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배우의 존재론과 음악적 현상학: 메이예르홀트의 배우론과 음악론 연구
The Actor’s Ontology and Musical Phenomenology - A Study on Meyerhold’s Actor Theory and Theory of Music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A8-2017S1A5A8021074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2 년 (2017년 05월 01일 ~ 2019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백승무
연구수행기관 한림대학교 러시아연구소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연구총론: 본 연구는 스타니슬랍스키와 함께 20세기 초 배우예술 정립의 선봉장으로 평가받는 메이예르홀트의 배우 철학과 연기 철학, 그리고 그가 배우예술의 으뜸요소로 지목한 음악성이 무대에서 실현되는 양상에 대한 고찰이 그 목적이다. 조건성과 마스크론, 그로테스크론 등 모더니즘적 연출기법을 창시한 그는 연극은 곧 배우예술임을 선언하고, 배우의 몸과 연기를 통해 음악적 정신과 원리를 무대화하는 것이 연극의 본질이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를 통해 그가 견지했던 배우의 존재론과 연기론, 그리고 배우의 최고덕목으로서 음악성의 개념이 밝혀질 것이다.
    ▶연구개요: 메이예르홀트의 배우예술을 총체적으로 다루는 본 연구는 2년에 걸쳐 3편의 논문집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배우의 존재론과 연기 미학을 논구하는 1년차 연구에서는 두 편의 논문을 집필할 예정이다. 연구1)에서는 <모순과 융화의 이중주>란 제하에 메이예르홀트가 견지한 배우에 대한 존재론적 철학과 입장이고, 연구2)에서는 <연기의 미학적 본질과 그 무대 실현>이란 제하에 메이예르홀트가 배우의 연기에 대해서 어떤 미학적 입장을 가졌는지 분석할 것이다. 이 두 논문을 통해 메이예르홀트 배우예술의 본질과 성격이 유기적으로 규명될 것이다. 2년차 연구3) <음악 현상의 활물화와 구조화>에서는 메이예르홀트 음악론의 발생과 원리, 진화와 발전 과정을 현상학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배우 행위와 공연 구조의 음악적 특성을 밝힐 것이다.
    ▶연구1)의 목표: 메이예르홀트가 상정한 배우 존재론을 탐구하는 논문1에서는 연극을 배우의 예술로 규정한 그의 배우중심적 입장과 배우를 바라보는 존재론적, 미학적 사유를 살펴볼 것이다. 메이예르홀트는 시적 메타포이자 모순의 집적체로서 배우의 형상, 일상의 때를 벗고 비가시적 세계를 드러내는 배우의 예술적 기능을 중시했다. 따라서 논문1에서는 모순과 충돌을 통해 세계의 진실을 형상화하는 배우의 실존적 기투를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2)의 목표: 논문2에서는 메이예르홀트의 배우론을 토대로 그의 연기론을 구성하는 마스크론, 앙플루아 이론, 즉흥성, 객관화 연기법, 거울상상법 등 그의 핵심적 연기기법을 분석하는 것이 목표이다. 그의 연출미학은 본질적으로 배우의 연기형식을 통해서 드러나는데, 마스크론, 앙플루아 이론은 연극 본래의 다층적이고 다면적인 기법을, 객관화 연기법과 거울상상법은 배우와 배역 간의 변증법적 관계를 보여주는데, 이러한 방법론은 최종적으로 배우와 관객 간의 유기적 대화법으로서 즉흥성의 원리를 배태한다.
    ▶연구3)의 목표: 논문3에서는 메이예르홀트 연극미학에서 음악 현상의 유래와 생성원리, 변화 발전의 양상 등을 밝히는 현상학적 입장에서 음악의 위상과 방법론, 실제를 탐구할 것이다. 활동 초기부터 음악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깊은 사유를 전개시킨 메이예르홀트는 끊임없이 무대의 행위와 발화, 공연의 구조와 구성에 음악의 원리와 법칙을 침윤시키는 방법론을 실험했다. 음악이라는 현상의 활물화와 구조화 연구를 통해 메이예르홀트 배우들이 실현해야하는 음악성의 본질을 밝히는 것이 논문3의 목표이다.
