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스포츠지도자들의 자기관리 구성요인 탐색 : 사격, 양궁 중심
A Study on Components of Sports Leader’s self - management: Focused on Shooting and Archer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B5A07921055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안현숙
연구수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스포츠지도자의 자기관리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관리를 개념화 하고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문항을 개발함으로써 스포츠지도자의 자기관리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는 스포츠지도자가 자신의 자기관리를 좀 더 넓은 영역까지 바라봄으로서 선수뿐만이 아니라 지도자 자신도 자신의 기량을 갈고 닦아 한층 더 전문가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그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통하여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을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스포츠 지도자의 자기관리 요인을 세분화화고 체계화 시켜서 지도자의 자기관리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지도자 자신의 역량을 다질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지도자와 관련된 연구들을 보면 역할, 역량, 전문성, 리더십, 지도행동 등 다양한 차원에서 지도자의 자질을 요구하고 있다. 스포츠 지도자의 자기관리는 이러한 연구에서 나오는 공통적인 요소들인 개인적인 요소(철학, 신념, 지식, 성품, 기질, 유머능력, 경험, 자기개발)와 관계적인 요소(리더십, 팀관리, 선수관리, 의견교류, 인간관계) 그리고 전문적인 요소(전문적지시과 경험, 지도행동, 계획수립, 분석능력)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특성 및 환경과 같은 외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에 다면체적인 지도자의 자기관리의 확립은 개인스스로가 자신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이것은 개인별 자질형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지도자를 바라보는 관점이 경기력 향상과 지도력만이 아닌 지도자의 자기관리 측면으로 내·외적으로 넓은 의미에서 바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지도자들이 스스로에 대한 인식변화, 지도자 자신을 관리하는 관점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선수와 경기력에만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관리가 가지고 있는 개념들(자기평가, 자기지도, 자기조절, 자기인식, 생활관리, 정신관리, 몸관리, 행동관리, 대인관계관리, 고유행동관리 등(Alberto & Troutman, 1995; Martin & Pear, 1996; Miller, 1998; Shapiro, 1994; 김병준, 2003; 송재호 역, 2008; 허정훈, 김병준, 유진, 2001)을 인식하여 지도자가 바라보는 관점이 내·외적으로 새롭게 형성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지도자와 선수의 관계차원에서 스포츠 지도자가 자기관리를 인식하고 자신을 잘 관리하여 자신을 통제함으로써 선수에게 보여 지는 영향, 즉 선수입장에서 바라볼 때 자신이 닮고 싶은 롤모델 지도자, 자신의 인생을 맡길만한 신뢰로운 지도자, 선수의 전반적인 삶의 활성화에 기여하는(김윤만, 2011) 선수의 인성 형성에 도움이 되는 그러한 영향력 있는 지도자가 될 수 있는 지도자의 모습을 기대를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현재 사회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는 지도자와 선수의 관계와 지도자의 인성형성의 새로운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스포츠 지도자의 자기관리의 구성요인 탐색은 부족한 지도자에 대한 연구(Farrow, Baker, & MacMahon, 2008; 최만식)를 보완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지도자의 심리강화교육과 지도자지침서 등, 다양한 연구방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선행연구에서는 지도자에 관한 연구들에서 폭넓은 자기관리요소가 가지고 있는 요소들이 조금씩 배제되어 있고, 주로 대부분 질적인 연구들로 지도자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기에 본 연구를 통해 그 구성요인의 확인과 직접적인 측정을 통해 지도자는 자신을 반성하고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또한 스포츠 지도자들은 코치교육과 심리교육에 있어 대부분 필요성을 인식하고(김선희, 2009, 김영숙, 박성혁, 김정수, 2016) 있고, 전문가인 지도자들은 각기 분야에서 엄청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며 더 새롭고, 더 나은 그리고 더 향상된 것을 위해 끊임없는 탐구를 해야 하기에(Ericsson, Smith, 1991, 조상욱, 김종욱, 2015 재인용) 무엇을 어떻게 얼마만큼 해야 하는지에 대해 지도자들이 다시 한 번 되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활용하여 선수들의 경기력뿐만 아니라 선수들과 관련된 요소들(인성형성, 탈사회화, 심리요인 등)과 연계하여 학문과 교육적인 관계성을 스포츠심리학적인 측면에서 증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스포츠지도자의 자기관리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관리를 개념화 하고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문항을 개발함으로써 스포츠지도자의 자기관리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 1단계>, <연구 2단계>, <연구 3단계>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연구 1단계>은 스포츠지도자의 자기관리 척도에 대한 개념 정립을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인면담과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자기관리 척도 개념과 구성요소를 탐색한다. <연구 2단계>는 <연구단계 1>에서 나온 하위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예비문항을 개발하여 내용타당도 및 안면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예비문항을 만들어 스포츠지도자의 자기관리개념에 대한 타당화 분석을 거처 최종 문항을 확정한다. <연구 3단계>는 <연구 2단계>에서 나온 문항의 척도개발을 위한 타당화 검증 과정이다. 또한 심리개발의 과정으로 검사목적부터 검사개발과정, 검사실시, 채점 및 해석방법, 신뢰도 및 타당도, 규준화 과정 및 규준표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기에(탁진국, 2014, p.93) 마지막으로 스포츠 지도자의 규준화 과정을 거친다.
