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Industry 4.0’ 시대의 마케팅 플랫폼 전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Marketing Platform in 'Industry 4.0' Er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A2A01025296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2 년 (2017년 07월 01일 ~ 2019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원준
연구수행기관 청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본 연구는 기 수행 연구(2015.5~2017.4)인 ‘Smart 상품과 소비자’에 관한 연구 성과를 발전시켜, 최근 화두로 등장한 ‘Industry 4.0 시대’의 소비자 이해와 이에 적합한 마케팅 플랫폼 구축에 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이다.

    ○ 최근 오프라인의 실물 세계와 온라인의 정보가상화 세계를 융합할 수 있는 새로운 디지털 기술들이 발전하면서, 이전과 구분되는 새로운 사업방식과 산업 구조가 등장하게 되었으며, Industry 4.0 혹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 그러나 Industry 4.0이 기업 전략, 정부 정책, 그리고 소비자 행동에 가져올 거대한 변혁에도 불구하고 관련된 연구는 매우 희소하였으며, 대부분 공학적, 기술결정론적인 연구에 국한되어왔다. 그 결과, 환경적 영향 요인을 이해하고 위험을 분산해야 되는 기업들에게 아직 도래하지 않은 미래에 대한 예측과 이로 인한 불확실성의 증가는 큰 과제로 남게 되었으며, Industry 4.0의 실현에도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Industry 4.0은 경영과 마케팅에도 인공지능 및 스마트 팩토리 확산, Big data 활용, 규모의 경제의 쇠퇴, 그리고 가치사슬 파괴와 기업 간 경쟁 양상 변화 등을 가져올 것으로 예측되나, 이에 따른 마케팅 패러다임의 변화는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1) Industry 4.0하의 마케팅 컨셉 및 철학을 이해하고, 새로운 가치사슬의 변화를 예측한다
    2) Industry 4.0 시대의 효과적인 마케팅 조직, 자원, 구조를 이해하고, 4P 등 마케팅 활동의 변화를 예측한다.
    3) Industry 4.0 시대에 기업이 추구하여야 하는 경쟁 우위와 창출해야되는 마케팅 성과 및 평가 방안을 구체화한다.

    ○ 이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Delphi 등 전문가 집단 활용, 미래 시나리오 창출 및 분석, 그리고 VenSIm을 이용한 컴퓨터 시나리오 분석 등을 시행하고, 기업과 정부, 그리고 소비자 이해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 기대효과
  • ○ 학문적 기대 효과
    - Industry 4.0 등 본 개념은 실무적, 정책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경영학, 마케팅 관점의 학술적 접근이 현저하게 부족함
    - 기존의 연구 성과들은 실무적 사례 분석이나 Industry 4.0 구현에 필요한 기술요소 들에 대한 공학적, 기술 결정론적 관점에서 접근되고 있음
    - 국가 정책 및 Agenda로 중요성이 확대되는 4차 산업혁명이나 Industry 4.0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함으로서 향후 연구의 다각적인 확장 가능성이 기대

    ○ 실무적 기대 효과
    - 본 연구는 국내 제조 기업은 물론이고, 기술 혁명에 직면한 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미래 환경 변화에 대한 이해 제공, 경쟁 우위의 변화에 대한 전략 대응 필요성 제고, 글로벌 경쟁력 향상의 방향성을 제시 가능
    - 또한 향후 신상품 개발에 필요한 R&D 방향성 제고, 향후 인력 운영, 마케팅 활동 등 기업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음
    - Industry 4.0의 주요 구성요소인 스마트 팩토리, CPS, 인공지능(A.I), Big Data 등이 경영에 가져올 변화에 대한 이해 증진 등 가능

