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메다(Andromeda), 디아나(Diana), 그리고 웃는 여자. 렘브란트의 첫 여성 누드 묘사들(가제)」 “Andromeda, Diana and a laughing woman. Rembrandt’s first female nude depictions(temporary title)”
17세기의 네덜란드 화가 렘브란트 판 레인(Rembrandt van Rijn, 1606-1669)은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온, 서양미술사에서 가장 의미 있는 화가들 중의 한 명이다. 렘브란트 연구의 중심지인 네덜란드와 독일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렘브란트의 여성 누드 묘 ...
17세기의 네덜란드 화가 렘브란트 판 레인(Rembrandt van Rijn, 1606-1669)은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온, 서양미술사에서 가장 의미 있는 화가들 중의 한 명이다. 렘브란트 연구의 중심지인 네덜란드와 독일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렘브란트의 여성 누드 묘사에 대한 연구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한 번도 시도되지 않았다. 이 여건은, 우리나라의 영향력 있는 여러 대학들에서 시행되고 있는 바로크 미술사 수업 시간에, 미술가들의 누드 묘사가 자주 다루어지는 현재의 상황을 고려해 본다면, 심한 불균형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렘브란트의 첫 번째 여성 누드 묘사들에 대해 한 편의 논문을 완성하는 것을 최종 목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기대효과
이 연구 계획이 최종 목표로 설정하고 있는 논문은, 독일, 네덜란드와 같은 서양미술사학의 선진국들에선 오랜 시간 동안 연구되어 많이 퍼져 있지만, 우리나라의 서양미술사학에서는 여전히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지식들을 중개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한 ...
이 연구 계획이 최종 목표로 설정하고 있는 논문은, 독일, 네덜란드와 같은 서양미술사학의 선진국들에선 오랜 시간 동안 연구되어 많이 퍼져 있지만, 우리나라의 서양미술사학에서는 여전히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지식들을 중개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로서 나오게 될 논문은 이제까지 비어 있던, 학문적으로 모자란 부분의 일부를 채우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이 연구의 결과물은 렘브란트의 누드 묘사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 화가의 누드 묘사의 특징과 기능에 관한 기초 지식들을 올바르게 제시하고, 더 깊은 연구로 나아갈 수 있는 출발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요약
이 연구는 17세기의 네덜란드 화가 렘브란트 판 레인이 1630년 무렵에 유화와 에칭(etching)으로 창작한, 화가의 첫 번째 여성 누드 묘사들을 다루려고 한다. 이 연구는, 첫째, 렘브란트가 1630년 무렵에 제작한 여성 누드 묘사들이 그전까지의 다른 여성 누드 묘사들에 ...
이 연구는 17세기의 네덜란드 화가 렘브란트 판 레인이 1630년 무렵에 유화와 에칭(etching)으로 창작한, 화가의 첫 번째 여성 누드 묘사들을 다루려고 한다. 이 연구는, 첫째, 렘브란트가 1630년 무렵에 제작한 여성 누드 묘사들이 그전까지의 다른 여성 누드 묘사들에 비해 어떠한 독특한 특징들을 가지는지, 둘째, 이 특징들이 렘브란트 작품의 문맥 속에서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여성 누드 묘사들에 비해 어떠한 장점을 가지는지, 셋째, 당시의 미술 감상자들은 렘브란트의 첫 번째 여성 누드 묘사들을 어떻게 평가했는지, 이 세 가지 주요 질문들에 대한 답을, 당시의 그림 및 문서자료들을 이용해 제시하려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논문은 17세기의 네덜란드 화가 렘브란트 판 레인(1606-1669)이 1630년 무렵에 제작한 유화 <안드로메다>를 다룬다. <안드로메다>는 렘브란트가 제작한 유화들 중에서 여성 누드가 묘사된 가장 이른 작품이다. 안드로메다의 이야기는 오비디우스의 『변신』에 실려 ...
