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패션 산업 시스템과 트렌드 변화에 대한 연구
Change of Fashion System and Fashion Trend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A2A01027263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3 년 (2017년 07월 01일 ~ 202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하지수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혁신적인 테크놀로지의 발전이 가져온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현대 패션 산업 시스템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특히 정보 확산 방식의 변화로 인한 패션 트렌드의 영향력과 지속성의 변화에 주목하고자 하는데, 패션 산업 시스템 내 제품 기획 단계와 디자인 단계로 대표되는 생산 단계에서 작용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동시에 소비자가 생성하는 트렌드와 패션 시스템 내의 파급력과 순환적 흐름을 고려하여 입체적인 관점에서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가오는 미래의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산업적 측면은 물론 교육적 측면에서 산업을 리드할 수 있는 선제적 전략을 구축하여 대응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첫째, 정보화 시대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함께 급변하고 있는 패션 트렌드 개념을 재정립하고 패션 산업 시스템 내에서 변화된 영향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패션 트렌드에 의존하던 종래의 기획과 디자인 과정의 새로운 프로세스를 정립하여, 패션 산업 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하며 다가오는 미래의 준비된 산업으로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빅테이터를 활용한 패션 트렌드 분석 및 예측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의류학과 패션디자인학 등 학문 분야는 물론 패션 산업에서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 체계적이고 타당한 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생산자는 물론 소비자의 관점에서 패션 트렌드의 변화된 메커니즘을 밝힘으로써, 패션 브랜드의 타깃 설정 시 새롭게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과 설정 방법에 있어 상업성의 측면에서 현실적이고 타당성 있는 개선이 이루어 질 것이다. 이는 국내 패션 업계의 상품 기획, 디자인 프로세스, 마케팅 전략의 수립에도 도움을 주고 침체기를 겪고 있는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는 의미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넷째, 패션 트렌드의 개념 및 영향력이 새롭게 정립되고 이에 따른 패션 산업 시스템의 변화가 명확해 지면, 산업 인재를 배출하는 교육의 내용도 변화하는 시대에 맞추어 새롭게 정립될 것이다. 새로운 시각에서의 패션 산업을 바라보며, 패션 시스템 내에서 변화하는 역할과 소양 등 교육이 다가오는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첫째, 2000년 이후 패션 산업 시스템 내의 다양한 변화 사례를 수집·분석하여, 예측 가능한 패션 산업 시스템 변화의 유형별 시나리오를 구성한다. 예측 시나리오는 현실성과 구체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미래의 패션 산업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문헌을 통한 사례분석, 델파이 설문과 시나리오 구성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델파이 기법은 판단을 취합하는데 적합하며 익명성과 피드백에 핵심적인 특성이 있으며 모호할 수 있는 의견의 불확실성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변형된 델파이 기법으로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제어를 활용하고자 한다. 설문대상은 연구 및 교육 경력이 최소 5년 이상으로 전문성이 높은 국내 의류학과와 패션디자인과 교수 및 연구자로 한정하고자 하며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대상을 선정하여 총 25부를 배포하고자 한다. 시나리오 기법에서는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요 동인들과 델파이 설문을 통해 합의를 거친 핵심 동인들을 유형화하여 각 상황에 해당하는 미래 패션 산업 시스템상을 설명한다.
