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스포츠 동호회활동에서의 여가문화 탐구
Research of Leisure Culture through Sports Club Activiti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A2A01025765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3 년 6 개월 (2017년 07월 01일 ~ 2020년 12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재운
연구수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현대인들의 다양한 동호회 활동 중 스포츠동호회는 단연 인기 있는 분야라고 하겠다. 오늘날 스포츠는 정치, 경제, 외교, 사회, 교육, 문화 등 사회전반에 걸쳐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건강, 여가 등 자아실현의 매개체로, 사회적으로는 국민화합, 보건, 복지 등의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김석희, 유영규, 김의재, 2008).
    스포츠 동호인들이 여가활용의 일환으로서 스포츠 활동에 더욱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스포츠 동호회 문화에 대한 탐구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스포츠가 갖는 여가적 매력을 찾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수행하고자 하며, 스포츠동호회(테니스, 배드민턴, 축구 등)가 스포츠의 여가적 매력에 미치는 기능적 특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표는 여가문화의 특징 중 하나인 스포츠동호회 참여 동기, 지속적 참여 이유, 동호회 활동이 활성화되는 이유, 동호회 참여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동호회활동을 통한 여가혜택과 사회적 관계형성 등에서 스포츠 동호회활동의 전반적인 의미를 찾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사회·문화적 변화에 따른 여가시간의 효율적인 사용은 현대인의 가장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여가가 증가한다는 것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내포하는데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여가를 이용하여 창조적인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자아성취를 추구하는가 하면, 반면에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늘어난 여가를 잘못 이용하여 마약복용, 무제한적인 성적 탐닉이나 자살 등과 같은 사회적 일탈 및 범죄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김기한, 김덕일, 2003).
    이렇게 건전한 여가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 시점에서 생활체육 및 스포츠를 포함하는 동호회 여가활동은 사회전반에 걸쳐 다양한 혜택을 창출하고 있다(한태룡, 이홍구, 2004). 또한 스포츠동호회 활동을 통한 신체활동중심의 규칙적인 참여는 신체적 건강과 즐거움, 성취감, 대인관계형성, 스트레스 해소 등의 여가혜택을 얻을 수 있다(이민선, 김이정, 임영삼, 2012).
    본 연구는 스포츠 동호회원들의 화합과 친목을 도모하는 다양한 여가문화 요인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회원들의 친교를 적극 권장하고 건강한 스포츠 여가문화를 만들어가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최근 들어 우리사회에서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스포츠 참여가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스포츠를 통한 여가활용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재확인하고 강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테니스, 배드민턴, 축구 등 3종목의 스포츠를 대상으로 하지만,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문화체육관광부에 등록된 국내 대다수의 스포츠동호회에 적용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국민들의 스포츠동호회 활동을 적극 권유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더 나아가 국민 모두가 최소한 1인 1스포츠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여 건전한 여가활용은 물론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현대사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자동화, 정보화, 기계화 등 과학기술문명의 발달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편리함과 풍요로움을 제공한 반면, 급속한 사회질서의 변화를 일으켜 운동 부족, 인간 소외, 성인병 증가, 퇴폐 향락 풍조 만연 등과 같은 여러 사회․병리적인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들은 대부분 증가하는 여가시간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데에 그 원인이 있다고 하겠다. 현대사회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이러한 여러 사회․병리적인 부작용을 치유할 수 있는 방안으로 건전한 여가활용의 문제가 사회의 주요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김재운, 2003). 특히, 대다수의 직장에서 주 5일 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는 시점에서 여가활용에 대한 욕구는 더욱 증대되고 기존의 여가패턴도 상당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현대사회에서 여가가 대중화되고 보편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우리사회에서 여가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여가활용의 일환으로 동호회 활동이 현대인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 동호인들은 동호회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임을 통해 다양한 사람들과 접하면서 새로운 공동체를 구성하고 회원들 간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지속적인 교류를 유지하고 이해관계를 형성함으로서 공동체 의식을 발달시키게 된다(김현지, 2012). 즉, 동호회 활동을 통해서 사람들은 기존의 직장이나 교우관계에서 만날 수 없었던 다양한 직업군과 연령대의 사람들을 만나면서 동호회의 틀 안에서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중요한 인간관계가 단순히 업무적인 수평적 관계를 떠나 자신의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참여하는 동호회 현장에서도 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공통된 문화를 형성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또 다른 사회관계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홍미화, 원영신, 김숙영, 2000).
    현대인들의 다양한 동호회 활동 중 스포츠동호회는 단연 인기 있는 분야라고 하겠다. 오늘날 스포츠는 정치, 경제, 외교, 사회, 교육, 문화 등 사회전반에 걸쳐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건강, 여가 등 자아실현의 매개체로, 사회적으로는 국민화합, 보건, 복지 등의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김석희, 유영규, 김의재, 200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동호회활동의 여가문화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스포츠 동호회 중 가장 많은 회원을 확보하고 있는 대표종목으로 테니스, 배드민턴, 축구 동호회를 대상으로 총 3년간의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먼저 1년차 연구에서는 국내 스포츠 동호회 중 유일하게 동호인 랭킹제를 실시하고 있는 테니스 동호회에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면서 참여관찰, 심층면담, 현장노트 등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이후 2년차 연구에서는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배드민턴 동호회를 대상으로, 3년차 연구에서는 구성원들의 응집력과 결속력이 강한 축구동호회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스포츠 동호회활동에서의 여가문화 탐구

