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령대별 발달을 고려한 친환경 아동용 가구 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평가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Eco-friendly Children's Furniture Design Guideline and Evaluation Tool considering Children's Growth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3926097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3 년 (2016년 11월 01일 ~ 2019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자경
연구수행기관 인하공업전문대학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문선욱(청운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친환경 아동용 가구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정립을 토대로 연령대별 발달을 고려한 친환경 아동용 가구를 개발하기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고 친환경 가구 소재와 구조, 공법, 5R, 지속가능성을 적용하는 방법과 연령대별 감성과 발달을 고려한 놀이와 오감을 자극하는 방법에 대한 DB화와 아동용 가구의 친환경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도구 개발에 있다. 이를 통해 미래 소중한 자산인 아동의 건강과 복지에 기여하고 실무에의 적용 가능성을 높여 국내 아동용 가구 시장의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활성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여도 1.복합적 차원의 친환경 아동용 가구 개발 방법론 확립 2.아동용 가구디자인, 신소재, 제어 기술 융합 제품 개발 기반 조성 3.친환경 가구 소재 개발을 통한 다양한 제품 개발의 기반 조성 4.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대한 제시 5.친환경 아동용가구 개발 프로세스 구축을 통한 단계별 기술 기반 구축 6.친환경 아동용 가구 제작 기법의 발전 및 다양화에 기여 7.각각의 유닛들이 분리, 재조합, 확장을 가능케 하는 가구 제작 기술 개발 8.어린이 참여 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방법론 확립 (2) 경제ㆍ산업적 기여도 1.새로운 고유 독자 브랜드 창출과 친환경 아동용 가구 산업 기반 조성, 2.국가 차원의 친환경 아동용 산업 전반 경쟁력 강화, 3.수입 가구 대비 국내 가구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함으로 국내 아동용 가구 시장 활성화 기반 구축, 4.친환경 아동용 가구 신제품 기획 시 시간 단축에 의한 모델 확산에 기여, 5.국내 시장 및 해외 시장 수출 주력 상품 개발로 수입 대체 효과 (3) 사회적 기여도 1.건강 기능성에 의한 아동의 건강 증대 효과, 2.친환경 아동용 가구에 대한 고정 관념 탈피와 재인식 효과 3.소비자 선택의 폭 확대와 다양한 신소재와 친환경 아동용 가구에 대한 정보 제공 (4)교육과의 연계 활용 1.친환경 아동용 가구, 친환경 가구 디자인 전문가 교육 자료로 활용 2.관련 기관(놀이 가구 업체, 아동용 가구 업체, 완구 제작 업체, 유치원, 보육기간 등)의 현장 및 실무교육 자료로 활용 3.디자인 공무원, 친환경 공간 분석 전문가 교육 양성 자료로 활용 4.일상생활에서 아동의 감성교육, 창의적 교육 측면에 기여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친환경 아동용 가구에 대한 총제적인 연구로 이론연구와 친환경 소재와 가구 제품에 대한 친환경성 검증을 위한 실험연구, 사용자와 소비자 관찰 및 면담 연구, 실질적 실무 프로세스 연구, 평가 도구 개발까지 아우르는 통합적인 연구로 다학문적인 프로세스가 요구되고, 세부적인 실험과 가이드라인에 의한 가구 목업 제작 등 검증된 결과를 얻기 위한 단계적인 접근과 개발이 요구되어 3년 동안 이루어지는 연구이다. 기본 유형은 학습용, 휴식용, 수납용, 기타로 4가지 타입의 친환경 아동용 가구 유형을 설정하고 다시 소재별, 연령대별 구분하는데 0~1세, 2~3세, 4~5세, 6~7세, 8~10세, 11~13세로 구분하여 이에 대한 기본 기능 충족 요건과 디자인 고려조건, 소재에 따른 친환경 계획요소를 도출하여 가이드라인을 구축하는데 있다. 가이드라인을 구축하면서 연령대별 발달에 적합한 가구 디자인 매뉴얼 도출을 하는데 연령대별 인체공학 치수 + 사용자 선호도 + 소비자 선호도 + 아동의 신체⋅사회⋅정서⋅언어⋅놀이 발달 고려 + 감성 발달 요소+ 친환경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디자인 체크리스트표를 개발 하고, 아동용 가구의 친환경성을 평가하거나 친환경 가구 제작을 위한 가구 디자인 계획이나 제조 과정상, 제작 후에 친환경성이 얼마나 반영되었는지를 평가 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하고자 한다. 