    둘째, 사회·문화적 환경과 관련하여 패션 트렌드 영향력과 지속성 변화를 분석한다. 최근 패션 트렌드 변화의 가속화와 소수 소비자 취향의 강조로 패션 트렌드의 지속성 및 영향력의 범위가 크게 축소·변화되어 기존의 트렌드 구분이 무의미 해지고 있으며 패션 시스템 내에서 그 발현 기제는 크게 변화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양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 명확하게 밝히고 패션 산업 시스템 내 생산자와 소비자의 관점에서 변화에 대해서는 정성적으로 질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콘텐츠 분석방법과 심층 면접의 질적 연구 방법을 병행하고자 한다. 구글 트렌드는 검색 언어의 노출 시기 및 언급량을, 빅카인즈는 키워드 간의 관계 분류인 텍사노미를 적용할 수 있어 테마를 표현하는 단어와 연관 단어의 관계성을 토대로 분석이 가능하므로 테마 안에서의 스타일 요소들의 표현 빈도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2001년부터 최근까지 패션 트렌드 정보 회사인 WGSN, 넬리로디, 트렌드유니온이 1년에 2회씩 제공하고 있는 S/S와 F/W의 패션 트렌드 정보 중 패션 트렌드 테마와 스타일 요소를 분석할 것이다. 또한 패션 전문가와의 심층 면접을 통하여 패션 상품 기획 및 디자인 시 패션 트렌드의 영향, 활용 및 지속성에 대한 의견을 도출한다. 이때, 트렌드에 민감한 SPA, 영캐릭터, 영컨템포러리 조닝에 포함된 브랜드 종사자들로 한정하고자 한다. 소비자 심층 면접의 대상자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20~30대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정하고 패션 민감도가 높은 소비자만을 대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질적 연구 자료 분석은 Creswell의 나선형 자료 분석 모형을 사용할 것이다.
    셋째, 현대 패션 산업 시스템 내 패션 트렌드 작용 과정 전반에 대해 시나리오 유형별 변화된 메커니즘을 밝힌다. 첫째와 둘째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 패션 산업 시스템에서 패션 트렌드의 영향력 발현의 기제를 시나리오 유형별로 밝히고자 한다. 패션 트렌드를 이해하는 것은 패션 시장에서 기회를 포착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패션 시장에서 성공을 위한 필수조건이 된다. 시나리오 유형별로 관련한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혁신적인 과학기술의 발전이 가져온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현대 패션산업 시스템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특히 정보 확산 방식의 변화로 인한 패션 트렌드의 영향력과 지속성의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더불어, 패션산업 시스템 내 제품 기획 단계와 디자인 단계로 대표되는 생산의 초기 단계에서 작용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동시에 소비자가 생성하는 트렌드와 패션시스템 내의 파급력과 순환적 흐름을 고려하여 입체적인 관점에서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가오는 미래의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산업적 측면은 물론 교육적 측면에서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선제적 대응전략을 구축하여 패션산업의 긍정적인 변화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한 구체적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① 2000년 이후 패션산업 시스템 내의 다양한 변화 사례를 수집·분석하여, 예측 가능한 패션산업 시스템 변화의 유형별 예측 시나리오를 구성한다. ② 사회·문화적 환경과 관련하여 패션 트렌드 영향력과 지속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패션 트렌드의 수와 종류, 각각 패션 트렌드의 수용과 확산 그리고 지속 기간을 밝힌다. ③ 현대 패션산업 시스템 내 패션 트렌드 작용 과정 전반에 대해 시나리오 유형별 변화된 메커니즘을 밝힌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첫째, 패션산업 시스템 변화의 유형별 시나리오의 구성을 위해서는 문헌을 통한 사례분석,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을 되풀이해 모으고, 발전시켜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인 델파이 설문과 실현 가능성이 높은 핵심요소들을 유형화하여 이를 적용한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시나리오 구성 방법을 사용한다. 둘째, 패션 트렌드의 영향력과 지속성 변화 분석을 위해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콘텐츠 분석방법과 심층 면접의 질적 연구 방법을 병행한다.
    연구수행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차년도 연구수행을 통해 사례 조사에 정확한 초석을 다졌다. 사례 조사 및 분석을 위해 해외 출장과 세미나에 참석하여 패션산업에서 다양한 트렌드 전략과 패션 전시 같은 새로운 미디어의 영향력에 대한 자료 수집에 집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트렌드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기초 자료들을 구축하였다.
    2차년도 연구수행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톰을 활용하여 트렌드 관련한 데이터 분석을 위한 예비 연구로 다양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패션 트렌드의 영향력과 지속성 변화 분석을 위해서 빅카인즈와 구글 트렌드와 같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콘텐츠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둘째, BoF(The Business of Fashion) 등 전문 온라인 정보 사이트를 활용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셋째, 1차년도 사례 조사 결과를 토대로 3차례의 학술대회발표와 3편의 논문 작성 및 게재를 진행하였다. 넷째, 해외 트렌드 관련 산업 현황파악을 위해 해외 출장을 다녀왔다.
