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표는 세 가지이다. 첫째, 문화자본의 지역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214개의 문화예술회관(문예회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관련 교육프로그램을 전수 조사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기준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의 문화수준을 조사 ...
본 연구의 목표는 세 가지이다. 첫째, 문화자본의 지역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214개의 문화예술회관(문예회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관련 교육프로그램을 전수 조사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기준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의 문화수준을 조사한다. 둘째, 각 지역의 문화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해 경제적 환경과 문화적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변수를 도출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지역적 실태를 조사한다. 셋째, 앞에서 수집한 문화예술관련 교육프로그램의 문화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제적 환경과 문화적 환경의 관련성을 조사하고, 추가적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바에 따라 문예회관 운영주체가 경제 및 문화적 환경이 교육프로그램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절효과를 갖는가에 대해 분석한다.
기대효과
본 연구의 수행 결과 기대되는 효과는 학문적 공헌점과 정책적 공헌점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학문적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문예회관 교육프로그램의 문화수준의 판별 기준은 다양한 기관의 문화예술관련 교육프로그램의 문화수준 판별기 ...
본 연구의 수행 결과 기대되는 효과는 학문적 공헌점과 정책적 공헌점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학문적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문예회관 교육프로그램의 문화수준의 판별 기준은 다양한 기관의 문화예술관련 교육프로그램의 문화수준 판별기준으로 확대 적용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지역 특성으로서의 경제적 및 문화적 요인들은 향후 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차원에서의 지역적 성과에 대한 연구로 확대될 수 있다. 셋째, 문예회관의 운영주체가 갖는 조절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연구함으로써 향후 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문화예술기관의 운영주체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정책적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관련 교육프로그램의 문화수준과 지역 특유의 경제 및 문화적 환경 변수와의 관계를 기반으로 지역의 문화융성을 위해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어떤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둘째, 문화예술정책을 주관하는 중앙부처는 문화향유에 있어서 지역의 균형성장을 이루기 위해 어떠한 정책적 추진해야 하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연구요약
현대사회에서 자기개발 및 자아실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문화예술의 체험과 향유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술관이나 박물관과 같은 문화 인프라가 꾸준히 구축되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체험 및 학습을 위한 문화예술관련 교육프로그램도 지속적 ...
현대사회에서 자기개발 및 자아실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문화예술의 체험과 향유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술관이나 박물관과 같은 문화 인프라가 꾸준히 구축되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체험 및 학습을 위한 문화예술관련 교육프로그램도 지속적으로 확충되고 있다. 부르디외가 설명하는 문화자본의 개념에 의하면 문화자본이 풍부한 환경에서는 일상적인 문화예술 교육과 향유가 이루어져서 이를 통해 삶의 질적인 향상을 이루어지는 반면, 문화자본이 빈약한 환경에서는 문화향유는 일상생활과 분리된 활동으로 인식됨으로써 문화예술에 대한 소비를 특별한 경험으로 여기게 된다. 즉 문화자본적인 환경에 따라 문화향유의 양극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문화자본적인 환경은 다양한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의 성장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단위의 환경에서는 가족의 경제적 환경, 교육적 환경, 그리고 사회적 지위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Bourdieu, 1986). 즉 경제적, 교육적, 사회적 여건이 좋은 가정에서 성장한 사람은 그렇지 못한 가정에서 성장한 사람보다 높은 문화자본을 상속받게 된다. 그런데 이를 지역사회의 단위로 확대해서 살펴보면 특정 지역 주민이 상속받을 수 있는 문화자본 역시 적어도 해당 지역이 가진 경제적, 교육적 및 전반적인 문화적 여건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의 강남과 강북 등 경제적 격차가 존재하는 상이한 지역에 있어서 문화적 취향은 상이할 수 있고(김수정, 최샛별, 2012), 이러한 문화적 격차에 따라 사회적 계급 격차의 심화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조돈문, 2005). 이처럼 지역 간 문화격차와 관련한 문화자본 연구는 주로 특정 지역이나 특정 문화유산과 관련해 이루어져 왔다(서순복, 2010; 서승제, 2009). 또한 문화자본 이론을 발전시켜 교육과 문화 복지를 해석한 연구들도 다수 이루어져왔다(서우석, 2007; 정갑영, 2005). 그러나 지역 주민들에게 제공되는 공적영역의 서비스로서의 교육프로그램과 문화자본을 다룬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정부차원에서 지역 간 문화격차를 완화하고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해 건립한 기반시설인 문예회관과 관련한 연구는 재원 조성 및 운영에 관한 주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지역의 문화향유와 문화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문예회관에 대한 연구는 소수의 연구(예를 들어 서휘석, 류지원, 2012)를 제외하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문예회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관련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해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 지역 문예회관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문예회관은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지역주민을 위한 전시, 공연, 교육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 중 본 연구는 교육기능에 대해 조사하는데, 특정 지역의 문화자본을 측정할 수 있는 변수로서 교육프로그램의 수준을 측정했던 김수정, 최샛별(2012)의 연구를 계승하는 과정에서 그 영역을 서울에서 전국으로 확장하고 대상을 백화점 문화강좌에서 문예회관으로 전환한다. 또한 지역의 문화자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경제적, 문화적 환경과 함께 문예회관의 운영주체로 확대하여 살펴봄으로써 문화자본의 형성에 대한 다각적인 원인에 대해 조사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241개 문예회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3천여 개의 교육프로그램 자료를 수집하여 유형별로 구분하고 문화자본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문화자본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의 경제 및 문화적 변수를 찾아내고 문예회관 자체의 특성에 대한 변수도 포함하여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지역자치단체가 지역의 문화융성을 위해 추진할 수 있는 정책과 함께 중앙정부가 지방의 균형적인 문화발전을 위해 추진할 수 있는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아시아 문화권 중에서도 한국적 지역 환경 및 문화기반시설의 특성이 교육프로그 램의 문화수준을 결정하는지 조사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지역 간 문화수준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알아보 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지역문예회관에서 ...