특히 가구의 친환경성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 기준과 디자인 가이드라인 도출을 위해 가구 소재와 구조의 안전성, 5R(Reduce, Reform, Reuse, Recycle, Replace), 지속가능성을 적용하는 방법을 DB화 한다. 이를 위해 소재의 안전성은 소재 테스트와 실험을 통해 구체적인 기준 데이터를 도출하고, 가이드라인과 평가 지표를 제시한다. 또한 아동들의 발달과 창의력, 감성 발달을 위한 감각 요소 자극을 위한 다양한 색채, 소리, 향, 촉각을 자극하는 방법을 체계화하고 디자인을 매뉴얼화 함으로 실효성을 증명하고자 한다. 이에 이러한 실험과 조사를 토대로 아동용 가구를 크게 학습, 휴식, 수납, 기타로 구분하여 각 연령대별로 기본 유형, 형태, 색채, 친환경 소재와 공법 등에 대한 기본 조건을 DB화하여 제시하고, 친환경 아동 가구가 갖추어야 할 친환경 가구로서의 특성, 조건, 소재별, 공법 등을 DB화하고 각 아이템별, 연령대별로 친환경 아동용 가구 디자인 가이드라인 작성하고, 아이템별, 소재별, 오감별로 감성발달을 위한 친환경 아동용 가구 기본 타입을 제안하여 21세기 변화하는 환경 속에 이상적인 친환경 아동용 가구의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안하고, 다양한 아동용 가구의 친환경성에 대한 평가 기준 및 도구를 구축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친환경 아동용 가구에 대한 총제적인 연구로 이론연구와 친환경 소재와 가구 제품에 대한 친환경성 검증을 위한 실험연구, 사용자와 소비자 관찰 및 면담 연구, 실질적 실무 프로세스 연구, 평가 도구 개발까지 아우르는 통합적인 연구이다. 친환경 아동용 가구 유형을 학습용, 휴식용, 수납용, 기타로 4가지 타입의 설정하고, 다시 연령대별 0~1세, 2~3세, 4~5세, 6~7세, 8~10세, 11~13세로 구분하여 이에 대한 기본 기능 충족 요건과 디자인 고려조건, 소재에 따른 친환경 계획요소를 도출하여 가이드라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령대별 발달에 적합한 가구 디자인 매뉴얼 도출을 하는데 연령대별 인체공학 치수 + 사용자 선호도 + 소비자 선호도 + 아동의 신체⋅사회⋅정서⋅언어⋅놀이 발달 고려 + 감성 발달 요소+ 친환경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아동용 가구의 친환경성을 평가하거나 친환경 가구 제작을 위한 가구 디자인 계획이나 제조 과정상, 제작 후에 친환경성을 반영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아동용 가구의 친환경성에 대한 구체적인 디자인 가이드라인 도출을 위해 가구 소재와 구조의 안전성, 5R(Reduce, Reform, Reuse, Recycle, Replace), 지속가능성을 적용하는 방법을 데이터화 하였다. 또한 아동들의 발달과 창의력, 감성 발달을 위한 감각 요소 자극을 위한 다양한 색채, 소리, 향, 촉각을 자극하는 방법을 체계화하고 디자인을 매뉴얼화 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아동용 가구를 크게 학습, 휴식, 수납가구를 중심으로 영아용(0-1세), 유아용(2-7세) 학생용(8~13세) 구분하여 제품 개발과 소비자들의 선택이 용이하도록 각 연령대별로 기본 유형, 형태를 패턴화 하여 DB작업을 하여 가구 디자인 프로그램 개발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에 최종적으로 각 아이템별, 연령대별로 친환경 아동용 가구 디자인 가이드라인 작성하고, 아이템별, 소재별, 오감별로 감성발달을 위한 친환경 아동용 가구 기본 타입을 제안하여 21세기 변화하는 환경 속에 이상적인 친환경 아동용 가구의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is a comprehensive study on eco-friendly children's furniture, which includes theoretical studies, experimental studies for eco-friendly verification of eco-friendly materials and furniture products, user and consumer observation and interview studies, practical process studies,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Four types of eco-friendly children’s furniture were set up for learning, relaxation, storage, and other, and the guidelines were established by drawing environmental planning elements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for satisfying basic functions, design considerations and materials by dividing the ages from 0 to 1, 2 to 3, 4 to 5, 6 to 7, 8 to 10, and 11 to 13. In order to derive a design manual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each age group, a study that considers ergonomic dimensions, user preferences, consumer preferences, emotional development