    3차년도에는 사회·문화적 환경과 관련하여 패션 트렌드 영향력과 지속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패션 트렌드의 종류, 패션 트렌드의 수용과 확산 그리고 지속기간을 고찰하였다. 빅데이터 분석, 문헌연구, 전문가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첫째, 최근 패션 시장의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변화들에 대해 전문 기관의 의견을 수집하기 위하여 관련 분야 교수, 연구자, 실무자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둘째, 패션 민감도가 높은 국내 소비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셋째, 소비자 트렌드 이슈와 전망을 연구하기 위해 FIBA(Fashion Index of Behavior and Attitude)와 같은 전문 자료를 통한 문헌 연구를 토대로 현대 패션산업 시스템 내 패션 트렌드 작용 과정 전반에 대해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유형별 변화된 메커니즘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추진 목표였던 학술 발표 6회와 논문 게재 6편은 모두 달성하였다. 학술 발표 7회, 논문 게재 4편으로 그리고 현재 논문 2편 게재 준비 중이다.
    이 연구 결과의 활용 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시대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함께 급변하고 있는 패션 트렌드 시스템을 유형별로 분석하고, 이를 변화시키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내는 현대 소비자의 니즈 이해를 도모하도록 진행되었다. 이에 대한 결과는 Preview in Seoul/Daegu와 같은 소재, 패션의류 라이프텍스타일이 어우러지는 융합의 장인 박람회 세미나를 통해 다양한 패션업계 사람들과 공유할 계획이다.
    둘째, 선행연구들은 문헌 연구 혹은 정량적 측정 방법에만 치중했던 것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방대한 데이터에 대한 양적인 분석과 심층 면접 통한 질적 연구 방법을 병행하였다. 정량적 분석을 위해 소비자들의 일상관찰을 통해 맥락화된 소비자의 니즈를 이해하고 소비자의 사고의 변화와 추구하는 트렌드 및 라이프스타일을 엿볼 수 있는 진보된 도구로 평가 받고 있는 빅데이터 활용한 방법을 적용하였는데, 이러한 빅데이터의 활용은 ICCT, 한국패션디자인학회 등의 학술대회를 통해 국내외 패션을 이끌고 있는 패션 학계 분야 전문가들과 공유되었다.
    셋째, 소비자 개인 정보 접근성의 확대와 취향의 세분화로 인해 현대 패션산업은 점차 정확한 타깃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와 시나리오 기법을 통하여 변화된 생산자와 소비자의 관점에서 미래의 패션 시스템에 대한 객관적 예측과 대응 전략을 구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패션·섬유 및 관련산업 부문의 최고경영자, 기업을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경영하고자 하는 임원급 이상의 경영자, 향후 패션·섬유산업 관련 기업을 창업하고자 하는 경영인을 대상으로 하는 서울대학교 AFB(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 과정)를 통해 직접 패션경영자들에게 제공하려고 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복잡하고 다중화된 패션 트렌드의 지속성과 영향력에 대해 연구하여, 현재 트렌드의 양상과 영향력의 변화를 관측하는데 학계와 산업계 모두에게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통신기술의 발전을 기반으로 개인화된 콘텐츠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이들이 형성하는 다채로운 트렌드 양상에 집중하였다. 이를 통해 더 이상 기존에 패션 정보원뿐 아니라 개인화된 다양한 정보원을 바탕으로 국내 시장 환경에 대한 통찰력을 강화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다섯째, 본 연구의 결과는 패션 트렌드의 개념 및 영향력을 새롭게 정립하였으며, 패션 트렌드의 변화된 메커니즘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자료는 국내외 학계 및 관련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서울대 의류학과 동문들을 대상으로 세미나를 진행하려고 한다. 이러한 세미나를 통한 교류는 패션산업 시스템의 변화를 명확하게 바라보도록 개개인의 학문적, 전문적 능력향상을 도모함은 물론이며, 교육계에서는 산업 인재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교육의 내용이 새롭게 변화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를 토대로 학계 및 교육계에서는 국내 패션시스템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 패션시스템 내에서 변화하는 역할과 소양, 전반적인 교육의 내용도 진화하여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도록 교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current fashion industry system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science and technology toda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changes in the influence and persistence of fashion trends due to changes in information dissemination methods. In addition, in the early stages of production, represented by the product planning stage and design stage in the fashion industry system, the mechanism of action is specifically identified.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e trends generated by consumers and the ripple power and cyclical flow within the fashion system,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fashion trends from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Through this, this study establishes a preemptive response strategy that can lead the industry in terms of education as well as industrial in the new paradigm of the coming future as well as suggest a positive direction for change in the fashion industry.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① By collecting and analyzing various changes in the fashion industry system since 2000, a predictable scenario for each type of predictable fashion industry system change is constructed. ② In order to analyze changes in fashion trend influence and sustainability in relation to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the number and type of fashion trends, respectively, the acceptance, diffusion, and duration of fashion trends are disclosed. ③ It will reveal the mechanisms that have changed for each scenario type for the overall process of fashion trends in the modern fashion industry system.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is: First, to construct a scenario for each type of change in the fashion industry system, a case analysis through literature, a Delphi questionnaire which is a method of repeatedly collecting and developing the opinions of various experts to predict the future, and a key element with high possibility The scenario configuration method is used to form the scenarios that are applied by categorizing them. Second, to analyze the influence and persistence of fashion trends, a content analysis method using big data an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in-depth interviews are conducted in parallel.