    ○ 정책적 기대 효과
    - 향후 국가 정책 및 지역발전 및 산업화 의제(agenda) 설정 등 정책적 시사점 제공 가능

    ○ 향후 활용 방안
    - Industry 4.0 개념 및 속성, 특징에 대한 체계화된 학술적 자료 제공
    - Industry 4.0의 충격을 구체적으로 가늠할 수 있는 BM(Business Model)의 이해와 검토
    -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다수의 미래 시나리오를 작성함으로서, 미래 환경 변화에 대한 마케팅 패러다임 변화를 이해
    - Industry 4.0 특성 요인이 소비자 태도나 행동 등에 미치는 영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함으로서 소비자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 확대
  • 연구요약
  • I. 서론
    - 인공지능, IT 등 기술적 진보는 이전 시대와 구분되는 새로운 사업 방식과 산업 구조를 예견하게 하였고, 4차 산업혁명, 혹은 Industry 4.0이 등장하게 되었다. 현재까지는 기술적 요인들이 Industry 4.0 논의의 주류이지만, 기술적 접근과 별도로 조직 구조, 업무 프로세스, 기존 사업 모델과의 정합성 확보, 종사원의 관련 기술 및 역량 확보, 고객 관계의 변화 등 기술 이외의 경영 및 마케팅 관리상의 변혁적 혁신도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ndustry 4.0 시대의 마케팅 플랫폼 전환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Industry 4.0 혹은 4차 산업혁명(Revolution 4.0)은 다수의 연구자들 사이에서 의미상 구분 없이 혼용되거나 상호교환 가능한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Erol et al. 2016, Magruk 2016, Qin et al. 2016). Industry 4.0은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환경의 사이버-물리 시스템(CPS: cyber-physics system)을 기반으로 제조 생산 공정을 디지털화하는 과정이라고 정의될 수 있으며, 내장된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물리적 프로세스를 감독 및 통제하고, 물리적 프로세스는 피드백을 통하여 상호연결되는 컴퓨터화(computation)와 물리적 프로세스의 통합된 시스템이다(Kagermann 2014).
    본 개념은 생산을 넘어 경영과 마케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영에의 함의를 살펴보면, Qin et al.(2016)은 Industry 4.0이 추구하는 미래 비전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 3대요소로 공장(factory), 사업(business), 상품(product)을 주장하였고, Lee et al.(2014)는 Insudtry 4.0과 빅 데이터 결합된 기업 환경 속에서 서비스 혁신의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특히 Industry 4.0은 기업의 인적 자원에 대한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되며, Bonekamp and Sure (2015)의 주장에 의하면 Industry 4.0은 공장의 생산 활동에 종사하는 낮은 기술숙련도의 노동자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며, 높은 기술숙련도를 가진 사무직 노동자와 관리자 계층에도 파급력을 미칠 것이라고 한다.
    또한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가중시킨다는 점에서 마케팅에도 큰 파급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일예로 Stein (2016)은 다른 기술적 특성들과 더불어, 고객 및 사업파트너의 통합과 공급망과 유통망의 역동적 연결이 핵심 요소임을 주장하였고, Lee et al.(2013)은 연결성(connection), 클라우드(cloud), 콘텐츠(content), 커뮤니티(community), 맞춤화(customization)의 5C 컨셉트가 향후 industry 4.0 관련 사업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들의 주장은 Industry 4.0이 맞춤화된 고객 및 파트너 관계, 공급업자 및 유통망의 가치 사슬 통합 등 마케팅 환경에도 큰 변화를 초래할 것임을 주장하고 있다. 이런 주장을 종합할 때, Industry 4.0이 마케팅에 불러올 변화는 자사(Company), 고객(Customer), 경쟁사(Competitor)의 3C 전반에 걸칠 것이며, 추가적으로 마케팅 환경의 전반적 통합에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III. 연구 내용 및 가설
    아직까지 Industry 4.0 시대에 적합한 마케팅 구조나 활동에 대한 논의 역시 아직 구체적으로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Industry 4.0 시대에 필요한 기업 활동과 더불어 마케팅 역량과 마케팅 활동의 양상을 선견적으로 예측하고, 미래 지향적인 마케팅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기업과 학계의 이해를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주제 및 문제 도출을 위한 프레임워크로 ‘구조-행동-성과(Structure-Conduct-Performance)’ 모델을 활용하며, 이에 기반하여 6개의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문제들은 1) 구조 관련 연구문제: Industry 4.0 시대의 마케팅 철학, 컨셉, 가치사슬의 변화, 2) 행동 관련 연구문제: Industry 4.0 시대의 효과적 마케팅 조직, 자원, 구조와 4P 활동의 변화, 3) 성과 관련 연구문제: Industry 4.0 시대의 기업경쟁우위와 마케팅 성과평가 등이다.

