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이슬람 국가의 혼인과 이혼에 관한 법제 -이집트 가족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gal system about the marriage and the divorce in Islamic Countries –centered the Egypt Family Law-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B5A07917391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최현숙
연구수행기관 국립부경대학교 법학연구소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고는 두 분야에서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하나는 이슬람국가의 높은 출산율의 원인을 이슬람법제에서 찾아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슬람국가의 여성의 법적 지위와 이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그들의 가족법 개정 과정에서의 역사적 노력들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현재의 무슬림 수는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세계 인구의 약 25%인 12억 내외로 알려져 있고. 한국인 출신의 무슬림은 약 10만 명 정도이며, 위키백과 참조.
    한국으로 유입되고 있는 무슬림 인구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와 이슬람 국가와의 투자 및 교역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슬람 인구의 증가는 현대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저출산의 문제에 대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시사점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슬람국가가 단지 출산을 장려하기 때문에 출산율이 높은 것만은 아니가 때문이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서 출산을 장려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저출산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출산은 혼인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이슬람국가의 가족법에 대해서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슬람국가의 혼인과 이혼에 관한 법제연구는 이슬람국가의 높은 출산율을 이끌어내는 어떤 법리를 찾아서 우리 법에의 시사점을 던져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슬람법의 혼인과 이혼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현재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저출산의 해결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또한 이슬람국가 중에서 가장 이슬람적인 색채를 가진 가족법이 이집트 가족법인데 이집트는 ‘쿨으’라는 이혼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여성의 법적 지위를 강화하고 있다. 이슬람국가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를 향상 시켰다고 평가되고 있는 ‘쿨으’제도의 도입과정에서 개정을 위한 그들의 노력을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가족법 상 이혼과 혼인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찾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 기대효과
  • 현재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는 이슬람국가의 추이를 살펴 볼 때 이슬람은 단지 배척의 대상이 아니라, 이슬람국가와의 교류를 활발하게 전개해 나아가야 할 시기에 도달해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교류를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 풀어야 할 가장 첫 번째 숙제가 그들의 문화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편견 없이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할 때 교류의 성과는 극대화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이슬람국가의 사회를 올바로 이해하는 좋은 디딤돌이 될 것이다.
    또한 이슬람국가의 높은 출산율을 이끌고 있는 원인 중에서 혼인과 이혼은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고, 이들 법제가 여성을 어떠한 이념으로 그들의 법적 지위를 형성하고 있는 가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당면 문제가 되고 있는 저출산과 불평등한 여성의 법적 지위에 대한 개선방법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게 될 것이다.
    한편 타문화와의 많은 교류는 필히 이슬람국가의 국적자들과 다른 국적자들과의 혼인의 문제로 연결되기 마련이다. 혼인은 또한 자연스럽게 이혼의 문제로 연결된다. 일부다처제를 인정하고 있는 이슬람 국가의 국민과 일부일처제를 택하고 있는 국가의 국민과의 혼인의 문제는 국제사법적 문제를 불러오게 된다. 따라서 이슬람 국가의 혼인과 이혼의 법제에 대한 올바른 연구는 앞으로 발생하게 되는 국제사법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이슬람법의 중요한 법원이 되고 있는 꾸란에 따르면 여성이 어떤 법적 지위를 갖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물론 현재는 그 해석이 편향되어서 여성이 억압받고 있는 면도 있지만, 꾸란에서의 여성에 대한 평가는 이슬람국가의 높은 출산율을 어떻게 이끌어 내고 있는지에 대해서 원인을 밝히는 중요한 법이론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꾸란의 혼인과 이혼에 관련된 부분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저출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를 찾고자 한다.