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rough the first year of research, we laid an accurate foundation for case studies. For case study and analysis, we attended overseas business trips and seminars, focusing on collecting data on the influence of new media such as various trend strategies and fashion exhibitions in the fashion industry. Based on this, basic materials to broaden understanding of current trends were constructed.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conducted in the second year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case studies were conducted as a preliminary study for trend-related data analysis using textome. To analyze the influence and persistence of fashion trends, a content analysis method using big data such as Big Cains and Google Trends was used. Second,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specialized online information sites such as BoF (The Business of Fashion).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in the first year, three conferences were presented and three papers were written and published. Fourth, I went on a business trip abroa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industry related to overseas trends.
    In the third year, the types of fashion trends, acceptance and spread of fashion trends, and duration were consider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ashion trends and changes in sustainability in relation to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Big data analysis, literature research, and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Also to study consumer trend issues and prospect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through specialized data such as FIBA ​​(Fashion Index of Behavior and Attitude), a scenario was established for the entire process of fashion trends in the current fashion industry system and changed mechanisms for each type were developed.
    The plan to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fashion trend system was analyzed by type, and the factors that changed it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needs of modern consumers that lead to such changes. The results of this will be shared with people in various fashion industries through a seminar on the fusion craftsmanship where materials such as Preview in Seoul/Daegu and fashion clothing and lifestyle are harmonized.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ed producers and consumers, objective prediction and response strategies for the future fashion system were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is are intended to be provided directly to fashion managers through the fashion·textile and related industry managers, AFB(Seoul National University Fashion Industry Chief Executive Course).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newly established the concept and influence of fashion trends, and reveals the changed mechanism of fashion trends. These materials are intended to conduct seminars for alumni of the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ho are engag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a and related industries. Exchanges through these seminars will not only improve individual academic and professional abilities to clearly see the changes in the fashion industry system, but also will change the contents of education to produce industrial talents in the education world. Specifically, based on this study, academics and educational circles can educate them to look at the domestic fashion system from a new perspective, and to strengthen their capacity to respond to the future by evolving the changing roles and literacy in the fashion system, and the content of overall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혁신적인 과학기술의 발전이 가져온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현대 패션산업 시스템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특히 정보 확산 방식의 변화로 인한 패션 트렌드의 영향력과 지속성의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더불어, 패션산업 시스템 내 제품 기획 단계와 디자인 단계로 대표되는 생산의 초기 단계에서 작용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동시에 소비자가 생성하는 트렌드와 패션시스템 내의 파급력과 순환적 흐름을 고려하여 입체적인 관점에서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가오는 미래의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산업적 측면은 물론 교육적 측면에서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선제적 대응전략을 구축하여 패션산업의 긍정적인 변화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한 구체적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① 2000년 이후 패션산업 시스템 내의 다양한 변화 사례를 수집·분석하여, 예측 가능한 패션산업 시스템 변화의 유형별 예측 시나리오를 구성한다. ② 사회·문화적 환경과 관련하여 패션 트렌드 영향력과 지속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패션 트렌드의 수와 종류, 각각 패션 트렌드의 수용과 확산 그리고 지속 기간을 밝힌다. ③ 현대 패션산업 시스템 내 패션 트렌드 작용 과정 전반에 대해 시나리오 유형별 변화된 메커니즘을 밝힌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첫째, 패션산업 시스템 변화의 유형별 시나리오의 구성을 위해서는 문헌을 통한 사례분석, 델파이 설문과 시나리오 구성 방법을 사용한다. 둘째, 패션 트렌드의 영향력과 지속성 변화 분석을 위해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콘텐츠 분석방법과 심층 면접의 질적 연구 방법을 병행한다.