  • 기대효과
  • ▶ 기대효과: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① 배우의 존재론과 연기미학에 대한 국내 연구는 대단히 빈약한데, 본 연구를 통해 배우예술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연기훈련술이나 공연사례를 중심으로 배우에 대한 단편적인 연구는 진행되어 왔지만, 연극미학과 그 내적 맥락에 대한 이론적 고찰은 희박했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서 배우예술에 대한 철학적이고 미학적인 접근이 활성화될 것이다.
    ②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에 전적으로 의지한 배우훈련술과 배우연기론에 대해 새로운 관점과 영감을 제공할 것이다. 메이예르홀트의 혁신적 연극이론을 배우론 차원에서 소개함으로써 연극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③ 배우 행위의 음악성과 공연의 음악적 구조는 누구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이론적 토대와 방법론의 부재로 합목적적인 실험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연극의 음악적 원리와 가능성을 타진함으로써 무대예술의 창작과 수용에 있어서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 활용방안: 본 연구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① 본 연구성과는 각 연차별로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될 것이다. 1차 연도 주제로 2편의 논문, 2차 연도 주제로는 1편의 논문을 발표하여 총 3편의 논문을 생산할 것이다.
    ② 3편의 논문들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본 연구에 기반한 단행본 출간을 목표로 할 것이다. 메이예르홀트의 배우론과 음악론에 대한 체계적 저서가 출간되면 그동안 베일에 가려진 그의 진면목이 새로운 전기를 맞을 것이다. 유기적으로 직조된 저서를 통해 한국 독자들에게 메이예르홀트 연극미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줄 것이다.
    ③ 본 연구는 많은 배우와 배우지망생, 그리고 연극연출가들에게 연기훈련과 연습을 위한 지침서로 기능할 것이며, 창조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점검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④ 이론과 실용성을 겸비한 본 연구의 장점을 극대화시켜 관련 강좌가 개설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는 러시아학 전공자뿐만 아니라, 연극과 희곡에 관심을 가진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⑤ 철학적, 인문학적 지향을 가졌던 메이예르홀트의 배우예술을 논구하는 본 연구는 인간학과 연극예술과의 통섭 연구와 문학으로서 드라마학과 공연학의 융합적 연구를 위한 교본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 연구1)의 요약: 20세기 배우예술의 출현은 의미적 심도와 자장이 강화된 텍스트에 대한 전문적 해석자로서, 그리고 공연창작의 복잡다단한 과정을 단일한 미학적 전권으로 통합시키는 조정자로서 새로운 역할을 부여받은 연출가의 등장에서 비롯된다. 연출가는 자신의 관념 속 미학을 구체적 무대 언어로 바꿀 수 있는 배우-번역가를 요구했고, 이를 위해 ‘배우예술’이란 분과명에 걸맞은 총체적, 종합적 배우상을 제시했으며, 치밀하고 철저한 훈련시스템을 강제했다.
    메이예르홀트의 배우관과 연기론의 본질은 ‘일상과의 거리두기’에 있다. 배우와 배우 연기는 일상행위가 특정한 방식으로 코드화된 예술적 기호체계인바, 미학적 의도와 목적을 갖고 자동화된 통념을 깼을 때 비로소 예술로 승인받을 수 있다. 즉, 관습적 일상을 정화하고 이화시켜 미학적 기호화를 달성했을 때 배우예술이 탄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극의 고래적 속성인 조건성과 마스크, 그로테스크 등의 기법과 장치를 통해 배우예술의 토대를 다진 그의 실험이 가진 의미와 효용성을 밝히고자 한다.