    이슬람에 대한 서양의 연구는 대부분 이슬람은 여성들의 인권이 남성의 그것에 비해 매우 열악하며, 여성들은 남성들로부터 억압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이슬람 학자들은 위와 같은 주장은 서양의 잘못된 연구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서양의 시각에 따른 연구결과와 각 종 언론매체를 통해서 이슬람 여성들은 남편의 폭력에 노출되어 있으며, 여성의 법적 지위가 매우 열악하다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슬람국가들의 실정법 특히 가족법에 대한 연구가 거의 전무한 상황에서 이슬람 가족법에 관한 연구는 이러한 의문을 해소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고자 한다. 즉 이슬람 여성의 인권과 법적 지위가 서양의 연구 결과와 같은지 아니면 이슬람 학자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여성의 권리가 보장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가장 먼저 이슬람 가족법에 대해서 가장 흔히 알려진 것이 일부다처제와 혼납금(혼인지참금) 그리고 남성에 의한 일방적 이혼과 폭력의 문제이므로 이슬람 국가의 가장 중요한 法源인 샤리아법에서 혼인과 이혼의 규정을 먼저 살펴보고, 현재 이슬람국가의 실정법상 혼인과 이혼에서 샤리아가 얼마나 반영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위의 문제에 대해서 실정법에 규정이 되어 있다면, 정말 여성을 억압하기 위한 것인지를 알아보고, 위의 규정들에 대해서 페미니즘, 세속법 또는 이슬람 중에서 어떤 방법으로 접근하여 이해하여야 하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무슬림들에게 정신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또는 개인적으로 절대적인 기준이 되고 있고, 가장 중요한 법원이 되고 있는 이슬람법에 여성의 지위를 열악하게 하고 있는 규정이 있다면 여성의 법적 지위의 향상을 위해서 세속법과 같이 개정을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지, 가능하다면 어떤 방법이 있으며 어떻게 개정을 하여야 할지에 대해서 대륙법적 체계에서 이들 문제를 비교법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현재의 무슬림 수는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세계 인구의 약 25%인 12억 내외로 알려져 있다. 이슬람 인구의 증가는 현대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저출산의 문제에 대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시사점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슬람국가가 단지 출산을 장려하기 때문에 출산율이 높은 것만은 아니고, 우리나라도 출산을 장려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저출산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출산은 혼인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슬람국가의 가족법에 대해서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슬람국가의 혼인과 이혼에 관한 법제연구는 이슬람국가의 높은 출산율을 이끌어내는 어떤 법리를 찾아서 우리 법에의 시사점을 던져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슬람법의 혼인과 이혼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현재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저출산의 해결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또한 이슬람국가 중에서 가장 이슬람적인 색채를 가진 가족법이 이집트 가족법인데 이집트는 ‘쿨으’라는 이혼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여성의 법적 지위를 강화하고 있다. 이슬람국가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를 향상 시켰다고 평가되고 있는 ‘쿨으’제도의 도입과정에서 개정을 위한 그들의 노력을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가족법 상 이혼과 혼인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찾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이슬람 가족법에 대해서 가장 흔히 알려진 것이 일부다처제와 혼납금 그리고 남성에 의한 일방적 이혼과 폭력의 문제이므로 이슬람 국가의 가장 중요한 法源인 샤리아법에서 혼인과 이혼의 규정을 살펴 보았다.
    이슬람 국가의 여성은 꾸란에 따라 부양받을 권리를 보장받고 있다. 여성의 부양받을 권리는 단순히 여성이 남성보다 열등한 존재이기 때문이 아니라 아이를 출산하고 양육하여야 하는 존재로서 부양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여성은 단지 여성이라는 존재라기 보다는 아이의 출산과 양육에 대한 권리는 갖는 자이고 출산과 양육은 경제적 지원과 주변의 지원이 필요한 일임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이슬람 국가의 출산율이 높은 중요한 원인으로 의미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
    이슬람 국가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는 현실적으로 매우 열악하다. 남성은 여성에 대하여 일방적인 의사표시만으로 이혼을 요구할 수도 있고, 혼인의 효과로 남편은 아내의 일탈적인 행동에 대하여 최후의 방법으로 징계할 권리가 꾸란에 의해 보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꾸란을 다시 살펴보면 이슬람 국가에서 여성의 지위는 처음부터 남성보다 열등하다는 이유에서 시작하였다기 보다는 남성에 의해 꾸란과 샤리아가 해석됨으로 인하여 원래의 취지를 왜곡하여 남성에게 유리하게 해석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들의 이러한 오랜 관행을 무너뜨리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불가능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쿨으 제도의 도입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꾸란과 샤리아의 올바른 해석은 이슬람 국가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를 남성과 동등하게 회복하는 실효적인 전략이 될 것이고, 여성의 법적 지위를 향상시킨다는 방법론적 측면에서 충분한 시사점이 있다할 것이다.
  • 영문
  • Although the current number of Muslims in the world is unknown, their population is estimated to be 1.2 billion, approximately 25 percent of the global population. The increase in the Islamic population has implications for resolving low birth rate, which is currently a severe social issue in Korea. This is not simply because Islamic countries encourage childbirth, but because Korea continues to exhibit low birth rate despite the country’s efforts to promote childbirth. Childbirth generally takes place through marriage, and thus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family law in Islamic countries should be prioritized. Legislative research on marriage and divorce in Islamic countries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Korean law by finding the legal principles in those countries that drive high birth rates.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implications toward solutions to address Korea’s low birth rate through research on Islamic marriage and divorce laws. Additionally, Egypt, whose family law is the most characteristically Islamic among the Muslim nations, is strengthening the legal status of women by implementing a system of divorce called khul. This study also seeks methodological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the legal status of women in marriage and divorce within Korea’s family law system by researching Egypt’s amendment efforts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khul system, which is judged to have improved the legal status of women in Muslim countries.