    연구수행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차년도 연구수행을 통해 사례 조사에 정확한 초석을 다졌다. 사례 조사 및 분석을 위해 해외 출장과 세미나에 참석하여 패션산업에서 다양한 트렌드 전략과 패션 전시 같은 새로운 미디어의 영향력에 대한 자료 수집에 집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트렌드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기초 자료들을 구축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 조사를 위해 트렌드에 대한 자료를 획득하고, 사례 조사 및 분석방법에 대한 노하우를 구체화 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둘째, 사적으로 트렌드 변화를 고찰하고, 소비자와 접점의 극대화로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는 패션 전시에 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셋째, 현재 패션 시장의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변화들에 대해 전문 기관의 의견을 수집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다양한 세미나에 참석하였다.
    2차년도 연구수행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톰을 활용하여 트렌드 관련한 데이터 분석을 위한 예비 연구로 다양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패션 트렌드의 영향력과 지속성 변화 분석을 위해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콘텐츠 분석방법을 구체화 하였다. 둘째, BoF(The Business of Fashion) 등 전문 온라인 정보 사이트를 활용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패션 시스템의 변화를 예측하고, 오늘날 산업체에서 미래에 대비하는 전략들을 조사한 결과, 미래 패션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생산에서 배송까지 전 과정을 위한 통합적 전략 구축과 세분화된 젠더 관련 라인 구축 및 참신한 디자인이 필수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1차년도 사례 조사 결과를 토대로 3차례의 학술대회발표와 3편의 논문 작성 및 게재를 진행하였다. 넷째, 해외 트렌드 관련 산업 현황파악을 위해 해외 출장을 다녀왔다.
    3차년도에는 사회·문화적 환경과 관련하여 패션 트렌드 영향력과 지속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패션 트렌드의 종류, 패션 트렌드의 수용과 확산 그리고 지속기간을 고찰하였다. 빅데이터 분석, 문헌연구, 전문가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첫째, 최근 패션 시장의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변화들에 대해 전문 기관의 의견을 수집하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관련 분야 교수, 연구자, 실무자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둘째, 패션 민감도가 높은 국내 소비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패션산업 시스템 내 소비자의 관점에서 변화한 트렌드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셋째, 소비자 트렌드 이슈와 전망을 연구하기 위해 FIBA(Fashion Index of Behavior and Attitude)와 같은 전문 자료를 통한 문헌 연구를 토대로 현대 패션산업 시스템 내 패션 트렌드 작용 과정 전반에 대해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유형별 변화된 메커니즘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추진 목표였던 학술 발표 6회와 논문 게재 6편은 모두 달성하였다. 학술 발표 7회, 논문 게재 4편으로 그리고 현재 논문 2편 게재 준비 중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선행연구들은 주로 기존에 구축된 기존의 패션 트렌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시스템 구성원들의 역할 및 프로세스를 검토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시대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함께 급변하고 있는 패션 트렌드 시스템을 유형별로 분석하고, 이를 변화시키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내는 현대 소비자의 니즈 이해를 도모하도록 진행되었다. 