    1년차 연구요약 : 테니스 동호회 활동에서의 여가문화 탐구

    본 연구는 테니스 동호회 활동에서의 여가문화를 탐구하는 것이다.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수행된 본 연구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1) 테니스 동호회를 통한 여가 활동 즐기기, 2) 테니스 동호회 문화 향유하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테니스 동호회를 통한 여가 활동 즐기기’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이 가지고 있는 동호회 활동의 주요 경험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삶과 여가의 균형을 통해 ‘테니스는 내 삶의 행복’ 경험하였다. 둘째, 동호회 회원들은 테니스 문화를 향유하는 공간인 코트를 그들 삶의 놀이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테니스 동호회 활동 경험 중 대회 참가를 자신의 실력을 검증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테니스 동호회 문화 향유하기’에서는 주로 관계적 측면에서 하나의 스포츠 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테니스 동호회가 가지고 있는 정체성과 문화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동호회 회원들은 ‘테니스’를 좋아한다는 공통의 분모를 바탕으로 동호회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그들의 문화를 지속하고 구성원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차원에서 새로운 회원을 받아들이는데 신중을 기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테니스코트는 그들에게 있어 사회적 관계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며, 회원 간 형성된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적 관계는 테니스 코트를 작은 사회처럼 느껴지게 하였다.


    2년차 연구요약 : 배드민턴 동호회 여가문화 탐구

    본 연구는 배드민턴 동호회의 여가문화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부가 배드민턴을 함께하는 과정과 그 과정을 통해서 부부가 함께 공유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배드민턴에 입문하는 과정은 다양한 이유로 설명되고 있었지만, 부부가 배드민턴을 함께한 것은 주로 배우자의 권유를 통해서 입문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가 배드민턴에 흥미를 갖게 되고 지속하는 과정은 배드민턴이 가지고 있는 종목 특성과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다음으로 ‘배드민턴을 통해 함께하는 부부’에서는 부부가 함께 배드민턴을 통해서 공유하는 것, 즉 공유된 여가활동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배드민턴을 통해서 공유된 것의 의미는 일상의 공유, 감정의 공유, 기억의 공유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일상의 공유에서는 부부가 함께 배드민턴을 시작하고, 동호회 활동을 하면서 ‘시간’을 공유하고, 이러한 부부간의 시간적인 공유는 곧 부부간의 소통의 증가, 그리고 일상을 공유하는 측면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는 배드민턴을 함께하면서 감정을 공유하고 있었다. 배드민턴이라는 공통된 여가활동의 시작은 단편적으로 여가를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공유된 여가활동을 통해서 부부가 서로를 이해하고, 그 과정 속에서 서로를 인정하고 감정을 공유하면서 함께 여가생활을 즐기는 방식을 알아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드민턴을 함께하는 부부는 배드민턴을 통해서 기억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차 연구요약 : 여자 대학축구 동호회활동에서의 여가문화 탐구
    본 연구는 여자 대학축구 동호회활동에서의 여가문화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여자축구클럽에 참여하고 있는 여대생들은 축구의 종목 특성에서 매력을 느끼고 즐거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축구를 본능적으로 재미있는 스포츠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넓은 운동장에서 땀흘리고 공을 차는 것’ 등의 표현을 통해서 축구의 매력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한국사회에서 여자가 축구를 하는 것에 대한 고정관념과는 상반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대학여자축구클럽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우리’라는 끈끈한 감정을 경험하고, 축구의 즐거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여대생들은 축구를 통해서 관계적 측면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들은 축구를 함께하는 과정 속에서 ‘우리’라는 끈끈한 감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러한 관계는 축구를 하는 공간 이외에도 다양한 활동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들만의 축구’에서는 ‘여자끼리’ 함께 축구를 한다는 것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대학여자축구클럽에서 ‘동성끼리’ 축구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측면은 연구참여자들로 하여금 축구를 보다 진지하게 즐길 수 있는 측면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 영문
  • Research of Leisure Culture through Sports Club Activities

