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글로벌 환경변화와 먹거리체계의 대전환
Changing Global Environments & Reinvention in Food Syste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SSK)지원
연구과제번호 2016S1A3A2924243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5 년 (2016년 09월 01일 ~ 202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승호
연구수행기관 건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윤병선(건국대학교)
송원규(원광대학교)
박준용(한양대학교)
김선업
안윤숙(전주대학교)
장동호(공주대학교)
김보영(한양대학교)
이해진(충북대학교)
김철규(고려대학교)
김흥주(원광대학교)
정혜경(호서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최근 기후변화와 시장 세계화 등의 글로벌 환경변화는 미래 사회의 전망을 불안정하게 하며, 안정적 식량공급에 우려가 될 수 있는 상황임. IPCC 5차 평가 보고서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2030년부터 식량 생산량이 50%까지 감소하고, 그 이후 급격히 줄 것이며, 식량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함.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식량생산량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비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연구가 시급함.
    ◦ 현재 세계 식품시장은 소수의 자국적 기업이 지배하고 있는 구조이며, 한국의 식품산업이 글로벌 기업과 세계시장을 상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화와 브랜드 경쟁력 제고가 필요함. 전략적으로 중요한 아시아 주요교역 국가별 차별화된 시장정보를 획득하고, 중국, 일본 아세안 지역에 현지화된 문화 마케팅 강화, 브랜드 개발을 통한 지속 가능한 경쟁력의 확보가 필요함.
    ◦ 그러나 동시에 현재의 농업방식과 식품산업만으로는 식량공급 안정성을 추구하는 데 한계가 있음. 대규모 단일경작에 기초한 현재 산업화된 농업‧식품체계(agri-food system)는 각종 환경오염, 자원고갈, 지구온난화 등 생태문제와 그것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는 요인으로 지적됨. 현재의 지배적인 먹거리 생산·유통·소비방식은 사회·생태적 지속가능성 면에서 한계가 있으므로 체계적인 분석과 구상에 기초하여 대안적 농식품체계로의 장기적 전환을 준비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센터는 자연적, 사회적 미래 환경을 포괄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미래 글로벌 환경변화에 의한 불확실성을 분석하고 적절한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미래 사회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고자 함. 이를 위하여 기후변화와 식량자원의 생산성 간의 관계, 기후변화에 따른 대안항로 연구, 식품산업의 글로벌화와 창조적 혁신에 관한 연구, 먹거리체계의 대전환을 통한 대안사회 모색과 이의 지속가능성 전략 등을 분석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임.
    ◦ 본 연구센터는 ‘미래 글로벌 환경 변화 속에서 행복한 삶 추구’를 비전으로 제시하고, ‘글로벌 환경변화 속에서 지속가능한 먹거리체계 실현 방안 제시’를 연구의 목표로 둠.
  • 기대효과
  • ◦ 식품산업은 국민에게 기본적인 먹거리를 공급하는 산업으로서 건강증진, 노화방지 등 기능적 역할 및 문화적 충족까지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으며,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가 다양화 되고, 식품산업과 첨단기술, 문화, 관광 등 타 영역과의 융⦁복합이 가속화 되고 부가가치가 높아져 미래 유망산업으로 떠오르고 있으므로 본 연구주제는 미래 한국사회의 변화상을 반영하고 있음.
    ◦ 한국의 농업·환경조건 분석을 공유하기 위해서 관행 농식품체계의 경제적·환경적 개선 전략을 추구하며, 더불어 경제적 지속가능성보다는 주류 전략의 한계를 비판·보완·대체하며 사회생태적 지속가능성에 더 초점을 맞추는 먹거리 대안체계로의 전환 전략을 동시에 추구해야함. 이를 통하여 확대된 개념의 ‘한국사회의 먹거리 보장’ 또는 ‘농식품체계를 통한 한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장기적인 종합적 차원에서 추진 가능함.
