인을 밝혀줌으로서 비약적인 교육과정 결정과정의 실체를 이해할 수 있고, 그 안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을 창출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대학의 교육과정 개발과정의 특징과 쟁점, 교육과정 개발 주체들 간의 갈등구조와 양상, 교육과정 결정과정에 대한 경험적 분석 등에 대한 이 연구의 연구결과는 교육과정 개발 당사자(전공교수집단), 교육과정 업무 담당자 혹은 정책 개발자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을 둘러싼 대학교수들의 집단 숙의과정을 상세하게 기술함으로써 대학의 교육과정 결정과정에서 숙의과정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고 이와 관련된 제반 쟁점들이 무엇인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서 제기되는 교육과정 관련 쟁점과 갈등은 무엇인가?
    둘째,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숙의의 전개과정과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교육과정 의사결정에서 숙의과정을 저해 또는 촉진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넷째, 사례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 내재된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참여자들 경험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사례연구를 수행하려고 한다. 사례연구는 교육프로그램의 실행이나 교육현상에 대한 풍부하고도 전체적인 이해를 얻으려고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연구방법으로,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을 이해하려는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Wallker의 교육과정 결정모형에 근거하여 대학의 교육과정 결정과정에서 드러나는 숙의 전개과정 및 특징과 합리적 의사결정을 저해하는 문제점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Walker는 교육과정 결정과정이 플랫폼, 숙의, 설계 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개발자는 백지상태가 아닌 자신의 신념이나 가치를 가지고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게 되는데, Walker는 이를 플랫폼이라고 하였다. 숙의는 교육과정 개발자들이 자신의 지식과 신념을 외부적으로 표현하고 관련 쟁점들을 집단적으로 검토하여 최종적인 대안을 선택해가는 복잡한 상호작용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설계 단계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대안을 교육과정 문서로 번역하는 단계로, 교육과정과 관련된 일련의 의사결정을 확인하고 상세화해서 교육과정이 설계되고 완성되는 단계다.
    이와 같은 숙의모형을 토대로 본 연구는 D대학교의 전공교육과정인증제 운영에 참여하게 될 4개 학과를 사례로 연구를 수행하려고 한다. 전공교육과정 인증제 참여 학과는 산업 트렌드와 산업체 수요조사 분석결과 및 국내ㆍ외 우수대학을 벤치마킹하여 교육목표, 인재상, 학습성과를 재설정하고 학습성과 달성을 위해 교과과정을 개편해야 한다. 따라서 이 학과들의 교육과정 결정과정은 교육과정을 둘러싼 다양한 쟁점들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관점이 충돌하고 갈등하며 합의점을 찾아가는 숙의과정을 잘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자료 수집은 학과별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여 참여관찰과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을 활용한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플랫폼 단계에서는 교육과정 의사결정 참여자들이 어떤 가치관과 패러다임, 이해관계, 사전경험, 자료들을 활용하는지 등을 살펴볼 것이다. 숙의 단계에서는 전공교육의 교육목표 및 인재상, 전공교육과정을 이수한 결과 학생들이 달성해야 하는 학업성취도(지식, 스킬, 태도나 자질), 교육과정 편성의 적절성, 교육과정 운영방안 등에 대해 적합한 대안을 찾아가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볼 것이다.
    자료 분석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진행하려고 한다. 1단계에서는 녹음자료 및 현장기록 자료들은 모두 텍스트로 전사(轉寫)하여 데이터화할 것이다. 2단계에서는 ‘사전목록에 의한 코딩’과 ‘개방코딩’을 통해 전사된 자료들 속에 내재된 주제를 찾아낼 것이다. 3단계에서는 2단계에서 이루어진 코딩의 결과를 다시 재배치하고 범주화하여 교육과정 결정과정에서 나타나는 숙의의 특징과 숙의 촉진 및 저해요인을 밝혀낼 것이다.
    자료 분석결과는 교육과정 전공자와 대학의 교육과정 개발과정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3인의 외부 연구자에게 검토 받아 질적 자료의 해석에서 제기될 수 있는 주관성의 문제를 극복하고 타당성을 확보할 것이다(triangulation). 면담전사 내용은 심층면담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들에게 검토(member check) 받아 자료 분석의 신뢰성 확보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을 둘러싼 대학교수들의 집단 숙의과정을 상세하게 기술함으로써 대학의 교육과정 결정과정에서 숙의과정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고 이와 관련된 제반 쟁점들이 무엇인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서 제기되는 교육과정 관련 쟁점과 갈등은 무엇인가?
