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양의 부사(量の副詞)와 공기하는 일본어복합동사의 의미와 용법
The Meaning and Usage of Japanese Compound Verbs Co-occurring with Amount Adverb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B5A07920635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광성
연구수행기관 부산대학교 일본연구소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기본적인 목적은 ‘양의 부사(量の副詞)’와 공기하는 일본어복합동사의 의미와 용법을 분석하는 것이다. 양의 부사와 일본어복합동사의 공기관계에 주목한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일본어에서 복합동사는 그 수가 단순동사에 필적할 정도로 많을 뿐만 아니라 빈번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는 표현이다 (cf. 森田2008:40). 이러한 복합동사의 의미(론)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姫野(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2, 1999)에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이후로 이루어진 복합동사의 의미와 용법에 관한 연구(cf. 田辺1983, 高原1995, 甲斐1999, 池谷2003, 杉村2007, etc.)는 그 방법론에 있어서 姫野가 취하는 분석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즉 공통된 후항동사를 가진 복합동사의 의미를 분류하고 각 카테고리간의 관계를 정리하는 분석 방법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국내의 일본어복합동사와 관련된 연구동향을 살펴보아도 크게 다르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답보상황을 타개하고자 복합동사와 공기하는 부사에 주목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취하고자 한다. 부사는 각각의 하위 카테고리에 따라 다양함을 보이지만 수식하는 동사와 관련된 상황적 프레임을 환기시킨다고 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일본어 부사는 일본어 모어화자의 관습적인 의식을 반영하는 상황적 프레임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부사와의 공기관계를 바탕으로 한 복합동사에 관한 연구는 일본어 모어화자가 아닌 외국인의 입장에서는 예상하기 힘들지만 일본어 모어화자에게는 일상적이고 자연스러운 일본어 복합동사의 독특한 용법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가 기본적으로 1년 이내에 진행되어야하는 것이기 때문에 복합동사와 공기하는 부사 중에서도 ‘양의 부사(量の副詞)’에 초점을 맞추기로 한다. 양의 부사에 관해서는 결과 부사나 정도 부사 등 여타 부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복합동사와 다양한 공기관계를 이루고 있는 것이 관찰되기 때문이다. 일본어복합동사가 나타내는 의미에 관한 연구를 한 단계 더 진전시키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공기관계에 대해서도 세밀한 검토를 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코퍼스를 활용하여 살펴보면 각각의 복합동사와 공기하는 양의 부사에 편향성이 있는 것이 관찰되기 때문에 프레임 의미론의 관점에서도 흥미로운 연구대상이라고 판단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지는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일본어 복합동사의 의미와 용법을 객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새로운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가장 특징 중의 하나는 일본어의 문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동사, 그 중에서도 복합동사의 의미와 용법을 코퍼스를 활용하여 분석한다는 점이다. 또한 일본어 복합동사와 공기하는 내용어(부사와 명사)에 초점을 맞추어 실제적인 용법을 세세하게 검토할 계획이기 때문에 일본어 복합동사의 용법을 객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는 일본어 복합동사뿐만 아니라 일본어 문법과 관련된 의미론을 한 단계 더 진전시키는데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부사와 복합 동사의 공기관계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복합동사와 관련된 독특한 개념화를 드러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복합동사와의 공기관계에서 드러나는 부사에 대한 분석결과는 단순동사와 복합동사의 의미와 용법을 비교분석할 때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일본어 교육의 관점에서도 본 연구의 성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형태론의 관점에서 일본어 복합동사를 검토한 연구에서는 흔히 연구성과를 일본어 교육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 중의 하나로 들고 있다. 그러나 형태론에 치중한 연구의 성과를 일본어 교육에 직접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그 분석범위가 기본적으로 문장이 아닌 단어의 레벨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이다. 부사와의 공기관계를 바탕으로 한 복합동사의 확장된 의미에 대한 분석결과는 일본어 교사가 복합동사의 용법을 객관적인 지표를 가지고 지도하고자 할 때 교수자료 중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양의 부사이외의 부사가 복합동사와 공기하고 있는 관계에 대해서도 연구를 진행해갈 수 있다.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仁田(2002)에서는 동사를 수식하는 다양한 부사를 그 용법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이를 비판적으로 참조한다면 복합동사에 관한 의미론적인 연구를 새로운 관점에서 진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복합동사의 의미에 관한 종래의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후항동사의 생산성이 높은 표현을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복합동사 중에는 후항동사의 생산성은 높지 않지만 그 자체의 사용빈도가 높은 표현이 적지 않다. 부사와의 공기관계에 기반을 둔 새로운 분석법은 그러한 복합동사까지도 연구범위 안에 포함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 연구요약
  •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양의 부사는 (i)「いっぱい, たっぷり, びっしり, ぎっしり, ずっしり, 多々, たんまり, しこたま」등과 같이 주체나 대상의 수량을 한정하는 역할을 하는 카테고리와 (ii)「丸ごと, 丸々, そっくり, ぎりぎり, こぞって, あらかた」등과 같이 주체나 대상의 범위를 한정하는 역할을 하는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연구기간 동안에는 아래와 같은 사항에 초점을 맞추어서 이 두 카테고리에 대한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다.
    (2) 양의 부사(量の副詞)와 유사한 카테고리로 ‘양정도 부사(量程度の副詞)’, ‘순수정도 부사(純粋程度の副詞)’, ‘움직임의 에너지 양으로써의 주체/대상의 수량성(動きのエネルギー量としての主体・対象の数量性)’이 있다. 양의 부사가 가지는 의미론적/통어적 특성을 나머지 카테고리와 비교하여 정리한다.
