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장애학생의 진로 및 전환교육」 이러닝 시스템 구축이 중등 특수교사의 교과 및 교수 전문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arning system focused on「career and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on the improvement of subject knowledge and pedagog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A8021516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3 년 6 개월 (2017년 05월 01일 ~ 2020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이현주
연구수행기관 전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특수교원의 전문성 향상은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의 제공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요소임. 장애학생의 전환교육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나, 전환교육의 실행에 관한 교사의 전문성은 아직 미흡한 것으로 보고됨. 특수교원을 대상으로 ‘진로 및 전환교육’ 관련 재교육 실시 필요성이 제기되는 바임.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진로 및 전환교육」 주제의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 및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중등 특수교사의 교과 지식과 교수적 실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함.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첫째, 「장애학생의 진로 및 전환교육」 주제의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중등 특수교사의 교육적 요구를 면밀히 파악하고자 함. 둘째, 설계기반연구에 기초하여 이러닝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자 함. 셋째, 「장애학생의 진로 및 전환교육」 이러닝 프로그램이 중등 특수교사의 전환교육 관련 교과 지식과 교수적 실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함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진로 및 전환교육’을 주제로 하는 특수교원을 위한 온라인 지원체제가 구축될 것으로 기대됨. 첫째, 장애학생의 전환교육은 그 중요성에 비해 교육 현장에서의 실행도가 낮은 영역으로, ‘진로 및 전환교육’ 관련 심화교육 기회의 제공은 특수교사의 전문성 증진에 도움이 될 것임. 이는 특수교사의 교수 실제의 질적 향상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장애학생의 건전한 시민으로의 성장을 돕고, 성공적인 지역사회로의 통합을 이끄는데 기여할 것임. 둘째, 이러닝 시스템 구축을 통해 시·공간적인 제약을 넘어서는 용이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 교사 재교육 기회를 확대할 뿐 아니라 자발적인 참여율을 높일 수 있음. 이와 같은 학습 환경은 중등 특수교원 외에 기타 관련 서비스 전문가나 학부모 집단으로 확대가 가능함. 또한, 시도교육연수원, 국립특수교육원, 지역교육청에서의 원격연수 시스템과 연계하여 확대시킬 수 있을 것임. 더불어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 및 정보의 상호교류가 강조되는 ‘온라인 학습공동체’로 발전되기를 기대함. 셋째, 교사 재교육 모형 선행연구가 미비한 현 시점에서 설계기반연구에 기초한 이러닝 시스템 구축은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으며, 이를 통해 향후 다양한 분야와 주제의 교원연수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개발될 것을 기대함
  • 연구요약
  • 1차년도 연구(2017-2018년)
    ※ 연구목적: 문헌조사와 현장검토를 통해 ‘장애학생의 진로 및 전환교육’을 주제로 하는 이러닝 시스템 구축을 위한 이론을 정립하고 구체적인 연구 과제 도출
    ※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1) 문헌조사와 벤치마킹을 통해 이론적 실전적 근거 탐색, (2) 교육요구도 조사를 통해 특수교원의 요구를 파악하며, IPA 매트릭스 분석, t 검정,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법을 활용하여 양적자료 분석, (3) 델파이조사를 통해 전문가의 의견 수렴하며 1-3차 설문조사와 면담 실시하여 질적자료 분석

    2차년도 연구(2018-2019년)
    ※ 연구목적: 1차년도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기반연구의 형성적 순환과정 반복을 통해 ‘장애학생 진로 및 전환교육’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 시스템 구축 및 파일럿 조사
    ※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1) 이러닝 프로그램 설계(콘텐츠 모형, 내용, 교수법 등), (2) LMS 구축을 기반으로 하여 프로토타입 개발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현장 적합성 평가, (3) 1차 프로그램 개발하고, 파일럿 조사 실시하여 형성평가(단일집단 사전-사후 연구 설계, 심층면담)를 통해 검증하고, 문제점과 개선점 추출, (4) 형성적 순환과정을 반복하여 최종 프로그램 개발 및 시스템 구축

    3차년도 연구(2019-2020년)
    ※ 연구목적: ‘장애학생 진로 및 전환교육’ 이러닝 프로그램이 중등 특수교원의 교과 지식 및 교수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연구대상: 특수교육 중등 자격 보유한 현직 특수교사로 전국적으로 균등하게 표집
    ※ 연구방법: 단일집단 사전-사후 연구 설계로 중재는 ‘장애학생 진로 및 전환교육’ 이러닝 프로그램 참여, 사후 만족도 측정
    ※ 측정도구: 전환교육 관련 교과 지식과 교수법, 원격연수 관련 만족도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지 개발하여,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실시