본 논문은 17세기의 네덜란드 화가 렘브란트 판 레인(1606-1669)이 1630년 무렵에 제작한 유화 <안드로메다>를 다룬다. <안드로메다>는 렘브란트가 제작한 유화들 중에서 여성 누드가 묘사된 가장 이른 작품이다. 안드로메다의 이야기는 오비디우스의 『변신』에 실려 있다. 렘브란트는 <안드로메다>를 제작하기 위해서 티치아노, 헨드릭 홀치우스, 요아힘 위테발이 제작한 안드로메다 그림들을 연구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렘브란트의 <안드로메다>는 이 전대의 그림들과 구별된다. 전대의 그림들에 안드로메다와 함께 페르세우스와 괴물이 묘사되어 있는 반면에, 렘브란트의 그림에는 안드로메다만 묘사되어 있다. 또한 전대의 그림들에서 안드로메다는 우아하게 묘사되었지만, 렘브란트의 안드로메다는 우아한 자세를 취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전대의 그림들과는 다르게 렘브란트는 안드로메다의 얼굴에 안드로메다가 경험했을 여러 감정들을 깊이 있게 암시해 놓았다. 한편, 렘브란트의 주인공 안드로메다의 누드는 전대의 묘사들에 비해 더 현실적이다. 렘브란트가 1630년 무렵에 제작한 판화 <앉아 있는 누드 여인>이 보여주듯, 렘브란트는 안드로메다의 누드를 그가 소유하고 있던 미술적 지식을 사용해 형상화했다. 결국 렘브란트가 <안드로메다>를 통해 이 주제에 가져다 준 업적은 여성의 누드와 주인공이 사건을 경험하며 얻게 되는 감정들을 결합시킨 것이다. 1630년 무렵 네덜란드의 미술 감상자는 렘브란트의 <안드로메다>를 보며 희망과 당시의 정치적 상황 또한 연상했을 가능성이 있다. 렘브란트의 <안드로메다>는 이처럼 복합적인 그림으로서, 젊은 화가 렘브란트가 그림전통과 원전 텍스트를 어떻게 해석했는지를 보여준다.
영문
This study examines Andromeda produced by the seventeenth-century Dutch painter Rembrandt van Rijn (1606-1669) circa 1630. Among Rembrandt’s paintings, Andromeda is the first work that depicts a female nude. The story of Andromeda is described in ...
This study examines Andromeda produced by the seventeenth-century Dutch painter Rembrandt van Rijn (1606-1669) circa 1630. Among Rembrandt’s paintings, Andromeda is the first work that depicts a female nude. The story of Andromeda is described in Ovid’s Metamorphoses. To produce Andromeda, Rembrandt studied over other Andromeda paintings done by Titian, Goltzius and Wtewael. But Rembrandt’s Andromeda is different from those previous depictions. Whereas Andromeda is depicted with Perseus and the monster in the previous paintings, Rembrandt’s painting shows only Andromeda. Rembrandt’s Andromeda does not pose as elegantly as the previous paintings. Rembrandt suggested various affects that Andromeda may have gotten through her story on her face. The nude of Rembrandt’s heroine is realistic. As the etching entitled A Seated Female Nude shows, Rembrandt seems to have visualized Andromeda’s nude by drawing on his knowledge. After all, Rembrandt made a contribution to this subject by combining a female nude with affects which the female figure experienced. Around 1630, a Dutch viewer could have associated Andromeda with hope or the Dutch political situation at that time. Rembrandt’s Andromeda is a complex painting and shows how the young painter Rembrandt interpreted the traditions and the original text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는 17세기의 네덜란드 화가 렘브란트 판 레인(1606-1669)이 1630년 무렵에 제작한 유화 <안드로메다>를 다룬다. <안드로메다>는 렘브란트가 제작한 유화들 중에서 여성 누드가 묘사된 가장 이른 작품이다. 안드로메다의 이야기는 오비디우스의 『변신』에 실려 있다 ...