    ▶ 연구2)의 요약: 메이예르홀트는 연출술 역사상 처음으로 마스크 개념을 무대에 도입했다. 한 사회의 역사적 기억지층 속에 내장된 다양한 문화적 연상소를 의미하는 마스크는 그 속에 축적된 다양한 사회역사적 뉘앙스의 연상을 통해 훨씬 더 풍부하고 폭넓은 의미를 생산할 수 있는 장치이다. 배우는 다양한 연상작용을 수행하는 다층적 마스크를 선택함으로써 인물의 역사성과 다의성을 확보한다. 메이예르홀트는 또한 배역의 유형과 거기에 걸맞은 배우의 자질을 규정하는 일종의 형상 창조 공식으로서 앙플루아를 도입하여 배역의 관습적 내용 해체를 통해 예상치 못한 역설적 효과를 창출했다. 그리고 배우가 삶과 일상의 지엽말단에 얽매이지 말고 인물과 작품의 본질을 꿰뚫는 암시적 행위, 메타포적 행위를 통해 관객들을 연상과 상상의 세계로 인도할 것을 요구했는데, 겉으로 보이지 않는 숨겨진 의미를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추라는 것이다. 이런 비가시적 본질을 행위를 통해 외화시키는 전략이 바로 즉흥성 훈련이다. 배우예술의 표현수단과 표현언어를 혁신하고자한 그는 다양한 시대, 다양한 민족의 연극 전통을 연구했고, 그 결과로서 배우연기의 본질이 즉흥성에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그는 배우와 배역의 동일화를 거부할 뿐만 아니라, 한 시민으로서 윤리적 책무를 위해서 배우에게 보다 고차원적인 과제를 부여하고 있는바, 검사로서의 배우 역할이 그것인데, 배우는 사상과 세계관의 전달자로서 절대 윤리성과 사회적 입장을 망각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또한 연기하면서도 거울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바라볼 줄 아는 능력, 자신이 관객들에게 어떻게 보일지 점검하는 능력이 중요함을 역설했다.
    ▶ 연구3)의 요약: 메이예르홀트의 공연에서 음악은 단순한 배경적 반주의 수준을 넘어, 공연의 구조적 제작 기법일 뿐만 아니라, 공연의 본질적 원리였고, 그의 공연은 풍부하고 심오한 음악성으로 흘러넘쳤다. 교향악 구성 법칙에 따라 만들어진 그의 공연에서 음악예술의 법칙들은 배우들의 연기방식을 지배하는 기본적인 방법론이 되었다. 인물들은 멜로디적 주제부와 비슷하게 배치되었고, 하모니와 대위법의 다양한 형식 속에서 다른 요소들과 결합되었다. 그는 연극의 구조를 교향악의 구조와 동일시했고, 각 요소의 구성과 조직법 또한 동일한 원리로 이뤄진다고 주장한다. 그러다보니 그에게 연출가의 최고 덕목이 음악적 자질이 되는 것은 당연했다. 연구3)에서는 행위와 발화의 음악적 원리를 분석함으로써 음악이 어떤 움직임이나 변화의 느낌을 창출할 수 있다는 음악의 조형성을 고찰할 것이며, 공연 구조와 구성의 음악성 분석을 통해 음악이 공연의 구조로 육화되는 원리를 밝힐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스타니슬랍스키와 함께 20세기 초 배우예술 정립의 선봉장으로 평가받는 메이예르홀트의 배우 철학과 연기 철학, 그리고 그가 배우예술의 으뜸요소로 지목한 음악성이 무대에서 실현되는 양상에 대한 고찰이 그 목적이다. 조건성과 마스크론, 그로테스크론 등 모더니즘적 연출기법을 창시한 그는 연극은 곧 배우예술임을 선언하고, 배우의 몸과 연기를 통해 음악적 정신과 원리를 무대화하는 것이 연극의 본질이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를 통해 그가 견지했던 배우의 존재론과 연기론, 그리고 배우의 최고덕목으로서 음악성의 개념이 밝혀질 것이다. 현재 본 연구의 최종결과물은 저명학술지에 게재된 상태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yerhold's philosophy on actor and acting, who is regarded as the vanguard of the establishment of actor art in the early 20th century together with Stanislavsky, and how musicality which was identified as the chief elements of actor's art was realized on stage. Having created modern production techniques such as conditionality, mask theory and grotesk, he declared that the play is an actor's art, and argues that it is the essence of the play to stage the musical spirit and principle through the actor's body and acting. The study will reveal the existence of the actor, the acting theory, and the concept of musicality as the best virtues of the actor. Currently, complete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were published in the eminent academic journal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연구총론: 본 연구는 스타니슬랍스키와 함께 20세기 초 배우예술 정립의 선봉장으로 평가받는 메이예르홀트의 배우 철학과 연기 철학, 그리고 그가 배우예술의 으뜸요소로 지목한 음악성이 무대에서 실현되는 양상에 대한 고찰이 그 목적이다. 조건성과 마스크론, 그로테스크론 등 모더니즘적 연출기법을 창시한 그는 연극은 곧 배우예술임을 선언하고, 배우의 몸과 연기를 통해 음악적 정신과 원리를 무대화하는 것이 연극의 본질이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를 통해 그가 견지했던 배우의 존재론과 연기론, 그리고 배우의 최고덕목으로서 음악성의 개념이 밝혀질 것이다.