    (3) 양의 부사가 어구조(語構造)를 비롯하여 어떤 의미론적인 특징을 가진 복합동사 그룹과 주로 공기하며 복합동사에 따라서 공기할 수 있는 양의 부사에 제한이 있다면 그 동기는 무엇인지를 프레임 의미론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4) 양의 부사가 물리적인 의미로 사용될 때와 비유적인 의미로 사용될 때의 공기관계나 구문적 특성은 어떻게 상이한지를 공기하는 명사 및 구문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한다.
    (5)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양(量)과 관련된 비유가 각각의 복합동사와 관련하여 어떻게 실현되어지고 있는지를 비교하고 분석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양의 부사와 공기하는 일본어복합동사의 의미와 용법을 검토하였다. 양의 부사와 일본어복합동사의 공기관계에 주목한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일본어 복합동사에 관한 종래의 연구는 姫野(1999)가 취하는 분석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즉 공통된 후항동사를 가진 복합동사의 의미를 분류하고 각 카테고리간의 관계를 정리하는 분석 방법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국내의 일본어복합동사와 관련된 연구동향을 살펴보아도 크게 다르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답보상황을 타개하고자 복합동사와 공기하는 부사에 주목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취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코퍼스를 활용하여 양의 부사와의 공기관계의 강도가 높은 복합동사를 정리하고 그러한 공기관계에 대한 동기를 의미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실제 공기관계를 관찰해보면 양의 부사와 복합동사의 공기관계가 매우 제한적이며 의미론적인 동기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영문
  • This study deals with the meaning and the usage of Japanese compound verbs used with adverbs related to quantity. The main reason why this study focused on the co-occurrence between adverbs related to quantity and Japanese compound verbs is as follows. Previous studies about compound verbs are basically based on Himeno(1999). That is, they classify the meaning of the compound verbs which share the same second verb and then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categories. This situation does not differ in Korea. So, in this study, to make a meaningful change, new methodology was tried. Specifically, using corpus, the co-occurrence between adverbs related to quantity and compound verbs was analyzed. Also, the motivation was studied in terms of semantic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co-occurrence between adverbs related to quantity and compound verbs is very restricted and meaningfully motiva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양의 부사와 공기하는 일본어복합동사의 의미와 용법을 검토하였다. 양의 부사와 일본어복합동사의 공기관계에 주목한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일본어 복합동사에 관한 종래의 연구는 姫野(1999)가 취하는 분석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즉 공통된 후항동사를 가진 복합동사의 의미를 분류하고 각 카테고리간의 관계를 정리하는 분석 방법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국내의 일본어복합동사와 관련된 연구동향을 살펴보아도 크게 다르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답보상황을 타개하고자 복합동사와 공기하는 부사에 주목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취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코퍼스를 활용하여 양의 부사와의 공기관계의 강도가 높은 복합동사를 정리하고 그러한 공기관계에 대한 동기를 의미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실제 공기관계를 관찰해보면 양의 부사와 복합동사의 공기관계가 매우 제한적이며 의미론적인 동기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지는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일본어 복합동사의 의미와 용법을 객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새로운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가장 특징 중의 하나는 일본어의 문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동사, 그 중에서도 복합동사의 의미와 용법을 코퍼스를 활용하여 분석한다는 점이다. 또한 일본어 복합동사와 공기하는 내용어(부사와 명사)에 초점을 맞추어 실제적인 용법을 세세하게 검토할 계획이기 때문에 일본어 복합동사의 용법을 객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는 일본어 복합동사뿐만 아니라 일본어 문법과 관련된 의미론을 한 단계 더 진전시키는데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부사와 복합 동사의 공기관계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복합동사와 관련된 독특한 개념화(인지적 기반을 바탕으로 사태를 해석하고 의미부여하는 방식)를 드러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복합동사와의 공기관계에서 드러나는 부사에 대한 분석결과는 단순동사와 복합동사의 의미와 용법을 비교분석할 때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일본어 교육의 관점에서도 본 연구의 성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형태론의 관점에서 일본어 복합동사를 검토한 연구에서는 흔히 연구성과를 일본어 교육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 중의 하나로 들고 있다. 그러나 형태론에 치중한 연구의 성과를 일본어 교육에 직접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그 분석범위가 기본적으로 문장이 아닌 단어의 레벨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이다. 부사와의 공기관계를 바탕으로 한 복합동사의 확장된 의미에 대한 분석결과는 일본어 교사가 복합동사의 용법을 객관적인 지표를 가지고 지도하고자 할 때 교수자료 중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양의 부사이외의 부사가 복합동사와 공기하고 있는 관계에 대해서도 연구를 진행해갈 수 있다.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仁田(2002)에서는 동사를 수식하는 다양한 부사를 그 용법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이를 비판적으로 참조한다면 복합동사에 관한 의미론적인 연구를 새로운 관점에서 진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복합동사의 의미에 관한 종래의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후항동사의 생산성이 높은 표현을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복합동사 중에는 후항동사의 생산성은 높지 않지만 그 자체의 사용빈도가 높은 표현이 적지 않다. 부사와의 공기관계에 기반을 둔 새로운 분석법은 그러한 복합동사까지도 연구범위 안에 포함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 색인어
  • 복합동사, 양의 부사, 공기 관계, 의미론, 코퍼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