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사물인터넷 기술의 사회적 책임과 삶의 질
Socially Responsible IoT and Quality of Lif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SSK)지원
연구과제번호 2016S1A3A2924760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3 년 (2016년 09월 01일 ~ 201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성철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지성욱(Southern Illinois University - Carbondale)
최경진(가천대학교)
최세정(고려대학교)
남찬기(한국과학기술원)
류민호(호서대학교)
김도경
김승주(고려대학교)
성용준(고려대학교)
정윤혁(울산과학기술대학교)
이소은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사물인터넷의 막대한 경제적, 사회적 파급효과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사물인터넷에 관한 학계의 기존 연구는 기술적 관점에 치중되어 있었다. 특히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사물인터넷 생태계 전체를 조망하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단은 사물인터넷에 대한 개괄적 연구 수준을 넘어 사물인터넷 기술에 대한 사회과학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사물인터넷 기술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사물인터넷 기술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업과 정부의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지를 종합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단은 3개의 세부과제 팀으로 운영되며, 산업, 기술, 이용자, 사회, 제도 등 사물인터넷 기술이라는 거대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다양한 관점들을 망라하고자 한다. 참여연구자들은 ICT, 미디어, 산업 및 경영, 소비자, 법제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서, 융합적 공동연구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부과제별로 배치되었다. 특히 제3세부과제에는 해외학자가 전략적으로 유치되어 국제적 공동연구를 조금 더 수월하게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생태계 전체를 다학제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융합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단은 3개의 세부과제 팀으로 구성된다. 제1세부과제 주제는 “사물인터넷 기술의 기회와 위험”으로서 사물인터넷 기술이 가져오는 산업적 기회와 사회적 위험을 탐색한다. 주요 사물인터넷 서비스 발전현황으로부터 시작해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모델, 킬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간 상호융합, 산업구조 재편 등 산업적 기회 창출을 모색하는 한편, 기술적 위험 요소 및 공격 시나리오 등 사물인터넷에 내재한 위험을 파악하고 그 대응방안을 도출한다. 제1세부과제의 연구결과는 궁극적으로 관련 산업의 구조를 재편하기 위한 기업과 정부의 전략에 시사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신뢰성 있고 안전한 사물인터넷 시장과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제2세부과제 주제는 “사물인터넷 기술과 삶의 질”로서 이용자 관점에서 사물인터넷 기술의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연구한다. 사물인터넷이 일상적 삶과 직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심리학 및 소비자 행동 관점에서 분석함과 동시에 기술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대응 및 그로 인한 사회적 변화를 추적한다. 사물인터넷이 궁극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삶의 질과 행복을 고찰한다는 면에서 기술과 인간의 상호작용 연구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함과 동시에 부정적 측면에 대한 연구를 함께 진행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이고 균형 잡힌 사물인터넷 이용자 연구방향을 개척하고자 한다.
    제3세부과제 “사물인터넷 기술과 사회적 책임”에서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지속가능한 산업 분야로 정착시키기 위한 기술적, 사회적, 제도적 요소를 도출하고 그 실현방안을 탐색한다. 사물인터넷에 대한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으로 지속가능성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생태계 단위로 확장해 바람직한 산업구조와 기업행위를 제시한다. 또한 사물인터넷 관련 국내 실정법 및 제도의 현황을 검토하고 산업과 사회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법제적 준비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불어 사물인터넷의 기술적, 사회적, 정책적 요소들에 관한 국제적 현황과 변화방향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건강한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을 위한 이론적,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3세부과제의 연구결과는 책임 있는 사물인터넷 발전방향과 이를 위한 제도적, 환경적 준비사항들을 제시하는 것이 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사물인터넷의 막대한 경제적, 사회적 파급효과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사물인터넷에 관한 학계의 기존 연구는 기술적 관점에 치중되어 있었다. 특히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사물인터넷 생태계 전체를 조망하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단은 사물인터넷에 대한 개괄적 연구 수준을 넘어 사물인터넷 기술에 대한 사회과학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사물인터넷 기술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사물인터넷 기술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업과 정부의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지를 종합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단은 중형단계 3년간 연구아젠다인 ‘융합적 학문과 기술’과 연구주제인 ‘사물인터넷 기술의 사회적 책임과 삶의 질’에 부합하는 연구활동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사물인터넷 기술로 인한 사회적 기회와 위협, 이용자의 수용과 역기능, 사물인터넷 기술 관련 정책과 법제에 대한 연구를 고루 진행하여 산업, 이용자, 정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생태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관련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사물인터넷 기술의 사회적 책임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결과는 학계는 물론 산업, 정책 분야에서도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영문
  • Despite the expectation that IoT would have great ripple effects on the economy and society, prior research mostly focused on the technological aspect. Especially, there was littl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research studying the entire IoT ecosystem in terms of social science. Based on a socio-scientific understanding of IoT technology, our research has been aimed at systematically analyzing how IoT technology effects on quality of life and comprehensively investigating what industry and government’s social responsibilities are, beyond general research on IoT. We have carried out research corresponding to what has been our three-year research agenda and research subject, ‘Convergent Study and Technology’ and ‘Socially Responsible IoT and Quality of Life’ respectively. A varied range of research – from social opportunities and threats stemming from IoT technology, user’s acceptance, side effects on users, to IoT technology-related policies and laws – has been conducted. The result of studies would provide salient implications for diverse stakeholders in the ecosystem such as practitioners, users, and policymak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단은 사물인터넷 기술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사물인터넷 기술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업과 정부의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지를 종합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3년간 사물인터넷 기술로 인한 사회적 기회와 위협, 이용자의 수용과 역기능, 사물인터넷 기술 관련 정책과 법제에 대한 연구를 고루 진행하여 산업, 이용자, 정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생태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관련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단은 중형단계 3년간 연구아젠다인 ‘융합적 학문과 기술’과 연구주제인 ‘사물인터넷 기술의 사회적 책임과 삶의 질’에 부합하는 연구활동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사물인터넷 기술로 인한 사회적 기회와 위협, 이용자의 수용과 역기능, 사물인터넷 기술 관련 정책과 법제에 대한 연구를 고루 진행하여 산업, 이용자, 정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생태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관련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단이 중형단계 3년간 수행한 사물인터넷 기술의 사회적 책임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사물인터넷 기술로 발생하는 기회와 위험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연구 문제와 해법을 융합적 시각에서 제시함으로써 사물인터넷 기술과 관련한 융합적 논의가 필요함을 공론화하였다. 이에 사물인터넷 기술 관련 연구 분야를 개척하고 확장한 것은 물론 사물인터넷 기술로 발생하는 사회문제 해결 방안 모색에도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사물인터넷 기술이 유발하는 새로운 사회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필요한 근거 자료를 구축하여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 측면에서 사물인터넷 기술의 수용과 저항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고, 연구 결과는 사물인터넷 기술로 인한 사용자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넷째, 사물인터넷 서비스 산업의 지속가능성이나 생태계 관련 연구 수행을 통해 사물인터넷 기술 관련 산업과 실무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사물인터넷 기술 관련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종합하자면, 본 연구단은 중형단계 3년간 학술적인 측면은 물론 사물인터넷과 관련한 정책, 이용자, 산업을 아우르는 종합적이고 입체적인 융합연구를 수행해왔다. 이에 본 연구단이 수행한 연구의 결과들은 사회문제 해결, 정책 마련, 산업 활성화, 이용자 보호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사물인터넷, 사물인터넷 기술, 기술과 삶의 질, 기술의 사회적 책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