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의 산출과 지각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취업, 결혼, 유학 등을 목적으로 다수의 베트남인이 국내에 체류하고 있으며, 전체 외국인 체류자 가운데서도 중국과 미국에 이어 세 번 ...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의 산출과 지각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취업, 결혼, 유학 등을 목적으로 다수의 베트남인이 국내에 체류하고 있으며, 전체 외국인 체류자 가운데서도 중국과 미국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베트남에서도 한국어 학습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한국어학과 및 한국어 강좌가 늘어나고 있다. 이처럼 국내와 베트남 현지 양쪽에서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해당 국가의 언어와 문화 등에 대한 접근성이 낮기 때문에 다른 언어권 학습자에 비해 연구가 어렵고, 비교적 최근 들어 학습자의 수가 급증하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연구 성과가 누적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 지금까지 수행된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자음 및 모음의 음향적 특성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자음 및 모음의 지각 단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된 바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의 산출 양상을 객관적으로 고찰하여 선행 연구를 보완하고, 한국어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의 지각 양상을 연구하여 해당 분절음의 지각 단서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숙달도 및 성별을 고려한 60명의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폐쇄음, 파찰음, 마찰음)에 대한 산출과 지각 연구를 수행한다. 산출 실험에서는 문장 및 단어 낭독 발화와 인터뷰 형식의 자유 발화를 통해 음향적 특성(단모음: 포먼트 값, 길이 등, 어두 장애음: VOT 등 각 구간의 길이, f0 등)을 분석하고, 지각 실험에서는 단모음과 어두 장애음을 나누어 자극에 대한 피험자들의 반응을 통해 지각 단서를 고찰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중국어권, 일본어권, 영어권과 같은 주요 언어권 학습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베트남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이들 학습자의 한국어 분절음 지각 양상에 대해 고찰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꼭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기대효과
이 연구 과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에 관한 연구로, 특히 단모음과 어두 장애음의 산출과 지각에 중점을 둔다. 최근 들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수가 늘어나고, 국내뿐만 아니라 베트남 현지에서도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시점에 ...
이 연구 과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에 관한 연구로, 특히 단모음과 어두 장애음의 산출과 지각에 중점을 둔다. 최근 들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수가 늘어나고, 국내뿐만 아니라 베트남 현지에서도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해당 학습자의 특성을 연구하는 본 과제의 결과는 베트남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의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수행된 관련 연구가 주로 산출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는 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지각적 측면에 대한 연구도 함께 수행함으로써 산출과 지각의 관련성을 고찰할 수 있다. 의사소통 상황에서 말하기는 듣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국어 학습 상황에서 교사가 발음을 들려주고 학습자에게 이를 따라하게 하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해도, 학습자는 자기가 인식한 소리로 발음해 계속해서 발음 오류를 보인다. 따라서 발음 교육에서는 학습자에게 정확한 발음에 앞서 소리의 차이를 파악하고 구별하여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 수행하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어두 장애음의 지각 및 산출과 지각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교육에 기여할 수 있다는 기대효과가 있다. 이 연구 과제에서 수집한 발화 자료는 여러 가지 면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인터뷰 형식으로 수집하는 자유 발화의 경우, 학습자들의 자연스러운 발화에서 나타나는 구어적 특성을 관찰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발화 단위 및 발화의 구조, 어휘와 조사/어미 등 문법적 요소의 선택, 다양한 발화 전략 등을 관찰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의 산출과 지각에 관한 본 연구의 방법론은 이후 다른 언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활용될 수 있다. 베트남인 학습자뿐만 아니라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등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언어권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의 기초 자료 구축을 위해 본 과제의 연구 방법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가 누적되면 각 언어권별 특성을 비교·분석하는 데도 용이할 것이다.
연구요약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의 산출과 지각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 특성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연 ...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의 산출과 지각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 특성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연구를 수행한다. 이어 산출 및 지각 연구를 위한 방법론을 정립하고 실험을 설계하여 예비 실험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섭외하여 본격적인 실험을 진행한다. 실험은 숙달도와 성별을 고려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총 60명을 대상으로 한다. 산출 실험은 분석 대상인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이 포함된 문장(혹은 단어)을 읽는 낭독 발화와, 인터뷰 형식의 자유 발화로 이루어진다. 지각 실험은 어두 장애음과 단모음을 나누어 수행한다. 어두 장애음은 한국인 화자가 발화한 자극의 길이와 음높이를 조절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단모음에 대한 지각 실험은 한국인이 발화한 자극을 학습자에게 들려주거나, 학습자가 발화한 자극을 학습자 또는 한국인 화자에게 들려주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다. 실험이 마무리되면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분석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과 어두 장애음의 음향적 특성과 지각 단서를 고찰하고, 이에 대한 논문을 집필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연구를 통해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의 산출과 지각에 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함으로써 과제를 마무리한다. 본 연구 과제는 최근 베트남인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과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 베트남인 한국인 화자의 발음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 산출뿐만 지각적 측면에서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산출과 지각의 관련성을 고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 연구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측면과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 분야에 꼭 필요한 기초자료의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활용 가치가 높으며, 본 연구를 위해 수집한 자료(특히 인터뷰 자료 등)는 향후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의 산출과 지각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 특성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연구 ...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의 산출과 지각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 특성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어 산출 및 지각 연구를 위한 방법론을 정립하고 실험을 설계하여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섭외하여 본격적인 실험을 진행한다. 실험은 숙달도와 성별을 고려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총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출 실험은 분석 대상인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이 포함된 문장(혹은 단어)을 읽는 낭독 발화와, 인터뷰 형식의 자유 발화로 이루어졌다. 지각 실험은 어두 장애음과 단모음을 나누어 수행하였다. 어두 장애음은 한국인 화자가 발화한 자극의 길이와 음높이를 조절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단모음에 대한 지각 실험은 한국인이 발화한 자극을 학습자에게 들려주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산출 및 지각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과 어두 장애음의 음향적 특성과 지각 단서를 고찰하였다. 2년간의 연구 기간 동안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총 4가지 주제에 대한 연구 성과를 내었다. 베트남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산출 연구,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폐쇄음의 음향적 특성,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파찰음의 발음 유형과 음향적 특성, 그리고 베트남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폐쇄음의 지각 단서에 관한 연구가 그것이다. 이 연구 과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에 관한 연구로, 특히 단모음과 어두 장애음의 산출과 지각에 중점을 두었다. 