    ※ 분석방법: (1) 각 변인의 요인구조를 살펴보고 타당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실시, (2) 측정도구의 신뢰도 측정, (3)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분석, (4) 사전-사후 평균 차이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 검증 실시, (5) 이러닝 프로그램의 중재 여부가 교과 지식과 교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실시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진로 및 전환교육’ 주제의 이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스템을 구축하여 중등 특수교사의 교과 지식과 교수적 실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요구조사, 개발 및 파일럿조사, 중재연구 순서로 3년에 걸쳐 체계적으로 진행하였음. 연구방법 및 결과: 1차년도 연구는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문헌조사와 중등 특수교사,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교육요구도 및 델파이기법을 활용하여 요구조사를 진행하였음. 그 결과, 전환교육 교사재교육의 개념적 구조 및 이러닝 시스템 환경 구축을 위한 이론을 마련했고, 이러닝 콘텐츠로는 ‘협력’에 대한 요구가 높음을 파악하였음. 2차년도 연구는 설계기반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이러닝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시스템을 구축하였음. 그 결과, 전환교육 전문가 집단과의 3차례 형성적 순환과정을 통해 설계, 개발, 적용, 평가가 이루어졌고, 최종 ‘전환교육 교사재교육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 및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였음(www.sped.or.kr). 3차년도 연구는 개발한 이러닝 프로그램을 중등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적용하였고 학습 성과를 살펴보았음. 그 결과, 전환교육 교사재교육 이러닝 프로그램은 중등 특수교사의 교과 지식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었고,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만족도도 전반적으로 높았음. 논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첫째, 중등 특수교사의 전환교육 전문성 증진을 위한 지원체제를 마련함. 둘째, 교사재교육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하여 학문적으로 기여함. 셋째, 전환교육 주제의 교사재교육 프로그램의 확대 가능성을 시사함.
  • 영문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stablish system for e-learning program on career and transition ed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examine the impact on subject knowledge and instructional practices of secondary special educators. It was systematically conducted over three years in the order of need analysis, development and pilot study, and intervention. Method and results: In the first year of the study, a literature review about e-learning and need survey of secondary special educators and experts group including Borich’s need analysis and Delphi technique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ransition and the theory for establishing an e-learning environment were prepared, and found the necessity of e-learning content for ‘collaboration’. In the second year, an e-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using design-based research method. As a result,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were carried out through a three-time formative cycles with a group of transition experts, and the final ‘e-lear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ransition eduction’ were developed(www.sped.or.kr). In the third year, the developed e-learning program was applied to secondary special educators and the learning outcome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progra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bject knowledge of special educators, and overall satisfaction was high.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a support system was established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n transition education of secondary special educators. Second, it contributed academically to the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models and program development. Third,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n the subject of transition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진로 및 전환교육’ 주제의 이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스템을 구축하여 중등 특수교사의 교과 지식과 교수적 실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요구조사, 개발 및 파일럿조사, 중재연구 순서로 3년에 걸쳐 체계적으로 진행하였음. 연구방법 및 결과: 1차년도 연구는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문헌조사와 중등 특수교사,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교육요구도 및 델파이기법을 활용하여 요구조사를 진행하였음. 그 결과, 전환교육 교사재교육의 개념적 구조 및 이러닝 시스템 환경 구축을 위한 이론을 마련했고, 이러닝 콘텐츠로는 ‘협력’에 대한 요구가 높음을 파악하였음. 2차년도 연구는 설계기반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이러닝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시스템을 구축하였음. 