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내부자본시장의 효과
The Effect of Internal Capital Marke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우수논문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2927376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11월 01일 ~ 2017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창수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다각화된 기업이나 기업집단은 독립기업과는 달리 외부자본시장에서의 자금조달 이외에 내부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도 가능하다. 이러한 내부자본시장의 작동 및 그 효과는 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특히 한국의 예를 들자면, 대기업 집단의 경제적 효과가 전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막강하고 특히 계열기업 사이의 일감 몰아주기 등 불공정한 내부거래 관행이 국가 경제적으로 매우 첨예한 관심사이기 때문에 내부자본시장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가진다. 국내외적으로 내부자본시장의 효과에 대해 현재까지 다양한 각도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 결과 내부자본시장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연구와 부정적 측면에 대한 연구가 동시에 존재하여 내부자본시장이 전체적으로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에 대한 결론이 아직 내려지지 않은 상태에 있다. 다른 연구 분야의 경우 해당 연구 분야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전체적 종합 및 정리를 한 논문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나 내부자본시장 연구 분야에는 아직까지 이러한 논문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내부자본시장과 관련된 논문을 모두 수집하여 전체적으로 조망을 하고 내부자본시장이 결과적으로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내부자본시장의 효과는 그것이 작동되는 경제 경영 환경 및 여건에 따라 달라질 것이기 때문에 어떠한 환경 하에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나는지는 매우 중요한 연구 및 정책 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현재까지 발표된 국내외 내부자본시장에 대한 연구를 총 망라하여 내부자본시장의 효과 및 다양한 측면에 대한 전체적인 개괄을 한다. 둘째 내부자본시장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중 어느 것이 더 우세한지 파악하여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한다. 셋째 내부자본시장이 긍정적으로 작동하는 경제 환경과 부정적으로 작동하는 경제 환경을 검토하여 좀 더 정교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주요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학문적으로 내부자본시장의 효과에 대한 찬 반 양론이 팽팽한 가운데 기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과 비게재 논문, 그리고 박사학위 논문까지 모두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내부자본시장이 긍정적/부정적 효과가 있는 가운데에서도 순기능이 더 많은지 역기능이 더 많은지 검토한다. 또한 순기능이 발현되는 조건과 역기능이 발현되는 조건을 검토하여 학술적으로 좀 더 정교한 형태의 분석이 가능할 수 있도록 초석을 놓을 수 있다.
    두 번째는 정책적 효과인데 특히 한국과 같이 기업집단의 국민 경제적 영향력이 매우 큰 경우 정책입안자들이 기업집단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지침을 제시할 수 있다. 내부자본시장 또는 내부거래에 대한 전반적 정책 방향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내부자본시장이 특히 역기능을 발휘하는 조건 내지 상황에 대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정책입안자들이 좀 더 정교한 기업집단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세 번째는 교육적 측면으로 본 논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배구조 관련 정책을 수행하거나 공정거래 정책을 집행하는 금융감독위원회 및 공정거래위원회 임직원에 대한 인력 개발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원 과정에서 다각화된 기업이나 기업집단의 기업지배구조 주제를 가르칠 때, 각국의 문화, 종교, 법률 체계, 자본시장의 발달 정도, 규제의 정도 등과 관련하여 내부자본시장 작동의 효과를 다양한 측면에서 조망하고 토론할 수 있는 학문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저자의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국내외에서 현재까지 수행되어 온 내부자본시장 관련 연구를 총망라하여 내부자본시장의 다양한 측면을 종합 정리하고 내부자본시장의 효과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화술적 종합법(Narrative systhesis)을 사용하여 내부자본시장과 관련된 기존 연구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각 주제별로 분류하여 내부자본시장에 대한 연구들을 종합 정리한다. 둘째, 내부자본시장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종합하고, 어떠한 상황 하에서 내부자본시장이 긍정적 효과를 내는지 또는 부정적 효과를 내는지 검토한다. 셋째, 위의 화술적 종합법과 같은 질적인 방법에 추가하여 내부자본시장의 효과를 과학적이며 양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종합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한다. 메타분석은 1) 연구주제의 설정, 2) 자료수집, 3) 자료의 평가, 4) 결과의 분석 및 해석, 5) 보고의 과정을 거친다.