    1. Research on Leisure Culture through Tennis Club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culture of leisure tennis club as a one of popular leisure sports clubs, analyze tennis club members' leisure experience, and, ultimately, examine suggestive clues in defining a healthy, sports leisure culture and implanting a setting for sports leisure culture. In order to probe into the leisure culture of tennis club as sports-for-all clubs and contribute to creating a healthy, leisure culture, this study used in-depth, focus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field notes, and other data collection methods for qualitative research. Seven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awareness of tennis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acknowledge and experience leisure with tennis. The study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enjoying leisure activities in tennis club, the study participants' main experiences in their club activity were discussed. 1) Through the balance of life and leisure, the study participants appreciated tennis as happiness in their life. 2) Club members recognized the tennis court as a metaphorical playground for enjoying tennis culture. 3) Among club activity experiences, participating in tennis contests or tournaments was regarded as a means to measure their tennis ability. Secondly, the identity and culture of tennis club as one of sports groups in terms of relationship were discussed regarding ‘enjoying tennis club as a culture'. 1) Club members formed club culture on the basis of communal interest and passion for tennis. 2)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culture and its current members’ interests, the club exercised due care when selecting and admitting new members. 3) A tennis court represented a space for sharing and building social relations and embodied a small society in terms of the complicated and diverse social relations among members.


    2. Exploration of Badminton Club Leisure Culture:
    Centering on couple members of badminton clubs


    Toda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area of ​​leisure as a solution to the family/couple problem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isure experience shared by family members/couples and the meaning of the shared experience, taking note of cases of couples that participate in badminton together. To that end, in this study, non-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couples and two research assistants participating in a badminton club, and the processes through which couples participate in badminton and continue the participation, and the meaning of sharing of leisure by couples were discus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processes through which couples participate in badminton and continue the participation, although study participants became to start playing badminton for diverse reasons, couples were shown to have started playing badminton mainly through the recommendation of their spouse and it could be understood that personal leisure lives have been changed into family/couple centered leisure lives. In addition, the continuous playing of badminton by couples was explain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dminton games per se and the club culture. Second, the meanings of sharing leisure by couples were shown to be the "sharing of daily life", the "sharing of emotions", and the "sharing of memory". The sharing of leisure by couples while playing badminton together was shown to increase communication, lead to acknowledgment and understanding of each other, and accumulate precious memories of life in the process.


    3. Exploring Women’s College Soccer Club’s Leisure Culture:
    The Significance and Pleasure that Women College Students Experience from Soccer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women college students from the recent noticeable growth of women’s college soccer club. To elaborate,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pleasures of women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women’s college soccer club and analyze the meaning of it. In order to solve this research question, in-depth interview and non-participant observation were conducted against 13 participants who had been actively participating women college soccer club for more than 3 yea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ed. First, the women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women’s college soccer club were experiencing pleasure from the attributes of soccer. Second, the participants felt pleasure of soccer from the feeling of bonding, that is ‘us’, from soccer. Third,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pleasure of soccer from playing soccer ‘among women’. Considering that previous studies of women soccer were mostly analyzed by leisure restriction, such result shows that this study offers multilateral view of women socc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년차 연구요약 : 테니스 동호회 활동에서의 여가문화 탐구

    본 연구는 테니스 동호회 활동에서의 여가문화를 탐구하는 것이다.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수행된 본 연구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1) 테니스 동호회를 통한 여가 활동 즐기기, 2) 테니스 동호회 문화 향유하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테니스 동호회를 통한 여가 활동 즐기기’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이 가지고 있는 동호회 활동의 주요 경험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삶과 여가의 균형을 통해 ‘테니스는 내 삶의 행복’ 경험하였다. 둘째, 동호회 회원들은 테니스 문화를 향유하는 공간인 코트를 그들 삶의 놀이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테니스 동호회 활동 경험 중 대회 참가를 자신의 실력을 검증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테니스 동호회 문화 향유하기’에서는 주로 관계적 측면에서 하나의 스포츠 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테니스 동호회가 가지고 있는 정체성과 문화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동호회 회원들은 ‘테니스’를 좋아한다는 공통의 분모를 바탕으로 동호회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그들의 문화를 지속하고 구성원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차원에서 새로운 회원을 받아들이는데 신중을 기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테니스코트는 그들에게 있어 사회적 관계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며, 회원 간 형성된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적 관계는 테니스 코트를 작은 사회처럼 느껴지게 하였다.