그 결과, 전환교육 전문가 집단과의 3차례 형성적 순환과정을 통해 설계, 개발, 적용, 평가가 이루어졌고, 최종 ‘전환교육 교사재교육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 및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였음(www.sped.or.kr). 3차년도 연구는 개발한 이러닝 프로그램을 중등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적용하였고 학습 성과를 살펴보았음. 그 결과, 전환교육 교사재교육 이러닝 프로그램은 중등 특수교사의 교과 지식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었고,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만족도도 전반적으로 높았음. 논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첫째, 중등 특수교사의 전환교육 전문성 증진을 위한 지원체제를 마련함. 둘째, 교사재교육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하여 학문적으로 기여함. 셋째, 전환교육 주제의 교사재교육 프로그램의 확대 가능성을 시사함.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첫째,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의 진로 및 전환교육’ 주제의 교사재교육 이러닝 프로그램을 중등 특수교사를 위해 개발하여, 국내에서 전환교육 전문성 증진을 위한 기회와 지원체제를 처음으로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음. 전환교육 교사재교육 프로그램을 온라인 플랫폼으로 구축하였고, 시공간의 제약을 감소하면서 전환교육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자발적인 학습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전환교육 전문성을 갖고자 하는 특수교사의 실질적인 요구를 충족할 수 있었음. 온라인 플랫폼은 한시적으로 개설된 것이 아니고 향후 지속적인 운영과 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전환교육 교사재교육 이러닝 시스템은 외부 공개를 지속할 계획임. 전환교육에는 다양한 영역이 있는데(예: 전환계획, 전환평가, 교수전략, 가족지원 등) 현재 개발한 프로그램은 이 가운데 유관기관 간 협력이라는 테마를 주제로 하는 모듈을 한 가지를 개발하였으므로, 향후 전환교육의 다양한 영역에 관련된 모듈들을 추가로 개발하여 현존하는 플랫폼에 탑재가 가능하며 이를 계획함. 해외 벤치마킹의 사례를 살펴보면, 이처럼 전환교육의 다양한 주제들을 각각 모듈화하여 개별적으로 제시하였었고 이는 학습자가 선택하여 전문성을 증진할 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었음. 본 연구는 전환교육에 초점을 둔 온라인 교사재교육의 첫 사례이므로 해외사례를 참고하여 국내 전환교육 온라인 교사재교육 플랫폼으로서의 역할로 확대할 수 있을 것임
    - 둘째,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의 요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환교육 교사재교육 이러닝 프로그램의 초안을 마련하였고, 교육 현장과의 소통을 통해 프로그램의 설계와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최종 개발된 프로그램을 중등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적용해봄으로써 긍정적인 성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국내 특수교사를 위한 교사재교육의 모형과 프로그램을 개발한 첫 사례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님. 일반교육에서의 교사재교육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선행연구에 비해, 특수교육 그리고 특수교육 내 전환교육과 관련된 교사재교육에 대한 학문적 탐색은 저조함.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어서기 어렵다는 말처럼 교사양성과정을 통해 교사가 배출되지만, 20년에서 40년 가까이 교직생활을 하면서 시대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전문성을 발휘해나가기 위해서는 아무리 능력 있는 교사에게도 재교육은 필수적임. 특히, 특수교육 교사양성과정에서는 장애학생의 진로와 전환교육에 대한 과목 개설이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현직 특수교사를 위한 전환교육 교사재교육은 매우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음.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특수교사를 위한 교사재교육의 모형과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학문적 의미를 가지며, 향후 이 영역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 교사재교육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해나갈 계획임
    - 셋째, 교원의 전문성 향상은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 제공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현재 특수교원 교사재교육의 내용이 주로 통합교육이나 교수방법론에 편중되어 있고 전환교육의 중요성에 비해 이와 관련된 교사재교육이 매우 부족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특수교사들의 전환교육 운영을 위한 전문성을 증진하고 이는 궁극적으로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성인기 전환을 돕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본 연구의 최종결과물은 전환교육 중에서 유관기관 간 협력에 초점을 두어 온라인 모듈을 개발한 것이지만, 연구 과정에 참여한 연구참여자들의 의견을 통해 전환 교육과정, 전환계획과 평가 등에 대한 정보를 알고 전문성을 높이고 싶다는 요구들을 발견할 수 있었음. 또한, 온라인 시스템의 사용자 친화적인 구성요소(예: 상호작용 증진, 요약본 제시 등)에 대한 제안점도 나타났으므로, 콘텐츠의 추가 및 시스템의 보완을 통해 전환교육 주제의 온라인 교사재교육 프로그램으로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향후 연구로 계획하는 바임
    - 종합하면, 본 신진연구자지원사업 연구를 통해 국내 중등 특수교사의 전환교육 관련 전문성 증진을 위한 온라인 교사재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였음. 앞서 이에 대한 논의를 교사의 전문성 증진 측면에서 주로 논하였으나, 교사의 전문성 증진은 곧 학생의 학업 성과와도 연결되는 것이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교사의 전문성이 교직에서의 효능감, 학생의 진로성과 등과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임
  • 색인어
  • 진로 및 전환교육, 교사재교육, 이러닝, 중등 특수교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