    1) 메타분석의 연구주제는 위의 화술적 종합법에서 내부자본시장과 관련된 다양한 차원의 연구를 종합 정리 분석하였기 때문에 주제의 범위를 좁혀 내부자본시장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2) 자료의 수집단계에서는 내부자본시장 주제를 다루는 기존 문헌을 가능한 한 전부 수집한다. 이에는 게재편의(publication bias)를 제거하기 위하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뿐 아니라, working paper나 학위 논문과 같이 게재되지 않은 논문도 모두 수집한다. 또한 영어편의(English bias)를 제거하기 위하여 영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영어로 기술된 논문뿐만 아니라 여타 지역에 대한 논문, 그리고 한국어로 기술된 논문들도 모두 수집한다. 그리고 학문영역에 따라 내부자본시장을 의미하는 용어로 다른 용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검색어를 시도한다.
    3) 자료의 평가 단계는 메타분석의 결과를 좌지우지하는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효과크기(Effect size, ES)를 계산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가 누락되어 있거나, 질적인 측면의 논의만 기술되어 있는 논문들은 제거한다. 또한 본 논문의 속성상 장기적이며 균형된 경제상태의 내부자본시장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사건연구와 같이 단기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제외한다. 자료의 평가 단계에서 각 제거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제외되는 논문이나 자료의 수를 표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다.
    4) 결과의 분석 및 해석 단계는 입력된 자료에 근거하여 각 개별논문의 효과크기를 계산하고 가중평균효과크기를 계산한다. 가중치는 개별 논문의 정밀도에 근거하여 결정되는데 정밀도가 높은 개별논문이 가중치를 높게 가질 수 있도록 분산의 역수를 가중치로 사용한다. 또한 가중평균효과크기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과 무선효과모형(Random effect model)을 구분하여 어떠한 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더 올바른 추정치를 계산하도록 해 주는지 결정하여야 한다. 이는 개별논문 효과크기들이 동질적인지(homogeneous)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매개변수(Moderators)에 따라 효과크기가 달라지는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하위 표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복수의 매개변수들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여 효과크기에 대한 한계적 영향력을 파악하는 메타회귀분석(Meta-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한다.
    5) 보고 단계에서는 메타분석의 각 단계별 분석과정을 후속 연구자가 다시 반복할 수 있도록 꼼꼼하게 보고한다. 개별논문이나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논문이나 자료를 제외시키는 과정에서 각 단계별 자료의 수와 주요 고려사항을 흐름도나 표를 사용하여 일목요연하게 보고한다. 가중평균효과크기를 계산하기 위한 가중치를 보고하고, 내부자본시장의 효과가 기업지배구조와 관련된 여러 가지 특성과의 관련성의 관점에서 효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내부자본구조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조건들 하에서 효과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보고한다. 마지막으로 주요 매개변수와 다양한 조건 변수를 독립변수로 사용하여 메타회귀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시장은 외부자본시장과 내부자본시장으로 나눌 수 있다. 외부자본시장은기업의 외부에서 자본을 조달하는 것이고, 내부자본시장은 기업의 내부에서 각 사업부간 또는 자회사간의 자원이전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다. 외부자본시장이 잘 작동되는 경우 가격기구를 통해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외부자본시장이 존재하지 않거나 발달단계가 매우 낮은 경우, 또는 시장실패의 경우에는 내부자본시장을 통한 자원배분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외부자본시장이 잘 작동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부자본시장을 통한 자원배분이 이루어지면 대리인 문제 등으로 인해 자원배분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자원배분은 경제의 성과와 직접적 관련이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본 연구는 최근까지 발표된 내부자본시장과 관련된 연구들을 주제별로 종합 정리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내부자본시장의 존재 이유 및 작동, 내부자본시장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내부자본시장이 기업의 주요 변수에 미치는 영향, 기업집단의 내부자본시장 작동과 그 효과, 금융기업집단의 내부자본시장 작동과 효과, 내부자본시장의 역기능 완화 방안 등을 논의하고, 연구가 아직 미진한 분야에 대한 향후 연구 주제를 논의한다.