    To this end, this study has examined the stipulations of marriage and divorce in Sharia, the most important system of laws and courts in Islamic countries, since the most commonly known elements of Islamic family law are polygamy, dowry, and problems with unilateral divorce and violence by men.
    vvWomen in Islamic countries are guaranteed birthright by the Quran. This guarantee is not simple, however, because women are considered lower beings than men. It can be interpreted as a guarantee because they give birth to and raise children. Women are individuals who possess therights of childbirth and childrearing, and childbirth and childrearing need economic and supportive assistance. This is meaningful because it is an important cause of the high birth rates of Islamic countries.
    In reality, the legal status of women in Islamic countries is extremely inferior. A man can demand a divorce from a woman with simply a unilateral declaration of will, and is also guaranteed the right by the Quran to punish his wife as a last resort for deviant behavior. However, another examination of the Quran shows that this is because women’s status was distorted to benefit men through a faulty interpretation the Quran and Sharia law, rather than because a woman’s status in Islamic countries were inferior to that of a man from the outset. It may be difficult to demolish these long-time customs, but the implementation of the khul system demonstrates that it is not impossible. A proper interpretation of the Quran and Sharia law will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restoring the legal status of women to a level footing with men in Islamic countries, and has sufficient implications from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for improving the legal status of wome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현재의 무슬림 수는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세계 인구의 약 25%인 12억 내외로 알려져 있다. 이슬람 인구의 증가는 현대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저출산의 문제에 대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시사점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슬람국가가 단지 출산을 장려하기 때문에 출산율이 높은 것만은 아니고, 우리나라도 출산을 장려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저출산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출산은 혼인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슬람국가의 가족법에 대해서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슬람국가의 혼인과 이혼에 관한 법제연구는 이슬람국가의 높은 출산율을 이끌어내는 어떤 법리를 찾아서 우리 법에의 시사점을 던져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슬람법의 혼인과 이혼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현재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저출산의 해결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또한 이슬람국가 중에서 가장 이슬람적인 색채를 가진 가족법이 이집트 가족법인데 이집트는 ‘쿨으’라는 이혼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여성의 법적 지위를 강화하고 있다. 이슬람국가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를 향상 시켰다고 평가되고 있는 ‘쿨으’제도의 도입과정에서 개정을 위한 그들의 노력을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가족법 상 이혼과 혼인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찾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이슬람 가족법에 대해서 가장 흔히 알려진 것이 일부다처제와 혼납금 그리고 남성에 의한 일방적 이혼과 폭력의 문제이므로 이슬람 국가의 가장 중요한 法源인 샤리아법에서 혼인과 이혼의 규정을 살펴 보았다.
    이슬람 국가의 여성은 꾸란에 따라 부양받을 권리를 보장받고 있다. 여성의 부양받을 권리는 단순히 여성이 남성보다 열등한 존재이기 때문이 아니라 아이를 출산하고 양육하여야 하는 존재로서 부양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여성은 단지 여성이라는 존재라기 보다는 아이의 출산과 양육에 대한 권리는 갖는 자이고 출산과 양육은 경제적 지원과 주변의 지원이 필요한 일임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이슬람 국가의 출산율이 높은 중요한 원인으로 의미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
