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스포츠상황에 있는 지도자들의 자기관리에 관한 개념을 정립하고 구성요인을 탐색하며,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1단계>는 스포츠 상황에서 지도자들의 자기관리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고자 지도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한 개별면담 ...
본 연구는 스포츠상황에 있는 지도자들의 자기관리에 관한 개념을 정립하고 구성요인을 탐색하며,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1단계>는 스포츠 상황에서 지도자들의 자기관리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고자 지도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한 개별면담 및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로 개인능력, 관계능력, 전문능력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개인능력향상 측면은 자기인식, 자기개발, 자기조절 등 개인에 초점을 두는 요인으로 자신의 개인적인 능력향상에 초점을 두는 것이라 보겠다. 관계능력향상 측면은 일과 생활, 선수와 지도자, 주변관계자와 지도자의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서로간의 관계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전문능력향상 측면에서는 스포츠현장과 접목된 지도를 하기 위한 준비된 지도, 경기와 관련된 계획된 지도, 실질적인 지도력의 발휘인 실천력 지도를 포함하고 있다. 즉, 지도에 있어 준비와 계획 그리고 실천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것은 체계적인 지도체계가 본인에게서 만들어져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라 보겠다. 이와 같이 개인능력향상, 관계능력향상, 전문능력향상을 토대로 지도자의 자기관리 구성요인 모형이 만들어졌다. <연구 2, 3단계>는 이를 토대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25개 문항 5개요인의 지도자의 자기관리 척도가 만들어졌다. 다섯가지 요인은 자기역량관리, 지도기술관리, 신체정신관리, 전문기술관리, 지도행동관리로 명명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검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을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스포츠 지도자의 자기관리 요인을 세분화화고 체계화 하여 지도자의 자기관리 기반을 구축하였기에 이를 토대로 자신의 역량을 다질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지도자와 관련된 연구들을 보면 역할, 역량, 전문성, 리더십, 지도행동 등 다양한 차원에서 지도자의 자질을 요구하고 있다. 스포츠 지도자의 자기관리는 이러한 연구에서 나오는 공통적인 요소들인 개인적인 요소(철학, 신념, 지식, 성품, 기질, 유머능력, 경험, 자기개발)와 관계적인 요소(리더십, 팀관리, 선수관리, 의견교류, 인간관계) 그리고 전문적인 요소(전문적지시과 경험, 지도행동, 계획수립, 분석능력)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특성 및 환경과 같은 외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에 다면체적인 지도자의 자기관리의 확립은 개인스스로가 자신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로 인식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나온 요인들을 형성하게 되면 개인별 자질형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지도자들이 바라보는 관점이 경기력 향상과 지도력만이 아닌 지도자의 자기관리 측면으로 내·외적으로 넓은 의미에서 바라 보는 인식이 만들어 질 것으로 본다. 본 연구 도중 인터뷰와 개방형질문지의 작성을 통해 자신들이 무엇을 해야 할지 자각하였다고 본 연구자에게 표출하였으며, 그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지도자들이 스스로에 대한 인식변화, 지도자 자신을 관리하는 관점형성에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즉, 선수와 경기력에만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관리가 가지고 있는 개념들(자기평가, 자기지도, 자기조절, 자기인식, 생활관리, 정신관리, 몸관리, 행동관리, 대인관계관리, 고유행동관리 등(Alberto & Troutman, 1995; Martin & Pear, 1996; Miller, 1998; Shapiro, 1994; 김병준, 2003; 송재호 역, 2008; 허정훈, 김병준, 유진, 2001)을 인식하여 지도자가 바라보는 관점이 내·외적으로 새롭게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되며, 지도자와 선수의 관계차원에서 스포츠 지도자가 자기관리를 인식하고 자신을 잘 관리하여 자신을 통제함으로써 선수에게 보여 지는 영향, 즉 선수입장에서 바라볼 때 자신이 닮고 싶은 롤모델 지도자, 자신의 인생을 맡길만한 신뢰로운 지도자, 선수의 전반적인 삶의 활성화에 기여하는(김윤만, 2011) 선수의 인성 형성에 도움이 되는 그러한 영향력 있는 지도자가 될 수 있기를 기대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스포츠 지도자의 자기관리의 구성요인 탐색은 부족한 지도자에 대한 연구(Farrow, Baker, & MacMahon, 2008; 최만식)를 보완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지도자의 심리강화교육과 지도자지침서 등, 다양한 연구방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