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 대화체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러시아어 인지동사인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의 사용양상 및 담화화용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는 러시아 언중의 심리와 의식체계를 밝힐 수 있는 동사군으로 다의미화 과정과 의미 변화의 추이로부터 ...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 대화체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러시아어 인지동사인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의 사용양상 및 담화화용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는 러시아 언중의 심리와 의식체계를 밝힐 수 있는 동사군으로 다의미화 과정과 의미 변화의 추이로부터 담화상에서의 다양한 기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에서 화자의 전략과 문장의 위치 등 전방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대화분석, 맥락분석과 데이터 분석을 방법론으로 삼아 방법으로 의사소통에 있어 화자의 의도, 함축된 의미 등을 밝히고자 한다.
기대효과
러시아어 인지동사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에 대한 분석은 의미론적 그리고 구문론적 층위에서 조명되지 못한 담화기능들을 살펴보게 하고 국내 러시아어 언어학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보다 이론적인 보편문법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학 이론의 실제적 적용 ...
러시아어 인지동사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에 대한 분석은 의미론적 그리고 구문론적 층위에서 조명되지 못한 담화기능들을 살펴보게 하고 국내 러시아어 언어학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보다 이론적인 보편문법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학 이론의 실제적 적용을 통한 유형론적 연구의 기초를 제시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분석의 틀을 바탕으로 다른 언어자료들을 보다 적절하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러시아어 연구에 이론적 측면 뿐 아니라 실질적 교수학습법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연구요약
본 연구에서는 대화분석과 맥락분석을 방법론으로 채택하여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가 구어체에서 수행하는 담화화용적 기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인지동사는 어떠한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용해서 알고 이해하며 판단하는 등의 사고 작용을 의미하는 동사부류이다. 하 ...
본 연구에서는 대화분석과 맥락분석을 방법론으로 채택하여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가 구어체에서 수행하는 담화화용적 기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인지동사는 어떠한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용해서 알고 이해하며 판단하는 등의 사고 작용을 의미하는 동사부류이다. 하지만 대화체 담화에서 인지동사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는 상황에 따른 대화의 적절성이 담화규칙을 활용하게 만들며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적 행위를 포괄하는 총체적인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장 유형과 어조, 문장에서의 위치로 삼아 인지동사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의 다양한 담화화용적 기능을 밝히고자 한다. 대화 인접쌍에 나타나는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의 화자의 담화 기능으로는 주기능인 화제 도입 외에 화제 전환, 자신의 발화나 상대방 발화에 대한 ‘실수’에 대한 교정, 청자에게 발화에 동조나 동의하기를 바라는 기능, 청자의 관심을 유발하고 유지하기, 필러와 같은 다양한 반응기능 등이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에서는 대화분석과 맥락분석을 방법론으로 채택하여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가 구어체에서 수행하는 담화화용적 기능을 분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지동사는 어떠한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용해서 알고 이해하며 판단하는 등의 사고 작용을 의미하는 동사부류이다. 하지 ...
본 연구에서는 대화분석과 맥락분석을 방법론으로 채택하여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가 구어체에서 수행하는 담화화용적 기능을 분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지동사는 어떠한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용해서 알고 이해하며 판단하는 등의 사고 작용을 의미하는 동사부류이다. 하지만 대화체 담화에서 인지동사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는 상황에 따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적 행위를 포괄하는 총체적인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장 유형과 어조, 문장에서의 위치 등에 따라 발현되는 인지동사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의 다양한 담화화용적 기능을 밝히고 있다. 주로 대화 인접쌍에 나타나는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의 담화 기능으로는 주기능인 화제 도입 외에 화제 전환, 자신의 발화나 상대방 발화에 대한 ‘실수’에 대한 교정, 청자에게 발화에 동조나 동의하기를 바라는 기능, 청자의 관심을 유발하고 유지하기, 필러와 같은 다양한 반응기능 등이 있다.
영문
This study adopted the dialogue analysis and the contextual analysis as the methodology, and analyzed the function of the discourse and pragmatics of 'знать' and 'понимать' in the colloquial language. In general, cognitive verbs are the type of verbs ...
This study adopted the dialogue analysis and the contextual analysis as the methodology, and analyzed the function of the discourse and pragmatics of 'знать' and 'понимать' in the colloquial language. In general, cognitive verbs are the type of verbs that include the meanings of accepting, understanding, and judging information about an object. However, in the dialogic discourse, the Russian cognitive verbs, 'знать' and 'понимать' are used as a holistic strategy involving verbal act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depending on situations. Therefore, this study reveals various verbalization volume functions depending on sentence types, tones, and positions of 'знать' and 'понимать' in the sentence. The discourse functions, which are usually present in the contact pair, include the ability of the speaker to introduce the topic and switch the topic of conversation. There are other further features, such as the ability to correct an opponent's utterance, to agree with the listener, to arouse and maintain the listener's interest, and to correct the mistakes in utterance of speaker or the listener.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화분석과 맥락분석을 방법론으로 채택하여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가 구어체에서 수행하는 담화화용적 기능을 분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지동사는 어떠한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용해서 알고 이해하며 판단하는 등의 사고 작용을 의미하는 동사부류이다. 하지 ...
본 연구에서는 대화분석과 맥락분석을 방법론으로 채택하여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가 구어체에서 수행하는 담화화용적 기능을 분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지동사는 어떠한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용해서 알고 이해하며 판단하는 등의 사고 작용을 의미하는 동사부류이다. 하지만 대화체 담화에서 인지동사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는 상황에 따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적 행위를 포괄하는 총체적인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장 유형과 어조, 문장에서의 위치 등에 따라 발현되는 인지동사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의 다양한 담화화용적 기능을 밝히고 있다. 주로 대화 인접쌍에 나타나는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의 담화 기능으로는 주기능인 화제 도입 외에 화제 전환, 자신의 발화나 상대방 발화에 대한 ‘실수’에 대한 교정, 청자에게 발화에 동조나 동의하기를 바라는 기능, 청자의 관심을 유발하고 유지하기, 필러와 같은 다양한 반응기능 등이 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러시아어 인지동사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에 대한 분석은 의미론적 그리고 구문론적 층위에서 조명되지 못한 담화기능들을 살펴보게 하고 국내 러시아어 언어학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보다 이론적인 보편문법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학 이론의 실제적 적용 ...
러시아어 인지동사 знать와 понимать에 대한 분석은 의미론적 그리고 구문론적 층위에서 조명되지 못한 담화기능들을 살펴보게 하고 국내 러시아어 언어학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보다 이론적인 보편문법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학 이론의 실제적 적용을 통한 유형론적 연구의 기초를 제시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물은 문법론과 통사론 위주의 강의 유형에서 탈피하고 러시아어 담화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심화시키는 강의 교재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담화를 기초로 한 본 연구 결과물은 러시아어 청해와 회화 수업과 같은 실용적인 교과목에도 유용한 언어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색인어
인지동사, знать, понимать, 담화, 화제 도입, 실수 교정, 화제 전환, 동조, 관심 유발, 필러, 부연설명, 대화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