    이슬람 국가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는 현실적으로 매우 열악하다. 남성은 여성에 대하여 일방적인 의사표시만으로 이혼을 요구할 수도 있고, 혼인의 효과로 남편은 아내의 일탈적인 행동에 대하여 최후의 방법으로 징계할 권리가 꾸란에 의해 보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꾸란을 다시 살펴보면 이슬람 국가에서 여성의 지위는 처음부터 남성보다 열등하다는 이유에서 시작하였다기 보다는 남성에 의해 꾸란과 샤리아가 해석됨으로 인하여 원래의 취지를 왜곡하여 남성에게 유리하게 해석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들의 이러한 오랜 관행을 무너뜨리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불가능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쿨으 제도의 도입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꾸란과 샤리아의 올바른 해석은 이슬람 국가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를 남성과 동등하게 회복하는 실효적인 전략이 될 것이고, 여성의 법적 지위를 향상시킨다는 방법론적 측면에서 충분한 시사점이 있다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연구결과

    이슬람국가의 혼인과 이혼에 관한 법제를 통해서 이슬람 국가의 높은 출산율과 여성의 법적 지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슬람 국가의 여성은 꾸란에 따라 부양받을 권리를 보장받고 있다. 여성의 부양받을 권리를 단순히 여성이 남성보다 열등한 존재이기 때문이라고 한다면 여성의 지위는 남성에 종속된 존재로 된다. 하지만 꾸란이 제정되던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면 여성이 경제력을 가질만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전쟁 등으로 힘든 환경에서 단지 여성이라는 이유가 아니라 아이를 출산하고 양육하여야 하는 존재로서 부양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혼인금지 기강니 ‘잇다’ 기간 동안 부양을 받는 것 그리고 혼납금을 받는 것 등은 이러한 해석을 어느 정도 뒷받침 할 수 있는 제도이다. 여성은 단지 여성이라는 존재라기 보다는 아이의 출산과 양육에 대한 권리는 갖는 자이고 출산과 양육은 경제적 지원과 주변의 지원이 필요한 일임을 인정하여 남성에게 부양의 의무를 부담시키고 있다고 이해하면 이슬람 국가의 출산율이 높은 중요한 원인으로 의미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
    이슬람 국가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는 현실적으로 매우 열악하다. 남성은 여성에 대하여 일방적인 의사표시만으로 이혼을 요구할 수도 있고, 혼인의 효과로 남편은 아내의 일탈적인 행동에 대하여 최후의 방법으로 징계할 권리가 꾸란에 의해 보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꾸란을 다시 살펴보면 이슬람 국가에서 여성의 지위는 처음부터 남성보다 열등하다는 이유에서 시작하였다기 보다는 남성에 의해 꾸란과 샤리아가 해석됨으로 인하여 원래의 취지를 왜곡하여 남성에게 유리하게 해석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들의 이러한 오랜 관행을 무너뜨리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불가능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쿨으’ 제도의 도입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꾸란과 샤리아의 올바른 해석은 이슬람 국가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를 남성과 동등하게 회복하는 실효적인 전략이 될 것이고, 여성의 법적 지위를 향상시킨다는 방법론적 측면에서 충분한 시사점이 있다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여성의 경제활동이 활발해진 현대사회에서 지금까지 인정되고 있는 과도한 혼납금은 남성에게도 불평등한 제도가 되고 있으므로 여성도 스스로 자신의 존재를 독립적 인격체로 인식하여 제도를 개선하고자 할 때 더욱 효과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학문적 기여도

    이슬람국가의 혼인과 이혼에 관한 법제 연구는 현행 가족법과 비교법적으로 깊이 있는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특히 이집트 가족법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를 향상 시켜나가기 위한 제도의 도입과정은 현재 우리 가족법의 여성의 지위보장을 위한 개정 활동에 많은 시사점을 안겨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서 이집트 가족법에서 여성은 종래 이어져 내려오던 ‘잇다’기간과 같은 이익을 변형된 형태로 누리면서도 동시에 새로운 권익을 얻으려는 이중적인 태도를 볼 수 있었는데 이처럼 이집트 가족법이 현재 가지고 있는 이러한 모순점을 볼 때, 현재 우리나라의 여성의 경우 남성에게 의존적인 조항에 대해서 자발적으로 폐지를 하는 등의 모습은 여성의 지위 향상에 매우 고무적인 측면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사회적 기여도

    이집트 가족법에서 볼 수 있었던 ‘잇다’기간의 기원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이는 단순히 여성이기에 얻는 권익이거나 여성은 남성에게 의존성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제도가 아니었다. 여성이 가지고 있는 출산이라는 고유한 권리에 대해서 다시 한 번 환기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출산은 여성의 권리이고 가족과 사회 그리고 국가에서 그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경제적으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국가에서 아동수당을 지급하기로 하는 것도 현재 연구결과와 그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도 출산권을 가진 여성에게 어떻게 그들의 권리를 보호해 줄 것인가에 대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 교육 연계 활용방안

    이집트 가족법을 통해서 이슬람 사회의 혼인과 이혼의 법제를 살펴 볼 수 있었다. 이슬람 인구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고, 우리나라에 유입된 이슬람 인구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은 필연적으로 이슬람 국적의 남성과 한국 국적의 여성의 혼인의 증가라는 결과를 야기하게 될 것이다. 이는 반드시 국제사법의 문제를 야기하게 될 것이므로 본 연구는 국제사법에서 이들의 혼인과 이혼의 문제 발생시 해결할 수 있는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따라서 가족법 강의뿐만 아니라 국제사법 강의 시에도 비교법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이슬람 혼인, 이슬람 이혼, 샤리아, 딸라끄, 혼납금, 잇다, 쿨으, 일부다처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