    연구대상자는 심층면담 참여자와 개방형설문 참여자로 구분된다<표 1>. <연구 1단계>의 연구대상자는 스포츠 종목 중 폐쇄종목인 사격, 양궁으로 제한하며 남/여 비율을 맞춘다. 또한 유정애(2000)가 제시한 전문가의 소양을 토대로 선수경력과 5년 이상의 지도경력, 국가수준의 지도경력이 있는 자로 한다. <연구 2단계>, <연구 3단계>는 각 종목에 종사하고 있는 전체 지도자를 대상으로 한다.
    자료분석은 <연구 1단계>는 질적연구 방식으로 면담과 개방형질문에서 나온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한다. 원자료는 이해방법과 해석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 질 수 있다. 그러기에 원자료의 분류, 검토, 검증 방법에 따라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실시한다. 면담내용은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녹음하며, 녹음된 내용은 그대로 문서화하여 질적분석 방법론(김영천, 2008)에 따라 분석한다. 또한 마지막에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스포츠심리학 박사 2인과 스포츠 지도자 1인의 도움을 받아 삼각검증(investigator triangulation)을 실시한다. <연구 2단계>에서도 전문가인 스포츠심리학 박사 2인과 스포츠 지도자 2인으로 총 4인을 구성하여 개념모형의 이해도와 일반화에 대해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연구 2단계>와 <연구 3단계>에서는 설문조사의 분석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20.0과 AMOS 18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분석방법은 탁진국(2014)과 김순영, 박상혁(2015)에서 사용한 절차 방법을 참고하여 분석한다. 또한 문항분석을 위해 평균, 표준편차, 문항범위, 상관계수, 왜도, 첨도,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스포츠상황에 있는 지도자들의 자기관리에 관한 개념을 정립하고 구성요인을 탐색하며,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1단계>는 스포츠 상황에서 지도자들의 자기관리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고자 지도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한 개별면담 및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개인능력, 관계능력, 전문능력으로 구분하여 논의할 수 있다. 개인능력향상 측면은 자기인식, 자기개발, 자기조절 등 개인에 초점을 두는 요인이 중요하였다. 관계능력향상 측면은 일과 생활, 선수와 지도자, 주변관계자와 지도자의 관계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전문능력향상 측면에서는 스포츠현장과 접목된 지도를 하기 위한 준비된 지도, 경기와 관련된 계획된 지도, 실질적인 지도력의 발휘인 실천력 지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개인능력향상, 관계능력향상, 전문능력향상으로 지도자의 자기관리 구성요인 모형이 만들어졌다. <연구 2, 3단계>는 이를 토대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25개 문항 5개요인의 지도자의 자기관리 척도가 만들어졌다. 다섯가지 요인은 자기역량관리, 지도기술관리, 신체정신관리, 전문기술관리, 지도행동관리로 명명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검증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elf - management of the leaders in sports situations, to explore components and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them. As a first step, this study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and open questionnaires by interviewing leaders to search for the components of self-management in sports situations.
    The results can be divided into individual ability, relationship ability, and professional ability. With regards to improvement of individual ability, self-awareness, self-development, and self-control were important factors for individual improvement. The relationship enhancement aspect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life, athletes and leaders, and the related people and leaders. In the aspect of professional competence improvement, well-prepared guidance combined with sporting events, planned well-planned guidance related to games, and practical guidance reflecting authentic leadership exercises are included. As a result, the self-management component model of the leader was created by improving individual ability, relationship ability improvement, and professional ability improvement.