최근 들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수가 늘어나고, 국내뿐만 아니라 베트남 현지에서도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해당 학습자의 특성을 연구하는 본 과제의 결과는 베트남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의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Korean monophthongs and word-initial obstruents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To do this, I first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pronunciation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and c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Korean monophthongs and word-initial obstruents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To do this, I first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pronunciation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and conducted a comparative linguistic study on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Vietnamese. Subsequently, the methodology for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study was established, and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nd prelimina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Next, I conducted an experiment by recruiting Vietnamese Korean learner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60 Vietnamese Korean learners considering proficiency and gender. The experiment consisted of a read utterance that reads sentences (or words) containing monophthongs and word-initial obstruents, and free speech in an interview form. Percep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monophthongs and word-initial obstruents. Word-initial obstruents were conducted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by adjusting the length of VOT and pitch of stimuli uttered by Korean speakers. Perceptual experiments on monophthongs were conducted in a way that informed learners of the stimuli uttered by Korea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production and perceptual experiments,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perceptual cues of Korean monophthongs and word-initial obstruents of Vietnamese learners were investigated.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study were analyzed to yield research on four themes. (1) Experimental Study on the Korean Monophthongs by Vietnamese Advanced Korean Learners (2) Acoustic analysis of Korean word-initial stops in Vietnamese learners (3) Analysis of Pronunciation Types and Acoustic Properties in Korean Word-Initial Affricate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4) Perceptual cues of Korean word-initial stops for advanced Vietnamese Korean learners. This research is a study on the pronunciation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Korean monophthongs and word-initial obstruents. Recently, as the number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has increased and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increasing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Vietnam, the result of this study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s a useful basic material for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Vietnamese.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의 산출과 지각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 특성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연 ...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의 산출과 지각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 특성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어 산출 및 지각 연구를 위한 방법론을 정립하고 실험을 설계하여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섭외하여 본격적인 실험을 진행한다. 실험은 숙달도와 성별을 고려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총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출 실험은 분석 대상인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이 포함된 문장(혹은 단어)을 읽는 낭독 발화와, 인터뷰 형식의 자유 발화로 이루어졌다. 지각 실험은 어두 장애음과 단모음을 나누어 수행하였다. 어두 장애음은 한국인 화자가 발화한 자극의 길이와 음높이를 조절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단모음에 대한 지각 실험은 한국인이 발화한 자극을 학습자에게 들려주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산출 및 지각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과 어두 장애음의 음향적 특성과 지각 단서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 과제는 최근 베트남인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과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 베트남인 한국인 화자의 발음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 산출뿐만 지각적 측면에서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산출과 지각의 관련성을 고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 연구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측면과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 분야에 꼭 필요한 기초자료의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활용 가치가 높으며, 본 연구를 위해 수집한 자료(특히 인터뷰 자료 등)는 향후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의 산출과 지각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숙달도와 성별을 고려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총 60명을 대상으로 녹음을 실시하였다. 산출 실험은 분석 대상인 단모음 및 ...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의 산출과 지각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숙달도와 성별을 고려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총 60명을 대상으로 녹음을 실시하였다. 산출 실험은 분석 대상인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이 포함된 문장(혹은 단어)을 읽는 낭독 발화와, 인터뷰 형식의 자유 발화로 이루어진다. 지각 실험은 어두 장애음과 단모음을 나누어 수행하였다. 어두 장애음은 한국인 화자가 발화한 자극의 길이와 음높이를 조절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단모음에 대한 지각 실험은 한국인이 발화한 자극을 학습자에게 들려주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2년간의 연구 기간 동안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총 4가지 주제에 대한 연구 성과를 내었다. 베트남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산출 연구,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폐쇄음의 음향적 특성,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파찰음의 발음 유형과 음향적 특성, 그리고 베트남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폐쇄음의 지각 단서에 관한 연구가 그것이다. 이 연구 과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에 관한 연구로, 특히 단모음과 어두 장애음의 산출과 지각에 중점을 두었다. 최근 들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수가 늘어나고, 국내뿐만 아니라 베트남 현지에서도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해당 학습자의 특성을 연구하는 본 과제의 결과는 베트남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의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수행된 관련 연구가 주로 산출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는 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지각적 측면에 대한 연구도 함께 수행함으로써 산출과 지각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의사소통 상황에서 말하기는 듣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국어 학습 상황에서 교사가 발음을 들려주고 학습자에게 이를 따라하게 하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해도, 학습자는 자기가 인식한 소리로 발음해 계속해서 발음 오류를 보인다. 따라서 발음 교육에서는 학습자에게 정확한 발음에 앞서 소리의 차이를 파악하고 구별하여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 수행하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어두 장애음의 지각 및 산출과 지각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교육에 기여할 수 있다는 기대효과가 있다. 또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및 어두 장애음의 산출과 지각에 관한 본 연구의 방법론은 이후 다른 언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활용될 수 있다. 베트남인 학습자뿐만 아니라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등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언어권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의 기초 자료 구축을 위해 본 과제의 연구 방법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가 누적되면 각 언어권별 특성을 비교·분석하는 데도 용이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