이에 대한 결과는 Preview in Seoul/Daegu와 같은 소재, 패션의류 라이프텍스타일이 어우러지는 융합의 장인 박람회 세미나를 통해 다양한 패션업계 사람들과 공유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공유된 자료는 변화된 현대 소비자에 니즈에 대한 이해는 물론 이에 대응하는 맞춤형 패션 산업 시스템 구축과 이 시스템 내의 구성원들의 역할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그리고 종래에 당연시되던 패션디자인 시계열 프로세스를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환경을 반영하여 재구축하여 패션 제품 기획과 디자인 과정을 변화하는 시스템에 맞추어 새롭게 정립하였으므로 일련의 과정들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의미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선행연구들은 문헌 연구 혹은 정량적 측정 방법에만 치중했던 것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방대한 데이터에 대한 양적인 분석과 심층 면접 통한 질적 연구 방법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패션 트렌드의 생산, 확산, 수용 과정 전반에 대해 고찰하고,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패션 트렌드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이해를 돕고 있다. 정량적 분석을 위해 소비자들의 일상관찰을 통해 맥락화된 소비자의 니즈를 이해하고 소비자의 사고의 변화와 추구하는 트렌드 및 라이프스타일을 엿볼 수 있는 진보된 도구로 평가 받고 있는 빅데이터 활용한 방법을 적용하였는데, 이러한 빅데이터의 활용은 ICCT, 한국패션디자인학회 등의 학술대회를 통해 국내외 패션을 이끌고 있는 패션 학계 분야 전문가들과 공유되었다. 이를 통해, 의류학과 패션디자인학 등 학문 분야는 물론 패션 산업에서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 체계적이고 타당한 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소비자 개인 정보 접근성의 확대와 취향의 세분화로 인해 현대 패션산업은 점차 정확한 타깃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와 시나리오 기법을 통하여 변화된 생산자와 소비자의 관점에서 미래의 패션 시스템에 대한 객관적 예측과 대응 전략을 구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패션·섬유 및 관련산업 부문의 최고경영자, 기업을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경영하고자 하는 임원급 이상의 경영자, 향후 패션·섬유산업 관련 기업을 창업하고자 하는 경영인을 대상으로 하는 서울대학교 AFB(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 과정)를 통해 직접 패션경영자들에게 제공하려고 한다. 이러한 내용 전달은 패션 브랜드가 타깃을 설정할 때, 새롭게 고려해야 할 요소와 적용에 있어서 현실적이고 타당한 개선이 이루어지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것이다. 나아가 국내 패션 업계의 상품기획, 디자인 프로세스, 마케팅 전략의 수립에도 도움을 주고, 침체기를 겪고 있는 패션산업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복잡하고 다중화된 패션 트렌드의 지속성과 영향력에 대해 연구하여, 현재 트렌드의 양상과 영향력의 변화를 관측하는데 학계와 산업계 모두에게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통신기술의 발전을 기반으로 개인화된 콘텐츠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이들이 형성하는 다채로운 트렌드 양상에 집중하였다. 이를 통해 더 이상 기존에 패션 정보원뿐 아니라 개인화된 다양한 정보원을 바탕으로 국내 시장 환경에 대한 통찰력을 강화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다섯째, 본 연구의 결과는 패션 트렌드의 개념 및 영향력을 새롭게 정립하였으며, 패션 트렌드의 변화된 메커니즘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자료는 국내외 학계 및 관련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서울대 의류학과 동문들을 대상으로 세미나를 진행하려고 한다. 이러한 세미나를 통한 교류는 패션산업 시스템의 변화를 명확하게 바라보도록 개개인의 학문적, 전문적 능력향상을 도모함은 물론이며, 교육계에서는 현시대에 맞는 산업 인재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교육의 내용이 새롭게 변화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를 토대로 학계 및 교육계에서는 국내 패션시스템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 패션시스템 내에서 변화하는 역할과 소양, 전반적인 교육의 내용도 진화하여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도록 교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패션 산업 시스템, 패션 트렌드, 빅데이터, 트렌드 영향력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