    둘째,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숙의의 전개과정과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교육과정 의사결정에서 숙의과정을 저해 또는 촉진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넷째, 사례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 내재된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참여자들 경험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례연구는 교육프로그램의 실행이나 교육현상에 대한 풍부하고도 전체적인 이해를 얻으려고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연구방법으로,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을 이해하려는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Wallker의 교육과정 결정모형에 근거하여 대학의 교육과정 결정과정에서 드러나는 숙의 전개과정 및 특징과 합리적 의사결정을 저해하는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Walker는 교육과정 결정과정이 플랫폼, 숙의, 설계 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개발자는 백지상태가 아닌 자신의 신념이나 가치를 가지고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게 되는데, Walker는 이를 플랫폼이라고 하였다. 숙의는 교육과정 개발자들이 자신의 지식과 신념을 외부적으로 표현하고 관련 쟁점들을 집단적으로 검토하여 최종적인 대안을 선택해가는 복잡한 상호작용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설계 단계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대안을 교육과정 문서로 번역하는 단계로, 교육과정과 관련된 일련의 의사결정을 확인하고 상세화해서 교육과정이 설계되고 완성되는 단계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D대학교의 전공교육과정 개편과정에 참여했던 교수 6명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에서의 전공교육과정 결정과정의 특징은 ‘숙의과정 없는 주먹구구식 교육과정 개편’으로 나타났다. 숙의과정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전공교육과정 결정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학문중심 교육과정’, ‘교육과정 결정 및 운영을 위한 지원체계 부족’, ‘교육보다 연구를 강조하는 대학풍토’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교육과정 결정 작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인과적 조건 외에도, ‘업무부담’과 ‘소통과 협력의 부재’ 라는 맥락적 요인으로 인해 합리적인 교육과정 결정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들의‘보수성/변화저항성’과 ‘개인주의 문화’로 인해 ‘학과장이 떠맡기’, ‘형식적/소극적 수준의 결정’, ‘현행유지’의 전략을 통해 ‘주먹구구식 교육과정 결정’ 현상을 강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숙의과정 없는 주먹구구식 전공교육과정 결정의 결과로 드러난 특징으로는 ‘교수자(teacher)로서의 정체성 약화’, ‘교육과정이 부재한 수업: 나침반 없는 항해’, ‘전공 영토주의 고착화’로 분석되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experiences of university teachers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organization. For this study, data was to gathered through the interviews of university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curriculum was organized and managed by a rule of thumb without deliberation. The curriculum tends to be maintained existing one or be revised at the formal and passive level by the department chai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은 대학의 교육목표 달성과 인재 양성을 위한 토대이자 대학의 교육경쟁력을 결정짓는 사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교육과정은 집단적 숙의와 협동적 의사소통 과정을 거치기보다 교수 개인의 전공이나 관심사에 따라 교육과정이 개설 유지되는 방식으로 교육과정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왔다. 지금까지 대학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은 전공교수들에게 전적으로 위임되어 진행되면서 교육과정 결정과정에 내재된 여러 가지 특징과 문제점에 대한 깊은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교육과정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결정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대학 교육과정의 결정과정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부족했고 이는 교육과정의 질 향상과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를 개선시키는 데 있어서 한계로 작용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을 둘러싼 대학교수들의 집단 숙의과정을 상세하게 기술함으로써 대학의 교육과정 결정과정에서 숙의과정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고 이와 관련된 제반 쟁점들이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대학에서의 전공교육과정 결정과정의 특징은 ‘숙의과정 없는 주먹구구식 교육과정 개편’으로 나타났다. 숙의과정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전공교육과정 결정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학문중심 교육과정’, ‘교육과정 결정 및 운영을 위한 지원체계 부족’, ‘교육보다 연구를 강조하는 대학풍토’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교육과정 결정 작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인과적 조건 외에도, ‘업무부담’과 ‘소통과 협력의 부재’ 라는 맥락적 요인으로 인해 합리적인 교육과정 결정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들의‘보수성/변화저항성’과 ‘개인주의 문화’로 인해 ‘학과장이 떠맡기’, ‘형식적/소극적 수준의 결정’, ‘현행유지’의 전략을 통해 ‘주먹구구식 교육과정 결정’ 현상을 강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숙의과정 없는 주먹구구식 전공교육과정 결정의 결과로 드러난 특징으로는 ‘교수자(teacher)로서의 정체성 약화’, ‘교육과정이 부재한 수업: 나침반 없는 항해’, ‘전공 영토주의 고착화’로 분석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대학에서의 전공교육과정 결정과정의 특징은 ‘숙의과정 없는 주먹구구식 교육과정 개편’으로 나타났다. 숙의과정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전공교육과정 결정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학문중심 교육과정’, ‘교육과정 결정 및 운영을 위한 지원체계 부족’, ‘교육보다 연구를 강조하는 대학풍토’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교육과정 결정 작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인과적 조건 외에도, ‘업무부담’과 ‘소통과 협력의 부재’ 라는 맥락적 요인으로 인해 합리적인 교육과정 결정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들의‘보수성/변화저항성’과 ‘개인주의 문화’로 인해 ‘학과장이 떠맡기’, ‘형식적/소극적 수준의 결정’, ‘현행유지’의 전략을 통해 ‘주먹구구식 교육과정 결정’ 현상을 강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숙의과정 없는 주먹구구식 전공교육과정 결정의 결과로 드러난 특징으로는 ‘교수자(teacher)로서의 정체성 약화’, ‘교육과정이 부재한 수업: 나침반 없는 항해’, ‘전공 영토주의 고착화’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활용방안을 가질 것이다. 첫째, 교육과정 결정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과 쟁점, 합의도출과정 등에 대한 분석은 향후 고등교육 기관에서의 교육과정 개선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책적 지원 방향을 수립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서 집단 숙의가 전개되는 모습과 특징, 그리고 숙의를 촉진 또는 저해하는 요인을 밝혀줌으로서 비약적인 교육과정 결정과정의 실체를 이해할 수 있고, 그 안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을 창출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대학의 교육과정 개발과정의 특징과 쟁점, 교육과정 개발 주체들 간의 갈등구조와 양상, 교육과정 결정과정에 대한 경험적 분석 등에 대한 이 연구의 연구결과는 교육과정 개발 당사자(전공교수집단), 교육과정 업무 담당자 혹은 정책 개발자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대학, 교육과정, 교육과정 결정과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