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심혈관 질환 대한 운동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1차년도에는 고지방식이에 의한 비만으로 심장비대를 유도 한 후 활동적 저항성 운동 프로그램이 비기능성 HDL 구조 변화를 통한 염증발현 인자의 상호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서 심혈관 질환에 미치는 ...
◦ 노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심혈관 질환 대한 운동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1차년도에는 고지방식이에 의한 비만으로 심장비대를 유도 한 후 활동적 저항성 운동 프로그램이 비기능성 HDL 구조 변화를 통한 염증발현 인자의 상호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서 심혈관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2차년도에는 심혈관 질환 위험 인자를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장기간 운동 처치에 의한 혈관내피기능 및 염증발현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심혈관 질환 예방과 면역기능 개선을 위한 저항성 운동프로그램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1차년도에는 50주령 SD계 수컷 흰쥐를 대상으로 Con(n=10), Con+Ex(n=10), HFD(n=10), HFD+Ex(n=10) group으로 구분하여 12주간 활동적 저항성 운동프로그램(Treadmill running + Climb down the ladder, 45min)을 주 3회 실시하여 비기능성 HDL 구조와 염증발현 기전을 분석한다. 측정항목 및 분석방법은 체중, 실험식이 섭취량, 신체구성 측정(DEXA), 혈중 변인(HDL3-C, ApoA-I, SAA, glucose, insulin) 분석, 심장근의 단백질(ApoA-I, TLR4, TNF-α, IL-6, IL-15) 발현정도(Western blotting) 및 mRNA 분석(Real-Time Quantitative RT-PCR)을 실시할 것이다.
◦ 2차년도에는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 인자를 가진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Normal(n=20), Normal+Ex(n=20), CVR(n=20), CVR+Ex(n=20) group으로 구분하여 24주간 활동적 저항성 운동프로그램(Elastic band resistance + Silver dance)을 주 3회 실시하여 비기능성 HDL 구조와 염증발현 기전을 분석한다. 측정항목 및 분석방법은 신체구성, 최대운동부하검사, 경동맥내중막두께, 심전도, 혈중 변인(HDL3-C, ApoA-I, SAA, TLR4, TNF-α, IL-6, IL-15) 및 타액(cortisol, SIgA) 분석을 실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