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본 연구의 목표는 로봇 활용 SW교육을 위한 설계-평가모델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다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제안하는 것임. 이를 통해 로봇 활용 SW교육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초등학교 현장에서 활성화할 수 있는 설계/운영/평가 전략을 제시하고 ...
▶연구목표: 본 연구의 목표는 로봇 활용 SW교육을 위한 설계-평가모델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다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제안하는 것임. 이를 통해 로봇 활용 SW교육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초등학교 현장에서 활성화할 수 있는 설계/운영/평가 전략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내용: 이상에서 언급한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연구의 내용은 크게 로봇 활용 SW교육 설계모델개발, 로봇 활용 SW교육 성과측정을 위한 평가모델개발, 로봇 활용 SW교육의 효과성검증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뉨.
- 모든 교육적 처방의 목표는 학습 성과 향상임에도 불구하고 로봇 활용 SW교육 맥락에서의 학습 성과 관련 연구가 미흡한 현실임. 또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컴퓨팅사고력을 중심으로 한 개인 내적 역량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고, 대인관계적 역량의 측정은 간과한 측면이 있음. 따라서 다면적이고 역량중심의 통합적인 학습성과지표 개발이 필요함. 이때 평가지표는 로봇 활용 SW교육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형성적 프로그램 평가 및 총괄적 프로그램 평가의 개념으로 접근하며, 로봇 활용 SW교육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 더 나아가 지속적 제공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함.
▶연구추진전략
- PTD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로봇 활용 SW 연구 프레임워크 개발: 로봇 활용 SW교육 성과측정시 역량에 대한 자기보고식설문이나 루브릭을 통한 성과물 측정 외에 관찰을 통한 학습 자료에 대한 신체적, 정서적 반응, 협력적웹(Collaboration web)을 통한 소셜네트워크 측정 등의 자료를 통해 학습자 행동이 나타나게 된 심리적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교수학습 처방을 개선하고자 함.
- 소셜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을 통한 대인관계역량 분석: SNA는 기존의 통계적 분석으로 접근할 수 없었던 관계(사람과 사람, 정보와 정보 등)와 상호작용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거시적, 미시적 관계 패턴을 파악하는 연구방법으로, SW교육은 팀 내에서의 협력과 팀 간의 경쟁 등을 통해 학습이 진행되므로 학습자간, 학습자-교사, 학습자-정보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함. 이러한 상호작용패턴을 분석하여 대인관계역량평가나 프로젝트 팀구성시 활용할 예정임.
- 설계기반연구방법론(Design-based Research: DBR)을 적용한 지속적인 수정보완: 설계기반 연구는 실증적 연구를 하는 동시에 지속적인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해 반복적인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이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발생하는가를 추적하고, 현실적인 설계가 가능하 게 함. 본 연구에서도 설계기반연구를 통해 로봇 활용 SW교육 설계모델을 현장에 바로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하여 현장적합성을 강화할 예정임.
-로봇활용SW지원협의회 형성: 1차년도에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로봇 활용 SW교육 설계-평가모델과 측정지표, 측정도구들을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하고, 현장에서의 이슈들을 협력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로봇공학전문가, 교육공학전문가, 초등컴퓨터교육전문가, SW초등교사와의 지원체제를 공고히 할 예정임. 이를 통해 연구에서 개발된 성과들이 현장에 적용되고, 현장의 문제점들이 다시 연구에서 활용될 수 있는 선순환적 지원협의회를 형성하고자 함.
- 1차년도에는 K대 로봇 활용 SW교육에 참가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행 후 수정보완한 수업설계, 평가지표, 측정도구를 2차년도에 로봇SW선도학교에서 활용예정임. 2차에 걸친 설계-처치-개선-재적용 과정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한 설계-평가모델, 평가지표, 측정도구들은 컴퓨터교육관련학회발표 및 유관 등재지에 게재하여 연구성과를 확산하고 모델 및 측정도구를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할 예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