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국경간 외부효과(Cross-border Externality)하에서의 체제변화(Regime Change) 메커니즘 연구: - 국경간 외부효과를 고려한 국제무역, 금융, 정치구조의 체제변화(Regime Change)의 형태연구 및 체제안정화(Regime Stability)를 위한 최적 국제정책조정체계 연구 -
International Policy Coordination for Regime Change under Cross-border Externality - Regime Change in International Trade, Financial, and Political Regime & Policy Coordination Mechanism for Regime Stabilization -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1022153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3 년 (2016년 07월 01일 ~ 2019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영한
연구수행기관 성균관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국경간 외부효과(Cross-border externality)가 나타나는 국제무역, 국제금융 및 국제정치체제의 체제변화 및 체제안정화조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각국별 시장 구조적 특성을 반영하여 국제무역 및 국제금융부문에서의 체제안정화 및 권위주의체제의 체제변화과정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국가간 정책선택과정에서의 상호의존성 및 전염성으로 나타나는 전략적 상보성이 매우 높은 국제무역체제(international trade regime)와 투기적 거래의 영향력이 매우 큰 국제금융시장체제(international financial regime)의 안정화조건 및 권위주의체제(authoritarian regime)의 체제변화요인들에 대한 분석적 연구를 통하여, 무역 및 금융부문에서의 국제정책조정체계와, 대표적인 권위주의체제의 체제변화유도를 위한 국제정책조정체계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가 추진하는, 개별주체들의 전략들이 전략적 상보성뿐만 아니라 전략적 대체성(strategic substitutability)을 가지는 경우를 포괄하는 국제무역 및 국제금융 체제안정화를 위한 국제정책조정체계의 도출은, 다자간 자유무역체제 구축을 위한 협상전략도출에 상당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동시에 2년차 연구로 추진될 국제금융체제의 안정화조건 연구결과는 자기실현적 위기(self-fulfilling crisis)의 특성이 강한 국제금융위기의 억제를 위한 국제정책조정체계 도출자체의 정책신호효과(policy signaling effect)를 밝혀서, 최근까지 그 빈도와 강도가 더욱 심화되고 있는 국제금융위기 억제를 위한 국제정책조정체계 도출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3년차 연구로 추진될 권위주의적 정치체제의 이행 및 안정화조건 연구에서 도출될 정치체제이행조건(political regime changes and transition condition)연구결과는 일반적인 권위주의 체제의 체제이행조건에 대한 연구결과는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Journal of Money & Banking,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등 관련 국제학술지에 게재하여, 연구결과의 국제적 확산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국경간 외부효과와 전략적 상보성(strategic complementarity)을 보이는 국제무역체제, 국제금융체제 및 정치체제의 안정화조건 및 체제붕괴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각국의 시장 구조적 특성을 반영하여 국제무역 및 국제금융부문에서의 체제안정화 및 권위주의체제의 체제변화과정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국가 간 정책선택과정에서의 상호의존성 및 전염성(contagion effect)으로 나타나는 전략적 상보성이 높은, 국제무역체제(international trade regime)와 투기적 거래의 영향력이 큰 국제금융시장체제(international financial regime)의 안정화조건 및 권위주의체제(autocratic regime)의 체제변혁요인들에 대한 분석적 연구를 통하여, 무역 및 금융부문에서의 국제정책조정체계와, 대표적인 권위주의 체제인 북한의 체제변화유도를 위한 국제정책조정체계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러한 분석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도될 체제안정성조건 분석결과는 전략적 상보성을 보이는 체제에서의 체제안정성조건에 대한 기존의 Global Game theoretic approach가 정보체계의 제약, 특히 Noisy signal의 존재에 의해, 체제변화구조를 설명했던 한계를 벗어나, 더욱 다양한 체제변화요인을 밝혀서, 이 분석모형의 현실적합성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국경간 외부효과와 전략적 상보성(strategic complementarity)을 보이는 국제무역체제, 국제금융체제 및 정치체제의 안정화조건 및 체제붕괴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각국의 시장 구조적 특성을 반영하여 국제무역 및 국제금융부문에서의 체제안정화 및 권위주의체제의 체제변화과정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국가 간 정책선택과정에서의 상호의존성 및 전염성(contagion effect)으로 나타나는 전략적 상보성이 높은, 국제무역체제(international trade regime)와 투기적 거래의 영향력이 큰 국제금융시장체제(international financial regime)의 안정화조건 및 권위주의체제(autocratic regime)의 체제변혁요인들에 대한 분석적 연구를 통하여, 무역 및 금융부문에서의 국제정책조정체계와, 대표적인 권위주의 체제인 북한의 체제변화유도를 위한 국제정책조정체계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러한 분석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도될 체제안정성조건 분석결과는 전략적 상보성을 보이는 체제에서의 체제안정성조건에 대한 기존의 Global Game theoretic approach가 정보체계의 제약, 특히 Noisy signal의 존재에 의해, 체제변화구조를 설명했던 한계를 