    ▶연구내용: 본 연구의 내용, 범위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1) 배우의 존재론: 모순과 융화의 이중주
    메이예르홀트가 상정한 배우 존재론을 탐구하는 이 연구에서는 연극을 배우의 예술로 규정한 그의 배우중심적 입장과 배우를 바라보는 존재론적, 미학적 사유를 살펴볼 것이다. 메이예르홀트는 시적 메타포이자 모순의 집적체로서 배우의 형상, 일상의 때를 벗고 비가시적 세계를 드러내는 배우의 예술적 기능을 중시했다. 따라서 여기서는 모순과 충돌을 통해 세계의 진실을 형상화하는 배우의 실존적 기투를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배우의 연기론: 미학적 본질과 그 무대 실현
    여기서는 메이예르홀트의 배우론을 토대로 그의 연기론을 구성하는 마스크론, 앙플루아 이론, 즉흥성, 객관화 연기법, 거울상상법 등 그의 핵심적 연기기법을 분석하는 것이 목표이다. 그의 연출미학은 본질적으로 배우의 연기형식을 통해서 드러나는데, 마스크론, 앙플루아 이론은 연극 본래의 다층적이고 다면적인 기법을, 객관화 연기법과 거울상상법은 배우와 배역 간의 변증법적 관계를 보여주는데, 이러한 방법론은 최종적으로 배우와 관객 간의 유기적 대화법으로서 즉흥성의 원리를 배태한다.
    3) 음악적 현상학:음악 현상의 활물화와 구조화
    본 연구에서는 메이예르홀트 연극미학에서 음악 현상의 유래와 생성원리, 변화 발전의 양상 등을 밝히는 현상학적 입장에서 음악의 위상과 방법론, 실제를 탐구할 것이다. 활동 초기부터 음악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깊은 사유를 전개시킨 메이예르홀트는 끊임없이 무대의 행위와 발화, 공연의 구조와 구성에 음악의 원리와 법칙을 침윤시키는 방법론을 실험했다. 음악이라는 현상의 활물화와 구조화 연구를 통해 메이예르홀트 배우들이 실현해야하는 음악성의 본질을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① 본 연구성과는 각 연차별로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되었다. 이를 통해 해당 연구의 성과가 대외적으로 전파될 것이며 이에 대한 관심고조와 논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② 연구자는 향후 본 연구와 연관된 논문들을 추가로 집필(<메이예르홀트의 음악론: 음악 현상의 활물화와 구조화>)하여 본 연구에 기반한 단행본 출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메이예르홀트의 배우론과 음악론에 대한 체계적 저서가 출간되면 그동안 베일에 가려진 그의 진면목이 새로운 전기를 맞을 것이다. 유기적으로 직조된 저서를 통해 한국 독자들에게 메이예르홀트 연극미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줄 것이다.
    ③ 본 연구는 많은 배우와 배우지망생, 그리고 연극연출가들에게 연기훈련과 연습을 위한 지침서로 기능할 것이며, 창조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점검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④ 이론과 실용성을 겸비한 본 연구의 장점을 극대화시켜 관련 강좌가 개설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는 러시아학 전공자뿐만 아니라, 연극과 희곡에 관심을 가진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본 연구자는 해당 연구를 내용으로 수업현장에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이론적, 실제적 경험의 심화에 기여하고 있다.
    ⑤ 철학적, 인문학적 지향을 가졌던 메이예르홀트의 배우예술을 논구하는 본 연구는 인간학과 연극예술과의 통섭 연구와 문학으로서 드라마학과 공연학의 융합적 연구를 위한 교본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메이예르홀트, 배우, 배우예술, 마스크, 그로테스크, 앙플루아, 즉흥성, 음악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