factors, eco-friendliness, children's physical, social, emotional, language, and play development by age group is conducted. In order to derive specific design guidelines for the eco-friendliness of children's furniture, data on how to apply the safety of furniture materials and structure, 5R (Reduce, Reform, Reuse, Recycle, Replace), and sustainability were recorded. This study has also formulated a design manual and organized various ways of stimulating colors, sounds, scents and touch for children's development, creativity and emotional development. Finally, children's furniture is divided into children's (0-1 years) and infants (2-7 years) and students (8 ~ 13 years), focusing on learning, rest, and storage furniture. To facilitate product development and consumer choice, the basic types and forms were patterned for each age group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furniture design programs. In this study, the guidelines for eco-friendly children's furniture design were prepared for each item and age group, and basic items of eco-friendly children's furniture for emotional development by item, material, and five senses were propo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esign methodology of eco-friendly children's furniture that is ideal in the changing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친환경 아동용 가구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정립을 토대로 연령대별 발달을 고려한 친환경 아동용 가구를 개발하기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고 친환경 가구 소재와 구조, 공법, 5R, 지속가능성을 적용하는 방법과 연령대별 감성과 발달을 고려한 연령대별로 적합한 가구 패턴 DB화와 아동용 가구의 친환경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도구 개발에 있다. 이를 통해 미래 소중한 자산인 아동의 건강과 복지에 기여하고 실무에의 적용 가능성을 높여 국내 아동용 가구 시장의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활성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기여도 1.복합적 차원의 친환경 아동용 가구 개발 방법론 확립 2.아동용 가구디자인, 신소재, 제어 기술 융합 제품 개발 기반 조성 3.친환경 가구 소재 개발을 통한 다양한 제품 개발의 기반 조성 4.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대한 제시 5.친환경 아동용가구 개발 프로세스 구축을 통한 단계별 기술 기반 구축 6.친환경 아동용 가구 제작 기법의 발전 및 다양화에 기여 7.각각의 유닛들이 분리, 재조합, 확장을 가능케 하는 가구 제작 기술 개발 8.어린이 참여 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방법론 확립 (2) 경제ㆍ산업적 기여도 1.새로운 고유 독자 브랜드 창출과 친환경 아동용 가구 산업 기반 조성, 2.국가 차원의 친환경 아동용 산업 전반 경쟁력 강화, 3.수입 가구 대비 국내 가구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함으로 국내 아동용 가구 시장 활성화 기반 구축, 4.친환경 아동용 가구 신제품 기획 시 시간 단축에 의한 모델 확산에 기여, 5.국내 시장 및 해외 시장 수출 주력 상품 개발로 수입 대체 효과 (3) 사회적 기여도 1.건강 기능성에 의한 아동의 건강 증대 효과, 2.친환경 아동용 가구에 대한 고정 관념 탈피와 재인식 효과 3.소비자 선택의 폭 확대와 다양한 신소재와 친환경 아동용 가구에 대한 정보 제공 (4)교육과의 연계 활용 1.친환경 아동용 가구, 친환경 가구 디자인 전문가 교육 자료로 활용 2.관련 기관(놀이 가구 업체, 아동용 가구 업체, 완구 제작 업체, 유치원, 보육기간 등)의 현장 및 실무교육 자료로 활용 3.디자인 공무원, 친환경 공간 분석 전문가 교육 양성 자료로 활용 4.일상생활에서 아동의 감성교육, 창의적 교육 측면에 기여
  • 색인어
  • 친환경 아동용 가구, 친환경 아동용 가구 가이드라인, 친환경 가구 평가 도구,친환경 가구 소재, 친환경 유아용 가구, 친환경 학생용 가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