본 연구는 17세기의 네덜란드 화가 렘브란트 판 레인(1606-1669)이 1630년 무렵에 제작한 유화 <안드로메다>를 다룬다. <안드로메다>는 렘브란트가 제작한 유화들 중에서 여성 누드가 묘사된 가장 이른 작품이다. 안드로메다의 이야기는 오비디우스의 『변신』에 실려 있다. 렘브란트는 <안드로메다>를 제작하기 위해서 티치아노, 헨드릭 홀치우스, 요아힘 위테발이 제작한 안드로메다 그림들을 연구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렘브란트의 <안드로메다>는 이 전대의 그림들과 구별된다. 전대의 그림들에 안드로메다와 함께 페르세우스와 괴물이 묘사되어 있는 반면에, 렘브란트의 그림에는 안드로메다만 묘사되어 있다. 또한 전대의 그림들에서 안드로메다는 우아하게 묘사되었지만, 렘브란트의 안드로메다는 우아한 자세를 취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전대의 그림들과는 다르게 렘브란트는 안드로메다의 얼굴에 안드로메다가 경험했을 여러 감정들을 깊이 있게 암시해 놓았다. 한편, 렘브란트의 주인공 안드로메다의 누드는 전대의 묘사들에 비해 더 현실적이다. 렘브란트가 1630년 무렵에 제작한 판화 <앉아 있는 누드 여인>이 보여주듯, 렘브란트는 안드로메다의 누드를 그가 소유하고 있던 미술적 지식을 사용해 형상화했다. 결국 렘브란트가 <안드로메다>를 통해 이 주제에 가져다 준 업적은 여성의 누드와 주인공이 사건을 경험하며 얻게 되는 감정들을 결합시킨 것이다. 1630년 무렵 네덜란드의 미술 감상자는 렘브란트의 <안드로메다>를 보며 희망과 당시의 정치적 상황 또한 연상했을 가능성이 있다. 렘브란트의 <안드로메다>는 이처럼 복합적인 그림으로서, 젊은 화가 렘브란트가 그림전통과 원전 텍스트를 어떻게 해석했는지를 보여준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이 연구가 만들어낸 논문은, 독일, 네덜란드와 같은 서양미술사학의 선진국들에선 오랜 시간동안 연구되어 많이 알려져 있지만, 우리나라의 서양미술사학에서는 여전히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지식들을 중개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전체 서양미술 ...
이 연구가 만들어낸 논문은, 독일, 네덜란드와 같은 서양미술사학의 선진국들에선 오랜 시간동안 연구되어 많이 알려져 있지만, 우리나라의 서양미술사학에서는 여전히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지식들을 중개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전체 서양미술사학에 있어 한 시대와 그 시대의 인간 사고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렘브란트 같이 중요한 화가의 작품세계가, 현재의 우리나라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황은, 우리의 서양미술사 서술의 폭이 한정되어 있고 다양성이 조금은 부족하다는 증거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로서 작성될 논문은 이제까지 비어 있던 모자란 부분의 일부를 채우는 것이 될 것이다. 실제적인 견지에서 위 문단의 내용을 부연 설명하자면, 나는 2017년 2학기에 서울에 있는 한 유력한 대학교의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17세기미술사연구’라는 과목을 맡아 한 학기동안 수업을 진행했다. 많은 대학원 수업이 그렇듯이, 나는 학생들에게 그 수업의 학기말 과제이자 발표로서 17세기 미술에 대한 주제를 하나씩 자유롭게 정해 소논문을 작성하도록 했다. 그런데 학생들이 참고할 수 있는 우리말 논문들이 부족했다. 그래서인지 학생들이 17세기의 여성 누드묘사에 대해 대부분 잘못된 정보를 적어오곤 했는데, 여기서 필자의 연구가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었다. 이 구체적 사례로 미루어 보건대, 본 연구의 결과물은 렘브란트의 누드 묘사, 나아가 17세기 서양의 누드 묘사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과 일반 독자들에게 당시 누드 묘사의 일반적 특징과 기능에 관한 기초 지식들을 올바르게 제시하고, 더 깊은 연구로 나아갈 수 있는 출발점을 제공할 수 있을 듯하다. 이는 금전적 가치로 환산하기는 힘들지만, 필요한 학문적 지식이다.
색인어
렘브란트(Rembrandt), 안드로메다(Andromeda), 전통(Tradition), 감정(Affect), 여성 누드(Female Nude), 알레고리(Allegory), 해석(Interpre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