    ◦ 북극 대안항로 연구는 농산물 운송 과정에 있어 한국에서 수입하는 농산물, 한국으로 운송되는 경로를 반영하여 한국의 기후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 운송 경로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여 글로벌 환경변화에 따른 외부 효과로 인해, 미래의 한국사회가 이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북극 대안항로를 제시할 것임. 북극항로는 기존항로에 비해 운송거리를 약 40% 감소시켜, 긍정적 경제효과가 예상되지만, 실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북극항로의 계절성과 위험성 등을 고려한 명확한 분석이 필요함. 이에 본 연구센터는 기존 항로와 북극항로의 비교를 통하여 기존 항로의 문제점을 제시하여 보다 유리한 농산물 운송의 새로운 기준점을 제시할 수 있음. 이런 연구를 시작으로 차후에 상품과 경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된다면 미래의 한국 사회에 대한 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식품시장의 규모는 2016년에 6조$를 넘을 전망이며, 연평균 4.5%씩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고, 아시아-태평양은 세계 최대 식품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됨. 국내 식품산업도 신성장동력으로 재인식되고 있으며,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시장으로 진출할 경우 국부창출에도 크게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그러나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현장에서의 정책적 적용 경험에 대한 실무적 아카이브가 결여되어 있어 해당 분야에 대한 비교우위 확보가 어려움. 본 센터는 우리 농식품산업의 수요기반을 확대하고 시장규모화로 수급안정에 기여하며 글로벌 경쟁력 증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됨.
  • 연구요약
  • ◦ 본 연구센터는 “미래 글로벌 환경변화 속에서 행복한 삶 추구”를 비전으로 하면서, 이를 위한 융합심화단계 연구의 총괄목표로 “미래 글로벌 환경변화 속에서 지속가능한 먹거리체계 실현방안 제시”를 설정하였음.
    ◦ 본 연구센터는 기존 소형·중형단계 연구 성과들에 기반하여 ‘기후변화와 식량의 안정성’, ‘식품산업의 글로벌화 & 창조적 혁신’, ‘먹거리체계의 대안적 분배조건과 지속가능한 대안사회’란 세 주제영역을 발굴하였음.
    -[기후변화 연구팀] 기후변화가 주곡 및 원예작물 등의 국내생산 및 한국의 주요 농산물 수입작물인 밀, 옥수수 같은 곡물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국제적 공급·물동량의 변동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경제성 있는 대안항로·수송방식을 개발하고자 함.
    -[시장세계화 연구팀] 한중일을 중심으로 국내·외의 신소비트랜드와 먹거리 소비문화, 브랜드가치 창출과 융복합 기능성식품 개발, 문화마케팅 전략 등의 각국 식품산업의 혁신패턴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한국 식품산업의 신시장개척을 준비하며 글로벌 가치연쇄분석과 식품안전관리 시스템의 국가 간 비교를 추가함으로써 한국 식품산업의 미래 발전에 필수적인 세계적 경쟁력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현재의 농업·식품산업 체계는 집약적인 자본·에너지 투입구조와 환경·생태적 외부성 때문에 지속가능의 한계가 발생함.
    -[대안먹거리 연구팀]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사회·경제·생태적으로 더 지속가능한 한국형 대안 농·식품체계 모형” 마련을 연구목표로 함. 즉, 대안먹거리 연구팀은 먹거리체계의 대전환을 통한 대안사회 모색과 지속가능성 전략 개발을 자체 비전으로 하여 사회·생태적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먹거리정의(food justice)와 연대를 촉진하며, 먹거리정책의 통합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대안먹거리체계의 현실과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특히 다양한 사례의 연구를 통해 이론적·경험적으로 구명함으로써 각 계층에 적합한 실천방안과 지침을 제공하고자 함.
    ◦ 본 연구센터의 ‘미래 글로벌 환경변화와 위기관리 연구단’은 가까운 미래의 기후·환경 변화 등을 고려한 현재 한국 농·식품체계의 양적·질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먹거리 지속가능성 연구단’은 그것을 보완하는 동시에 장기적으로 준비해야 할 대안체계에 관한 이론적·실천적 작업을 사전에 준비하여 우리 한국인이 “미래 글로벌 환경변화”에서도 먹거리와 관련하여 어떤 불안·불편도 없는, 나아가 음식이 제공하는 사회성과 문화성을 향유하는 “행복한 삶”을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고자 함.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자연적, 사회적 미래 환경을 포괄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미래 글로벌 환경변화에 의한 불확실성을 분석하고 적절한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미래 사회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고자 함. 이를 위하여 ‘기후변화와 식량의 안정성’, ‘식품산업의 글로벌화 & 창조적 혁신’, ‘한국의 사회·생태적 조건에 맞는 대안 먹거리체계’란 세 주제영역에 대해 연구를 수행함.
    기후변화가 주곡 및 원예작물 등의 국내 생산 및 한국의 주요 농산물 수입작물인 밀, 옥수수 같은 곡물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 각국 식품산업의 혁신패턴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한국 식품산업의 신시장개척을 준비하며, 한국 식품산업의 미래 발전에 필수적인 세계적 경쟁력 제고방안을 제시함. 먹거리체계의 대전환을 통한 대안사회 모색과 지속가능성 전략 개발을 목표로 하여 사회·생태적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먹거리정의(food justice)와 연대를 촉진함.
