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신라 혜공왕대의 薦擧와 災異
The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 and Recocmmendation System during the ruling years of King he-kong of Silla Kingdo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B5A07920692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기봉
연구수행기관 충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신라 중대와 하대의 전환기였던 혜공왕대의 천거실시를 이의 계기가 되었던 재이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이 시기의 정치적 추이를 새롭게 이해하는 것에 있다. 통일 이후에는 관료제의 정비와 따라 관인선발이 제도화된다. 국학과 독서삼품과 그리고 인사담당관서인 위화부를 통해 관인이 선발되었다. 이에 통일 이후에는 국왕의 명령에 천거를 통한 관인선발이 자주 이루어지지 않았다. 유일한 사례가 혜공왕대이다. 이때의 천거에서는 피천거자에게 그 이전의 사례와 달리 특별한 덕목이나 재능이 요구되지 않았다. 천거가 특정한 재능이나 덕목을 가진 인물을 특정한 지위나 관직에 등용하기 위해 이루어졌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이는 혜공왕대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혜공왕대의 재이와 천거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이 시기의 정치적 추이를 보다 입체적으로 살펴보아, 중대와 하대의 전환기의 정치적 변화가 재이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었음을 밝혀보려고 한다.
  • 기대효과
  • 혜공왕대의 천거와 재이에 대한 검토는 이 시기의 정치적 변화를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 국왕이 재이발생을 계기로 한 천거의 실시를 통해 기존 정치세력의 재편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국왕의 움직임까지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신라 중대에서 하대로의 전환을 왕계의 변화 뿐만 아니라 재이에 대한 대응양상의 분석을 통해 사회적 변동상을 밝힘으로써 역사적 전환기에서의 민들의 동향에 대한 이해에도 일조할 수 있다.
    인접학문분야와의 융합 토대도 마련할 수 있다. 재이에 대한 분석은 역사학적 접근 방법 뿐 아니라 지리학, 환경학, 기후학 등의 학문분야의 성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지리학, 환경학, 기후학에서도 재이에 대한 역사학적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인접학문분야에서 재이에 대한 역사학적 분석 및 접근방법에 대한 이해가 도모되기를 기대한다.
  • 연구요약
  • 혜공왕대의 천거와 재이를 검토하기 위해 이 시기의 관련 사료를 살펴볼 것이다. 먼저 『삼국사기』와『삼국유사』에 기록된 혜공왕대의 재이기록에 대한 분석을 할 것이다. 재이기록을 농업생산이나 인명에 직접 해를 끼치는 재해와 아닌 이변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것이다. 재이기록은 중대와의 다른 왕대와 비교하여 그 특징을 찾고자 한다. 또한 재이의 발생지역에 대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신라 하대에 들어 재이 발생지역에 따라 이로 인한 사회적 파급력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금석문이나 일본 사료에 보이는 혜공왕대의 재이에 대한 기록도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일본 사료는 재이로 인한 도적발생까지 보여주는 등 사회적 동향을 살펴보는데 유의미한 것이기에 보다 구체적인 검토할 것이다.
    다음으로 혜공왕대의 천거실시를 재이에 대한 대응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재이에 대한 대응방법은 사전에 대비하기 위한 적극적 대책과 사후에 복구하는 소극적 대책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혜공왕대 재이에 대한 대응이 구체적으로 무엇이었는지를 검토하여, 이 시기 대응양상의 특징을 찾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신라 중대와 하대 전환기의 재이가 지닌 정치적 변화상을 밝혀보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신라 혜공왕대의 천거를 재이와 관련시켜 살펴본 것이다. 신라는 통일 이후 관료제의 정비에 따라 그 이전과 달리 관인선발이 제도화된다. 그런데 혜공왕대에만 유일하게 천거가 국왕의 명령으로 실시되었다. 혜공왕 재위 초기에는 왕권의 정국운영에 반발한 대공 형제의 반란이 있었다. 이때의 반란은 잦은 재이 발생이 주요한 배경의 하나였다. 대공 형제의 반란은 이전과 경우와 달리 상당수의 지방세력까지 가담하였으며 오랫동안 지속되었는데 이를 통해 지방통치의 문제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처럼 대공 형제의 반란으로 야기된 관원의 공백과 계속된 재이의 발생으로 더욱더 심해진 지방사회의 동요를 막기 위해 혜공왕은 천거를 시행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혜공왕대의 천거에는 재이발생이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재해피해에 대한 직접적인 구제에는 관심은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모순이 결국 민들의 이탈을 보여주는 도적봉기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천거라는 관인선발 방식의 근본적인 한계도 있었다. 혜공왕은 천거를 통해 유능한 지방관과 자신의 지지기반을 확대하려고 하였지만 천거라는 특성상 고위 중앙관을 선발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혜공왕이 새로운 방식으로 지방관을 선발하여 재해와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자 한 것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 영문
  • This paper reviewed the recommendation appointment (薦擧 cheongeo) in relation with the natural calamities during the reign of King Hyegong of Silla. After the unification of Silla and the following amendment in bureaucracy, the way of appointing officials became systematized unlike the previous era. Nonetheless, recommendation appointment was practiced by the royal command exclusively in the reign of King Hyegong. In the early stage of his rule, there was a rebellion of Daegong brothers (大恭 兄弟 叛亂), which occurred due to the frequent natural calamities at that time. Their rebellion was different from previous ones in that it involved a significant number of local authorities and that it lasted for a long time. From this, we can infer that King Hyegong's governance was limited in the countryside. It seems that King Hyegong practiced recommendation appointment in order to stabilize the local societies disturbed by the lack of officials caused by the rebellion and the frequent natural calamities at his time.