본 연구는 아시아 문화권 중에서도 한국적 지역 환경 및 문화기반시설의 특성이 교육프로그 램의 문화수준을 결정하는지 조사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지역 간 문화수준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알아보 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지역문예회관에서 운영 중인 문화서비스를 중심 으로 교육프로그램의 문화수준을 측정해 이와 문예회관의 운영주체, 지역의 경제적, 문화적 환경요소가 가지는 유의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의 문화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전국문예회관에서 2014년 5월부터 6개월간 이루어진 3,485개의 프로그램을 수집하였으며 각 프로그램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문화 예술 프로그램의 수준을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재단법인 운영주체, 재정자립도, 문화기반시 설 수는 문화수준과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역 내 문화기반시설의 수와 문화수준과의 높은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내 물리적인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것이 질적인 면의 문화수준을 향상하는 것과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들 간의 실 증분석을 통해 개별적인 유의성이 확인됨으로써 각 변수들의 지역 간 격차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공공에게 문화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지역 환경 및 문화기반시설의 특성에 대한 고려와 함께 지역 간 균형성장을 위한 제도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 구에서는 전국 문예회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3,485개의 교육프로그램을 일일이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문화수준을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는 연속변수를 발견하지 못하여 ‘높은 수준’과 ‘낮은 수준’의 두 단 계의 구분으로 분석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좀 더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한 측정치가 발견되기를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문화관련 교육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했던 이유로 인해 214개 문예회관 중 81개 의 문예회관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문예회관을 대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문 화수준 변수를 이용할 것을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연구 단위로 이용한 시군구 지역의 특성을 통 제하기 위해 광역도시 여부 변수를 사용하였으나 좀 더 구체적인 통제변수로서 연령대, 평균 소득, 교육 수준 등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학이나 백화점 문화센터 등 대체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 는 기관의 수도 통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환경의 변수로서 물리적 환경인 문화기반시설의 수 를 이용했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문화자본과 관련된 여러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다양한 유형의 문화적 요 소에 대한 고려가 더욱 포괄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environment and cultural infrastructure determine the cultural level of educational program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regional cultural level. In order to identi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environment and cultural infrastructure determine the cultural level of educational program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regional cultural level. In order to identify these differences in detail, we measured the cultural level of educational programs centered on cultural services operated by the local literary halls, and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cultural and economic factors of the local community. In order to confirm the cultural level of the educational program, 3,485 programs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al Literature Hall from May 2014 for 6 month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foundation, financial self - reliance, and number of cultural infrastructur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ltural level. It was also found that the expansion of the physical infrastructure in the region wa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cultural level of the qualitative aspect and also the individu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m. This suggests that the provision of cultural services to the public need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environment and cultural infrastructures and to establish a system for balanced regional growth.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in this study. First, even though this study investigated all the 3,485 education programs run by regional culture centers over the nation, we couldn’t find proper continuous variables that may measure cultural capital level of the programs. Thus, we had to dichotomize level into ’high’ and ’low’ to avoid any possible measurement bias. We expect that future studies can find good continuous measures to capture the level of education programs. Second, since the data of this study included only regional culture centers that have culture-related education programs, we had to use 81 centers out of 214 centers. Future studies are expected to use variables that may cover more centers. Third, we used ’Metro(police)’ variable to control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areas, future studies may use more specific variables such as average age, average income, educational level, and so forth. Also, variables for the number of alternative education institutes such as college programs and department store education programs. Lastly, for cultural environment, more diverse cultural elements of areas may be used beyond just the number of cultural facilities that are used in this study.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는 아시아 문화권 중에서도 한국적 지역 환경 및 문화기반시설의 특성이 교육프로그 램의 문화수준을 결정하는지 조사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지역 간 문화수준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알아보 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지역문예회관에서 ...
