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EFL 환경에 속하는 국내 환경에서 실시된 어휘 주석 활용 관련 연구의 결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하여 제시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최근 영어교육과 관련한 많은 연구들이 다양한 매체를 보고되고 있지만, 실험 연구 결과를 하나하나 개별적으로 살펴보거 ...
본 연구는 EFL 환경에 속하는 국내 환경에서 실시된 어휘 주석 활용 관련 연구의 결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하여 제시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최근 영어교육과 관련한 많은 연구들이 다양한 매체를 보고되고 있지만, 실험 연구 결과를 하나하나 개별적으로 살펴보거나 연구자의 주관이나 편견이 반영될 수 밖에 없는 질적 내러티브 방식의 연구 통합으로는 해당 연구 주제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이해하기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객관적이고 양적인 연구 통합 방법인 메타 분석을 통해 많은 선행연구가 실시된 바 있는 영어 교과에서의 어휘 주석 활용과 관련된 실험 연구의 효과를 종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제시된 다양한 실험 연구들은 각 연구마다 표집 집단의 인원이 다를 뿐만 아니라, 처치 기간, 대상의 특성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연구간의 차이점으로 인해 그 결과를 종합하여 이해하기 어려웠던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독립 변인, 조절 변인, 종속 변인 등으로 구분하여 각 변인의 효과를 효과 크기(effect size)라고 하는 객관적인 수치로서 살펴본다면, 어떤 대상, 어느 정도의 기간, 언어 능력 또는 정의적 영역의 세부 변인들 등 다양한 조절변인과 종속변인 별로 어휘 주석 활용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국내 영어 수업에서 어휘 주석 활용의 전체적인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국내 영어 수업에서 어휘 주석 활용의 조절변인별(대상, 처치기간, 주석 유형 등)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국내 영어 수업에서 어휘 주석 활용의 종속변인별(인지적/정의적, 어휘/문법/듣기/말하기/읽기/쓰기 등) 효과는 어떠한가?
기대효과
국내 어휘 주석 활용 관련 연구 결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통합 및 정리하려는 목적을 지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을 지니고 있다.
첫째, 지금까지 단편적으로만 이해할 수 있었던 국내 어휘 주석 활용 관련 연구들의 결과를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
국내 어휘 주석 활용 관련 연구 결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통합 및 정리하려는 목적을 지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을 지니고 있다.
첫째, 지금까지 단편적으로만 이해할 수 있었던 국내 어휘 주석 활용 관련 연구들의 결과를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국내, 특히 영어교육 분야에서는 대중화되지 않은 연구 통합 방법인 메타분석을 보다 대중화하고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다. 셋째, 연구 과정 중 중간 결과물들을 국내외 학술대회에서의 발표를 통해 연구 과정과 결과를 영어교육 분야의 국내외 전문가들에게 검증받음과 동시에 결과를 공유할 것이다. 넷째, 국내외 유명 학술지(SCI/SCOPUS/KRI급)에 연구 결과를 논문의 형태로 게재하여 연구 결과를 타 연구자들과 공유할 것이다.
연구요약
국내에서 이루어진 어휘 주석 활용 실험 연구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진행된다. 1번째 단계로서 위의 연구 목표에 언급된 것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한다. 2번째 단계로서 메타분석 대상 연구물들을 선정하고 수 ...