    Although the natural calamities propelled the initiation of his recommendation appointment, it seems that King Hyegong did not show an interest in restoration and relief of those calamities. His awareness on those natural calamities was the highest compared to his predecessors, but his concern was not followed by actual plans to overcome those problems. It can be said that this inconsistency consequently brought about the uprising of thieves that shows the people's dissatisfaction.
    Besides, the recommendation appointment of officials held limitations in itself. Despite King Hyegong's intention to appoint talented magistrates as well as to secure his support base, the nature of recommendation restricted his selection of high officials for the central government. Still, I think King Hyegong's attempt to respond to the natural calamities and social changes by initiating the new way of local magistrates appointment carries significance. I think so because his recommendation appointment i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the Three-Grades Reading Examination (讀書三品科 Dokseo sampumgwa) in Gukhak, which served as the gateway of local magistrate appointment in the late Unified Silla er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신라 혜공왕대의 천거를 재이와 관련시켜 살펴보았다. 신라는 통일 이후 관료제의 정비에 따라 그 이전과 달리 관인선발이 제도화된다. 그런데 혜공왕대에만 유일하게 천거가 국왕의 명령으로 실시되었다. 혜공왕 재위 초기에는 왕권의 정국운영에 반발한 대공 형제의 반란이 있었다. 이때의 반란은 잦은 재이 발생이 주요한 배경의 하나였다. 대공 형제의 반란은 이전과 경우와 달리 상당수의 지방세력까지 가담하였으며 오랫동안 지속되었는데 이를 통해 지방통치의 문제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처럼 대공 형제의 반란으로 야기된 관원의 공백과 계속된 재이의 발생으로 더욱더 심해진 지방사회의 동요를 막기 위해 혜공왕은 천거를 시행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혜공왕대의 천거에는 재이발생이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재해피해에 대한 직접적인 구제에는 관심은 보이지 않았다. 재이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어느 시기보다 높았던 것이 현실적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까지는 이어지지 못한 것이다. 이러한 모순이 결국 민들의 이탈을 보여주는 도적봉기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천거라는 관인선발 방식의 근본적인 한계도 있었다. 혜공왕은 천거를 통해 유능한 지방관과 자신의 지지기반을 확대하려고 하였지만 천거라는 특성상 고위 중앙관을 선발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혜공왕이 새로운 방식으로 지방관을 선발하여 재해와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자 한 것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것이 하대 초기에 지방관의 배출 통로가 되었던 국학에 이의 기능을 강화한 독서삼품과가 설치되는 것과 일정한 관계가 있다고 보이기 때문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주제인 혜공왕대의 재이와 천거에 대한 검토는 이 시기의 정치적 변화를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 국왕이 재이발생을 계기로 한 천거의 실시를 통해 기존 정치세력의 재편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국왕의 움직임까지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중대 말의 정 정치적 추이를 보다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신라 중대에서 하대로의 전환을 왕계의 변화 뿐만 아니라 재이에 대한 대응양상의 분석을 통해 사회적 변동상을 밝힘으로써 역사적 전환기에서의 민들의 동향에 대한 이해에도 일조할 수 있다.
    재이에 대한 분석은 역사학적 접근 방법 뿐 아니라 지리학, 환경학, 기후학 등의 학문분야의 성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지리학, 환경학, 기후학에서도 재이에 대한 역사학적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인접학문분야에서 재이에 대한 역사학적 분석 및 접근방법에 대한 이해가 도모되기를 기대한다.
  • 색인어
  • 신라, 혜공왕, 천거(薦擧), 재이(災異), 大恭 兄弟(대공 형제)의 叛亂(반란), 관인(官人), 지방관(地方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