본 연구는 아시아 문화권 중에서도 한국적 지역 환경 및 문화기반시설의 특성이 교육프로그 램의 문화수준을 결정하는지 조사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지역 간 문화수준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알아보 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지역문예회관에서 운영 중인 문화서비스를 중심 으로 교육프로그램의 문화수준을 측정해 이와 문예회관의 운영주체, 지역의 경제적, 문화적 환경요소가 가지는 유의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의 문화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전국문예회관에서 2014년 5월부터 6개월간 이루어진 3,485개의 프로그램을 수집하였으며 각 프로그램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문화 예술 프로그램의 수준을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재단법인 운영주체, 재정자립도, 문화기반시 설 수는 문화수준과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역 내 문화기반시설의 수와 문화수준과의 높은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내 물리적인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것이 질적인 면의 문화수준을 향상하는 것과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들 간의 실 증분석을 통해 개별적인 유의성이 확인됨으로써 각 변수들의 지역 간 격차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공공에게 문화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지역 환경 및 문화기반시설의 특성에 대한 고려와 함께 지역 간 균형성장을 위한 제도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 구에서는 전국 문예회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3,485개의 교육프로그램을 일일이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문화수준을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는 연속변수를 발견하지 못하여 ‘높은 수준’과 ‘낮은 수준’의 두 단 계의 구분으로 분석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좀 더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한 측정치가 발견되기를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문화관련 교육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했던 이유로 인해 214개 문예회관 중 81개 의 문예회관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문예회관을 대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문 화수준 변수를 이용할 것을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연구 단위로 이용한 시군구 지역의 특성을 통 제하기 위해 광역도시 여부 변수를 사용하였으나 좀 더 구체적인 통제변수로서 연령대, 평균 소득, 교육 수준 등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학이나 백화점 문화센터 등 대체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 는 기관의 수도 통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환경의 변수로서 물리적 환경인 문화기반시설의 수 를 이용했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문화자본과 관련된 여러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다양한 유형의 문화적 요 소에 대한 고려가 더욱 포괄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는 지역문예회관에서 운영되는 교육프 로그램의 문화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 해 전국의 214개 문예회관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 조사하였다. 2014년 현재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 되고 있었던 81개 문예회관 전수를 조사하여 각 문예회관에서 진행되었던 교 ...
본 연구는 지역문예회관에서 운영되는 교육프 로그램의 문화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 해 전국의 214개 문예회관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 조사하였다. 2014년 현재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 되고 있었던 81개 문예회관 전수를 조사하여 각 문예회관에서 진행되었던 교육프로그램을 선행 연구의 분류법을 중심으로 평가하여 높은 문화수 준과 그렇지 않은 문화수준의 프로그램으로 분류 하고 본 연구의 관심 요인인 경제적 환경과 문화 적 환경을 각각 재정자립도와 문화기반시설의 수 로 측정하여 문화수준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련성에 있어서 문예회관의 운영주 체가 어떠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재단법인 여부를 조절변수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와 공헌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정자립도가 높은 지방자치단체에 속한 문예회관에서는 높은 문화수준의 교육프로그램 이 운영되고 있었다. 즉 서울의 강남과 강북 지 역의 비교를 통해 경제적 지위가 높은 지역에서 는 백화점 문화센터와 주민센터에서 특권계급 취 향의 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된다는 김수정, 최샛별(2012)의 연구결과를 지방자치단체 수준 의 문예회관에서도 확인하였다. 둘째, 문화기반시설의 수가 많은 지방자치단체 에 속한 문예회관에서는 높은 문화수준의 교육프 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다. 문화기반시설의 수는 지역의 문화적 수준을 나타내는 상대적 문화지수 (배태영, 2010 이재호, 송건섭, 김도희, 2010) 또 는 국가의 문화경쟁력(김주호, 이은정, 2012)을 구성하는 물리적 요인으로서 문화기반시설이 많 은 경우 문화수준도 높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 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를 지역자치단체 수 준에서 확인하였다. 셋째, 문예회관의 운영주체는 재정자립도나 문 화기반시설의 수가 갖는 위의 영향력에 있어서 차별적인 영향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able 2>의 상관관계표에는 문예회관의 운영주 체가 재단법인인 경우 직영인 경우에 비해 높은 문화수준의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것이 나 타났는데,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문예회관 운영에 있어서 공단 또는 재단의 운영이 직영보다 더 효 율적이라는 선행연구(이미애, 김재근, 2015; 이창 민, 2015)와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 나 이창민, 김인(2016)의 연구에서 재단법인의 운 영주체가 정부직영보다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 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발견하였듯이, 본 연구도 운영주체가 재단법인이라고 해서 항상 높은 수준 의 문화서비스와 연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즉 높은 재정자립도와 재단법인 운영 주체가 상호작용을 하는 경우에 문화서비스의수 준이 오히려 낮아진 것은 본 연구에 포함된 문예 회관 중 높은 재정자립도를 갖는 정부직영 문예 회관이 갖는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하 며 이것은 운영주체가 다른 독립변수, 즉 경제적, 문화적 환경의 요소들에 비해 그리 큰 영향력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