    즉, 가까운 미래의 기후·환경 변화 등을 고려한 현재 한국 농식품체계의 양적·질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한국인이 “미래 글로벌 환경변화”에서도 먹거리와 관련하여 어떤 불안·불편도 없는, 나아가 음식이 제공하는 사회성과 문화성을 향유하는 “행복한 삶”을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음.
  • 영문
  • This research project aims to minimize the risks of the future society by taking an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the natural and social future environment, analyzing the uncertainty caused by future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and preparing appropriate countermeasures. To this end, research was conducted on three thematic areas: ‘climate change and food stability’, ‘globalization and creative innovation of the food industry’, and ‘alternative food system suitable for Korean social and ecological conditions’.
    We investigate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domestic production of main grains and horticultural crops, and on the production of grains such as wheat and corn, which are major agricultural crops imported in Korea. And we prepar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markets in the Korean food industry by analyzing the innovation patterns of each country's food industry from various angles, and suggests ways to enhance global competitiveness essential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Korean food industry. We tried to find an alternative society and develop a sustainability strategy through a major transformation of the food system, thereby enhancing social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promoting food justice and solidarity.
    In other words, we sugges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mprovement plans of the current Korean agri-food system in consideration of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near future. We contributed to making sustainable a “happy life” in which Koreans do not have any anxiety or discomfort related to food in the “future global environmental change” and further enjoy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provided by foo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글로벌 환경변화와 지속가능한 먹거리 연구센터]는 “미래 글로벌 환경변화 속에서 행복한 삶 추구”를 비전으로 하면서, 이를 위한 융합심화단계 연구의 총괄목표를 “미래 글로벌 환경변화 속에서 지속가능한 먹거리체계의 실현방안 제시” 로 설정하였음. 자연적, 사회적 미래 환경을 포괄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미래 글로벌 환경변화에 의한 불확실성을 분석하고 적절한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미래 사회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고자 하였음.
    이를 위하여 기후변화와 식량자원의 생산성 간의 관계, 식품산업의 글로벌화와 창조적 혁신, 먹거리체계의 대전환을 통한 대안사회 모색과 이의 지속가능성 전략 등을 연구하였음. 한·중·일을 중심으로 글로벌 환경변화가 식량체계에 미치는 영향 파악을 목표로 ‘글로벌 환경변화가 동아시아 식량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기후변화가 식량 생산조건에 미치는 영향과 수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 또한 식품산업의 글로벌화와 창조적 혁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시장의 세계화에 따른 한국 식품산업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창조적 혁신 전략방안을 모색하였으며, 한국형 대안먹거리체계로의 대전환을 통한 대안사회 모색과 지속가능성 전략을 수립하였음.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글로벌 환경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처하면서 단기적으로 현재 한국사회의 식량안보 수준을 유지하고, 장기적으로는 사회·생태적으로 더 지속가능한 대안적 먹거리체계를 만들기 위해서 식량생산 조건 연구(기후변화팀), 농식품의 국제적 교역조건 연구(시장 세계화팀), 대안적 농식품체계 연구(대안먹거리팀) 등 세 팀의 연합에 의한 융합연구 추진으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였음.
    기후변화와 식량자원의 생산성 간의 관계, 식품산업의 글로벌화와 창조적 혁신, 먹거리체계의 대전환을 통한 대안사회 모색과 이의 지속가능성 전략 등을 연구하였음. 가까운 미래의 기후·환경 변화 등을 고려한 현재 한국 농·식품체계의 양적·질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장기적으로 준비해야 할 대안체계에 관한 이론적·실천적 사전준비를 수행함. 즉, “미래 글로벌 환경변화”에서도 먹거리와 관련하여 어떤 불안·불편도 없는, 나아가 사회성·문화성을 향유하는 “행복한 삶”이 지속가능하도록 기여하고자 하였음.
    본 연구센터는 아젠다인 글로벌 환경변화와 지속가능한 먹거리에 걸맞게 서울시 친환경급식관, 지역재단의 먹거리정책·교육센터, 환경정의·먹거리정의센터, 연구공동체 건강과 대안,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등과 상설적 연계방안을 마련하여 연구성과의 일상적 정책화를 도모함. 연구자(researcher)로서뿐 아니라 한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통합적 정책의 조정자(coordinator), 나아가 새로운 의제와 정책대안을 사회에 계속 제시하는 활동가(social actor)로서도 기여할 수 있음.
  • 색인어
  • 기후변화 / 위기관리 / 먹거리 / 지속가능성 / 환경변화 / 시장세계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