벗어나, 더욱 다양한 체제변화요인을 밝혀서, 이 분석모형의 현실적합성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This paper examines the conditions for effective coordination in financial regulatory policy when banks are politically influential, considering cross-border externalities arising from multinational banking oper- ation. We demonstrate that when banks are inefficient with high loan monitoring costs, regulatory effort is a strategic substitute so that each country’s regulator tends to exert lower effort free-riding that of the other countries’ regulator. On the other hand, when banks are efficient with lower monitoring costs, regulatory effort is a strategic complement and regulators have lower incentives to free-ride. However, regulators face multiple equilibria and thus financial instability if each of them responds in an overly sensitive manner to another’s strategy. In this case, introducing informational barriers can refine multi- ple equilibria into a unique equilibrium. The results suggest that cooperative financial policy coordination mechanism is more likely to be sustained among countries whose banking sectors’ political influence on regulators is smaller and more homogeneou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국가 간 정책선택과정에서 국경간 외부효과(cross-border externality)에 의한 상호의존성과 국가간 전염효과(contagion effects)을 초래하는 전략적 상보성(strategic complementarity)이 강하게 나타나는 국제무역체제, 국제금융체제 및 정치체제의 안정화조건 및 급작스런 체제변화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각국의 시장 구조적 특성을 반영하여 국제무역 및 국제금융체제의 안정화 (regime stabilization) 및 권위주의체제의 체제변화과정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전략적 상보성이 높은 자유무역협정(FTA) 및 다자간 자유무역체제와 같은 국제무역체제(international trade regime)와 투기적 거래의 영향력이 매우 큰 국제금융시장체제(international financial regime)의 안정화조건 및 권위주의체제(authoritarian regime)의 체제변화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무역 및 금융부문에서의 국제정책조정체계와, 권위주의체제의 체제변화유도를 위한 국제정책조정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년차 연구결과(Optimal Exit Cos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는 SSCI 국제학술지인 Global Economic Review (vol. 46, no. 4. pp. 402-421; Dec. 2017)에 게재하였는바, 동 연구결과를 향후 해외직접투자 관련한 국제정책조정체계구축과정에서 정책협력체제도출을 위한 이론적 토대로 활용될 수 있도록 그 활용도를 높여나갈 계획이다. 동시에 대학원과정에서 국제직접투자와 관련된 국제정책조정체계에 대한 이론교육과정에서도 교육자료로도 광범위하게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동 분석에서 확인된 최적FDI철수정책은, 향후 다양한 경제발전정도의 개발도상국이 안정적인 외국인투자유입을 통한 경제성장전략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해외투자를 추진하는 다국적기업이 소재한 국가와 외국인투자 유치를 추진하는 국가들간의 정책조정체계구축과정에서 투자철수과정 관련하여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2년차 연구결과논문 (International policy coordination for financial regime stability under cross-border externalities)은 금융정책관련 field journal 중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SSCI 학술지인 Journal of Banking and Finance (Vol. 97, pp. 177-188, 2018)에 게재되었으며, 향후 금융정책조정체계에 대한 대학원의 교육자료 및 정책참고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다양한 형태의 금융불안정위기에 노출된 소국개방경제의 입장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국경간 외부효과를 초래하는 대국경제의 금융감독체계의 문제점에 초래되는 부정적 외부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국제정책조정체계의 도출에 많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는 정책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3년차 연구결과논문 (Is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Valid for China?)은 국제정책조정체계관련 journal 중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SSCI 학술지인 World Economy에 투고되어, 현재 심사가 진행 중이다. 동 연구결과는 중국지방정부차원의 환경오염물질배출과 관련한 지방정부차원의 국제협력 및 국제정책조정체계도출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만큼, 향후 지방정부 차원에서의 국제정책조정체계도출을 위한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국제정책조정체계, 국제무역 및 국제금융정책조정체계, 국제정책조정체계의 안정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