  • 영문
  • A firm can raise capital from external capital market and internal capital market as well. External capital market provides a necessary capital to the firm in the form of indirect financing via banks and direct financing via stock and bond markets. In the case of internal capital market, a firm can also raise money for projects by a resource reallocation among business lines and subsidiaries of a business group. If external capital market functions well, price mechanism allocates scarce resources efficiently. However, if external market does not exist, is underdeveloped, or in case of market failure, allocation through internal capital market can be more efficient. On the other hand, if a firm tries to allocate resources via internal capital market even in the presence of efficient external market, suboptimal resource allocation may be inevitable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agency costs. Since resource alloca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economic performance, the efficiency of internal capital market is a very important subject. This paper goes over internal capital market research completed so far, summarizes papers by subjects, and proposes future research agenda. Specifically, this article examines why internal capital market exists, how it works, what are positive and negative impact of internal capital markets, how internal capital markets have an influence on important corporate variables, internal capital market of business groups, internal capital market of financial business groups, and various ways to reduce negative impact of internal capital markets. Finally, a discussion on promising future research topics concludes the pap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외부자본시장이 잘 작동되는 경우 가격기구를 통해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이 이루어진다. 그러나외부자본시장이 존재하지 않거나 발달단계가 매우 낮은 경우, 또는 시장실패의 경우에는 내부자본시장을 통한 자원배분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외부자본시장이 잘 작동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부자본시장을 통한 자원배분이 이루어지면 대리인 문제 등으로 인해 자원배분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자원배분은 경제의 성과와 직접적 관련이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본 연구는 최근까지 발표된 내부자본시장과 관련된 연구들을 주제별로 종합 정리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내부자본시장의 존재 이유 및 작동, 내부자본시장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내부자본시장이 기업의 주요 변수에 미치는 영향, 기업집단의 내부자본시장 작동과 그 효과, 금융기업집단의 내부자본시장 작동과 효과, 내부자본시장의 역기능 완화 방안 등을 논의하고, 연구가 아직 미진한 분야에 대한 향후 연구 주제를 논의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우선 내부자본시장에 대한 학문적 연구 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현재까지 내부자본시장에 대한 종합적 검토가 희소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다는 측면에서 학문적 의미가 크다. 또한 내부자본시장의 효과가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어떠한 조건 내지 환경 하에서 그러한 효과가 나타나는지 검토함으로써 향후 이 분야의 연구가 좀 더 정교하고 초점을 맞춘 연구가 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 자체가 한국 사회의 기업집단, 즉 재벌 문제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정부의 재벌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일감 몰아주기가 사회적 논쟁거리가 되어 있는 상황에서 어떠한 경우에 이러한 일감 몰아주기와 같은 내부자본시장을 통한 거래가 성행하게 되고, 이를 금지한 정책의 효과가 어떠한 경우에 더 긍정적으로 나타날 것인지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집단 정책과 관련된 인력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기업집단의 지배구조와 내부 거래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기 때문에 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위원회 등 관련 임직원들에 대한 실용적인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에서는 대학원 과정에서 한국의 경제 상황이나 기업지배구조 등을 강의하거나 연구하는 수업에서 기존의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일별하는 데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특히 상황과 조건에 따라 내부자본시장의 효과가 달리 나타난다면 석 박사 학생들이 이러한 측면을 감안하여 내부자본시장이 긍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등의 향후 논문 주제를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색인어
  • 내부자본시장, 자원배분, 대리인 비용, 기업집단, 다각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