국내에서 이루어진 어휘 주석 활용 실험 연구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진행된다. 1번째 단계로서 위의 연구 목표에 언급된 것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한다. 2번째 단계로서 메타분석 대상 연구물들을 선정하고 수집한다. 이 과정에서는 RISS, DBpia와 같은 국내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주석', '어휘 주석', ‘Gloss’, ‘Glossing’과 같은 주제어를 통해 관련 연구를 수집할 것이다. 또한 전자 도서관과 학회 홈페이지, 참고문헌 등을 활용하여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지 않은 관련 연구를 최대한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검색된 논문 중 메타분석의 대상으로서 적합한 연구를 선별하여 최종 메타분석 대상을 설정할 것이다. 3번째 단계는 연구 자료의 특성을 미리 설정한 변인에 따라 코딩하여 분류하게 된다. 메타분석을 위해 설정한 변인은 연구 출처, 연구 시기, 연구 대상, 처치 기간, 주석 언어, 주석 유형, 종속 변인 등이 있다. 각 연구의 코딩을 마치면 다수의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음은 물론, 각 변인별로 영어 어휘 주석 활용의 효과를 비교할 수 있게 된다. 4번째 단계는 선정된 논문들의 변인별 코딩 결과와 논문에 제시된 실험 결과를 메타 분석 소프트웨어인 Comprehensive Meta Analysis를 통해 입력하고 통계 처리하게 된다. 통계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통질성 검정 통계 방법은 Q 검사를 실시하여 메타분석 실시 모형을 결정하고, 각 연구의 개별 효과크기를 산출한 후 각 연구에 역변량가중치를 적용하여 각기 다른 척도와 방법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를 표준화한 후 전체 및 각 변인별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하게 된다. 마지막 단계인 분석 결과의 제시와 해석 부분에서는 전체 및 변인별로 얻어진 평균 효과크기를 95% 신뢰구간의 최대/최소값, Z값, U3 지수 등 다양한 통계적 수치를 통해 제시하고, 각 통계치에서 얻어진 결과들에 대해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한국어 주석과 영어 주석의 활용이 영어 어휘력과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국내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총 15개 연구에 수록된 42개의 개별 연구 사례를 본 메타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 ...
본 연구는 한국어 주석과 영어 주석의 활용이 영어 어휘력과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국내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총 15개 연구에 수록된 42개의 개별 연구 사례를 본 메타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CMA 3를 활용하여 주석 활용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영어 교육에서 어휘 주석 활용의 평균 효과크기는 중간 크기를 상회하는 .680(p=.000)이었다. 또한 한국어 주석(Q=20.737, df=1, p=.000)과 영어 주석(Q=8.472, df=1, p=.004) 모두 독해 능력보다 어휘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더 큰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This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1 and L2 glosses on vocabulary lear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Korean English learners by a quantitative meta-analysis. The 42 research findings in 15 papers were synthesized by calculating ...
This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1 and L2 glosses on vocabulary lear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Korean English learners by a quantitative meta-analysis. The 42 research findings in 15 papers were synthesized by calculating their mean effect sizes. The meta-analysis was conducted in terms of subjects, language used in glosses, types of dependent variables, et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glosses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had above the medium effect (g=0.680, p=.000). It was also found that the effects on vocabulary learning were stronger than reading comprehension in both L1 glosses (Q=20.737, df=1, p=.000) and L2 glosses (Q=8.472, df=1, p=.004).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주석과 영어 주석의 활용이 영어 어휘력과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국내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총 15개 연구에 수록된 42개의 개별 연구 사례를 본 메타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 ...
본 연구는 한국어 주석과 영어 주석의 활용이 영어 어휘력과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국내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총 15개 연구에 수록된 42개의 개별 연구 사례를 본 메타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CMA 3를 활용하여 주석 활용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영어 교육에서 어휘 주석 활용의 평균 효과크기는 중간 크기를 상회하는 .680(p=.000)이었다. 또한 한국어 주석(Q=20.737, df=1, p=.000)과 영어 주석(Q=8.472, df=1, p=.004) 모두 독해 능력보다 어휘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더 큰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국내 어휘 주석 활용 관련 연구 결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통합 및 정리하려는 목적을 지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을 지니고 있다.
첫째, 지금까지 단편적으로만 이해할 수 있었던 국내 어휘 주석 활용 관련 연구들의 결과를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
국내 어휘 주석 활용 관련 연구 결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통합 및 정리하려는 목적을 지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을 지니고 있다.
첫째, 지금까지 단편적으로만 이해할 수 있었던 국내 어휘 주석 활용 관련 연구들의 결과를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국내, 특히 영어교육 분야에서는 대중화되지 않은 연구 통합 방법인 메타분석을 보다 대중화하고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다. 셋째, 연구 과정 중 중간 결과물들을 국내외 학술대회에서의 발표를 통해 연구 과정과 결과를 영어교육 분야의 국내외 전문가들에게 검증받음과 동시에 결과를 공유할 것이다. 넷째, 국내외 유명 학술지(SCI/SCOPUS/KRI급)에 연구 결과를 논문의 형태로 게재하여 연구 결과를 타 연구자들과 공유할 것이다. 다섯째, 차후 어휘 주석 관련 후속 연구(어휘 주석의 위치, 어휘 주석의 유형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