    2년차 연구요약 : 배드민턴 동호회 여가문화 탐구

    본 연구는 배드민턴 동호회의 여가문화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부가 배드민턴을 함께하는 과정과 그 과정을 통해서 부부가 함께 공유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배드민턴에 입문하는 과정은 다양한 이유로 설명되고 있었지만, 부부가 배드민턴을 함께한 것은 주로 배우자의 권유를 통해서 입문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가 배드민턴에 흥미를 갖게 되고 지속하는 과정은 배드민턴이 가지고 있는 종목 특성과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다음으로 ‘배드민턴을 통해 함께하는 부부’에서는 부부가 함께 배드민턴을 통해서 공유하는 것, 즉 공유된 여가활동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배드민턴을 통해서 공유된 것의 의미는 일상의 공유, 감정의 공유, 기억의 공유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일상의 공유에서는 부부가 함께 배드민턴을 시작하고, 동호회 활동을 하면서 ‘시간’을 공유하고, 이러한 부부간의 시간적인 공유는 곧 부부간의 소통의 증가, 그리고 일상을 공유하는 측면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는 배드민턴을 함께하면서 감정을 공유하고 있었다. 배드민턴이라는 공통된 여가활동의 시작은 단편적으로 여가를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공유된 여가활동을 통해서 부부가 서로를 이해하고, 그 과정 속에서 서로를 인정하고 감정을 공유하면서 함께 여가생활을 즐기는 방식을 알아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드민턴을 함께하는 부부는 배드민턴을 통해서 기억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차 연구요약 : 여자 대학축구 동호회활동에서의 여가문화 탐구
    본 연구는 여자 대학축구 동호회활동에서의 여가문화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여자축구클럽에 참여하고 있는 여대생들은 축구의 종목 특성에서 매력을 느끼고 즐거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축구를 본능적으로 재미있는 스포츠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넓은 운동장에서 땀흘리고 공을 차는 것’ 등의 표현을 통해서 축구의 매력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한국사회에서 여자가 축구를 하는 것에 대한 고정관념과는 상반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대학여자축구클럽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우리’라는 끈끈한 감정을 경험하고, 축구의 즐거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여대생들은 축구를 통해서 관계적 측면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들은 축구를 함께하는 과정 속에서 ‘우리’라는 끈끈한 감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러한 관계는 축구를 하는 공간 이외에도 다양한 활동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들만의 축구’에서는 ‘여자끼리’ 함께 축구를 한다는 것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대학여자축구클럽에서 ‘동성끼리’ 축구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측면은 연구참여자들로 하여금 축구를 보다 진지하게 즐길 수 있는 측면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사회·문화적 변화에 따른 여가시간의 효율적인 사용은 현대인의 가장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여가가 증가한다는 것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내포하는데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여가를 이용하여 창조적인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자아성취를 추구하는가 하면, 반면에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늘어난 여가를 잘못 이용하여 마약복용, 무제한적인 성적 탐닉이나 자살 등과 같은 사회적 일탈 및 범죄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김기한, 김덕일, 2003).
    이렇게 건전한 여가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 시점에서 생활체육 및 스포츠를 포함하는 동호회 여가활동은 사회전반에 걸쳐 다양한 혜택을 창출하고 있다(한태룡, 이홍구, 2004). 또한 스포츠동호회 활동을 통한 신체활동중심의 규칙적인 참여는 신체적 건강과 즐거움, 성취감, 대인관계형성, 스트레스 해소 등의 여가혜택을 얻을 수 있다(이민선, 김이정, 임영삼, 2012).
    본 연구는 스포츠 동호회원들의 화합과 친목을 도모하는 다양한 여가문화 요인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회원들의 친교를 적극 권장하고 건강한 스포츠 여가문화를 만들어가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최근 들어 우리사회에서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스포츠 참여가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스포츠를 통한 여가활용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재확인하고 강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테니스, 배드민턴, 축구 등 3종목의 스포츠를 대상으로 하지만,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문화체육관광부에 등록된 국내 대다수의 스포츠동호회에 적용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국민들의 스포츠동호회 활동을 적극 권유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더 나아가 국민 모두가 최소한 1인 1스포츠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여 건전한 여가활용은 물론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스포츠 동호회, 테니스 동호회, 배드민턴 동호회, 축구 동호회, 여가문화, 탐구, 탐색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