    The second and third steps of the research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analysis of the first step above. And self-management measures of the leader included 25 questions for five components. Five components were named as personal competence management, guidance technical management, physical/mental management, professional technical management, and leading behaviour management. They were examin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스포츠상황에 있는 지도자들의 자기관리에 관한 개념을 정립하고 구성요인을 탐색하며,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1단계>는 스포츠 상황에서 지도자들의 자기관리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고자 지도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한 개별면담 및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개인능력, 관계능력, 전문능력으로 구분하여 논의할 수 있다. 개인능력향상 측면은 자기인식, 자기개발, 자기조절 등 개인에 초점을 두는 요인이 중요하였다. 관계능력향상 측면은 일과 생활, 선수와 지도자, 주변관계자와 지도자의 관계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전문능력향상 측면에서는 스포츠현장과 접목된 지도를 하기 위한 준비된 지도, 경기와 관련된 계획된 지도, 실질적인 지도력의 발휘인 실천력 지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개인능력향상, 관계능력향상, 전문능력향상으로 지도자의 자기관리 구성요인 모형이 만들어졌다. <연구 2, 3단계>는 이를 토대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25개 문항 5개요인의 지도자의 자기관리 척도가 만들어졌다. 다섯가지 요인은 자기역량관리, 지도기술관리, 신체정신관리, 전문기술관리, 지도행동관리로 명명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검증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스포츠상황에 있는 지도자들의 자기관리에 관한 개념을 정립하고 구성요인을 탐색하며,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1단계>는 스포츠 상황에서 지도자들의 자기관리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고자 지도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한 개별면담 및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로 개인능력, 관계능력, 전문능력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개인능력향상 측면은 자기인식, 자기개발, 자기조절 등 개인에 초점을 두는 요인으로 자신의 개인적인 능력향상에 초점을 두는 것이라 보겠다. 관계능력향상 측면은 일과 생활, 선수와 지도자, 주변관계자와 지도자의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서로간의 관계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전문능력향상 측면에서는 스포츠현장과 접목된 지도를 하기 위한 준비된 지도, 경기와 관련된 계획된 지도, 실질적인 지도력의 발휘인 실천력 지도를 포함하고 있다. 즉, 지도에 있어 준비와 계획 그리고 실천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것은 체계적인 지도체계가 본인에게서 만들어져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라 보겠다. 이와 같이 개인능력향상, 관계능력향상, 전문능력향상을 토대로 지도자의 자기관리 구성요인 모형이 만들어졌다. <연구 2, 3단계>는 이를 토대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25개 문항 5개요인의 지도자의 자기관리 척도가 만들어졌다. 다섯가지 요인은 자기역량관리, 지도기술관리, 신체정신관리, 전문기술관리, 지도행동관리로 명명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검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을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스포츠 지도자의 자기관리 요인을 세분화화고 체계화 하여 지도자의 자기관리 기반을 구축하였기에 이를 토대로 자신의 역량을 다질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지도자와 관련된 연구들을 보면 역할, 역량, 전문성, 리더십, 지도행동 등 다양한 차원에서 지도자의 자질을 요구하고 있다. 스포츠 지도자의 자기관리는 이러한 연구에서 나오는 공통적인 요소들인 개인적인 요소(철학, 신념, 지식, 성품, 기질, 유머능력, 경험, 자기개발)와 관계적인 요소(리더십, 팀관리, 선수관리, 의견교류, 인간관계) 그리고 전문적인 요소(전문적지시과 경험, 지도행동, 계획수립, 분석능력)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특성 및 환경과 같은 외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에 다면체적인 지도자의 자기관리의 확립은 개인스스로가 자신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로 인식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나온 요인들을 형성하게 되면 개인별 자질형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지도자들이 바라보는 관점이 경기력 향상과 지도력만이 아닌 지도자의 자기관리 측면으로 내·외적으로 넓은 의미에서 바라 보는 인식이 만들어 질 것으로 본다. 본 연구 도중 인터뷰와 개방형질문지의 작성을 통해 자신들이 무엇을 해야 할지 자각하였다고 본 연구자에게 표출하였으며, 그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지도자들이 스스로에 대한 인식변화, 지도자 자신을 관리하는 관점형성에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즉, 선수와 경기력에만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관리가 가지고 있는 개념들(자기평가, 자기지도, 자기조절, 자기인식, 생활관리, 정신관리, 몸관리, 행동관리, 대인관계관리, 고유행동관리 등(Alberto & Troutman, 1995; Martin & Pear, 1996; Miller, 1998; Shapiro, 1994; 김병준, 2003; 송재호 역, 2008; 허정훈, 김병준, 유진, 2001)을 인식하여 지도자가 바라보는 관점이 내·외적으로 새롭게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되며, 지도자와 선수의 관계차원에서 스포츠 지도자가 자기관리를 인식하고 자신을 잘 관리하여 자신을 통제함으로써 선수에게 보여 지는 영향, 즉 선수입장에서 바라볼 때 자신이 닮고 싶은 롤모델 지도자, 자신의 인생을 맡길만한 신뢰로운 지도자, 선수의 전반적인 삶의 활성화에 기여하는(김윤만, 2011) 선수의 인성 형성에 도움이 되는 그러한 영향력 있는 지도자가 될 수 있기를 기대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스포츠 지도자의 자기관리의 구성요인 탐색은 부족한 지도자에 대한 연구(Farrow, Baker, & MacMahon, 2008; 최만식)를 보완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지도자의 심리강화교육과 지도자지침서 등, 다양한 연구방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지도자의 자기관리, 개인능력, 관계능력, 전문능력, 자기역량, 지도기술, 신체/정신, 전문기술, 지도행동, 양궁, 사격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