    IV. 연구방법론
    본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기술예측방법론에 기반한 연구방법론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우선 1) 정성적 분석: 브레인스토밍, 델파이, 미래 시나리오 분석을 시행하고, 2) 정량적 분석: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 구축 및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이를 통하여 연구 모델 타당성 검토 및 기업, 정부, 소비자를 위한 종합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Industry 4.0 시대에 적합한 마케팅 플랫폼 변화를 이해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초기에는 기술적 혁신과 가능성에 대한 논의에서 출발하여 최근 경영과 정책상의 이슈로 부각되며 급격한 관심을 받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을 중심으로 기존의 관련 논의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기업에게 경영 및 마케팅 관리상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주제인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 환경의 사이버-물리 시스템(Cyber-physics System)을 기반으로 제조 생산 공정을 디지털화하는 과정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기존의 논의는 지나치게 기술중심적 접근이라는 한계가 있으며, 기업 관리 및 일반 소비자의 삶에 미치는 광범위한 영향력을 간과하고 있다. 특히 변혁적인 기술적 혁신은 종국적으로 비즈니스와 기업 운영의 패러다임 변화를 불러오며, 기업이 추구하는 고객 가치의 확대나 가치 사슬에도 일대 혁신을 불러온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의 의의를 이해하고, 이를 경쟁 우위 확보로 연결하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조직 구성과 기업 운영 방식의 변화, 그리고 마케팅 등 경쟁 대응 전략 수립의 문제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4차 산업혁명의 저작물인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을 내용 분석(Contents Analysis)하고 경영 및 마케팅과 관련된 주제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의 주요한 경영, 마케팅 관리상의 주제들은 기업 내부적 주제들은 물론이고, 고객 및 경쟁사, 그리고 환경적 이슈에 걸쳐 전반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기업 내부적 주제로는 기업의 효율적 자산 운용, 4차 산업의 매몰된 비용, 변혁기의 리더쉽, 비효율적인 과거 자산의 처리, 임직원 직무 변화와 직무 만족도, 직업의 실종. 기술 중심의 플랫폼 확보, 증분된 생산량과 니치 생산의 가능성 등이 제기되었으며, 고객 관련 주제로는 고객대응형 상품의 등장, 개인화된 맞춤 생산, 제품 경험의 증대, 관련 시장의 확대, 배송 서비스 확대, 디지털화된 서비스, 이동형 서비스 확산, 개인화된 디자인 니즈의 확대 등이 제기되었다. 경쟁사 대응 주제로는 물류, 생산 비용의 절감과 원가 기반 경쟁우위 확보, 공유 경제의 영향, 산업 플랫폼의 선점, 산업간 경계의 실종, 경쟁사를 포괄한 협동적 혁신 필요성 등이 주제로 언급되고 있다. 기타 기업 환경이 당면한 주제로는 기업이 처한 도전과 혁신, 4차 산업의 파급력, 미래 불확실성 증가 등이 주장되었다.
    결론에서는 선행 연구와 내용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의 변혁기에 기업이 추구해야하는 경영 및 마케팅 관리의 방향과 전략에 관하여 종합적 논의를 제시하였다.
  • 영문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elated debate centering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has emerged as a recent management and policy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business and marketing management for prepa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defined as the process of digitiz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based on the cyber-physics system and Internet of Things. However, these existing discussions are overly technical-centric, and overlook the widespread impacts on corporate governance and consumer life.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establish a new level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ompetitive strategi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conten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ritten by Klaus Schuwab,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ajor management and marketing issu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raised throughout the company, customers, competitors, and environmental surroundings.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contents analysis, we proposed a comprehensive discussion on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that companies should pursue in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초기에는 기술적 혁신과 가능성에 대한 논의에서 출발하여 최근 경영과 정책상의 이슈로 부각되며 급격한 관심을 받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을 중심으로 기존의 관련 논의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기업에게 경영 및 마케팅 관리상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주제인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 환경의 사이버-물리 시스템(Cyber-physics System)을 기반으로 제조 생산 공정을 디지털화하는 과정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기존의 논의는 지나치게 기술중심적 접근이라는 한계가 있으며, 기업 관리 및 일반 소비자의 삶에 미치는 광범위한 영향력을 간과하고 있다. 특히 변혁적인 기술적 혁신은 종국적으로 비즈니스와 기업 운영의 패러다임 변화를 불러오며, 기업이 추구하는 고객 가치의 확대나 가치 사슬에도 일대 혁신을 불러온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의 의의를 이해하고, 이를 경쟁 우위 확보로 연결하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조직 구성과 기업 운영 방식의 변화, 그리고 마케팅 등 경쟁 대응 전략 수립의 문제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4차 산업혁명의 저작물인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을 내용 분석(Contents Analysis)하고 경영 및 마케팅과 관련된 주제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의 주요한 경영, 마케팅 관리상의 주제들은 기업 내부적 주제들은 물론이고, 고객 및 경쟁사, 그리고 환경적 이슈에 걸쳐 전반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기업 내부적 주제로는 기업의 효율적 자산 운용, 4차 산업의 매몰된 비용, 변혁기의 리더쉽, 비효율적인 과거 자산의 처리, 임직원 직무 변화와 직무 만족도, 직업의 실종. 기술 중심의 플랫폼 확보, 증분된 생산량과 니치 생산의 가능성 등이 제기되었으며, 고객 관련 주제로는 고객대응형 상품의 등장, 개인화된 맞춤 생산, 제품 경험의 증대, 관련 시장의 확대, 배송 서비스 확대, 디지털화된 서비스, 이동형 서비스 확산, 개인화된 디자인 니즈의 확대 등이 제기되었다. 경쟁사 대응 주제로는 물류, 생산 비용의 절감과 원가 기반 경쟁우위 확보, 공유 경제의 영향, 산업 플랫폼의 선점, 산업간 경계의 실종, 경쟁사를 포괄한 협동적 혁신 필요성 등이 주제로 언급되고 있다. 기타 기업 환경이 당면한 주제로는 기업이 처한 도전과 혁신, 4차 산업의 파급력, 미래 불확실성 증가 등이 주장되었다.
    결론에서는 선행 연구와 내용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의 변혁기에 기업이 추구해야하는 경영 및 마케팅 관리의 방향과 전략에 관하여 종합적 논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의 확장을 위하여 4차 산업혁명 하에서 중요성이 강조되는 비트코인, 사물인터넷 등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의 가능성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고, 이를 활용한 다수의 논문 작성 및 게재, 국내외 학술대회 참가, 관련 교과목 개발 및 도서화를 추진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결과는 학문적 성과의 확산을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1) 논문 작성 및 게재
    : SSCI급, Scopus급, 등재지급 다수의 논문에 게재 완료되었으며, 현재 .SSCI 1건등 심사 대기중임
    2) 국내외 학술대회 참석 및 발표
    : 관련 주제의 발표 및 참가
    3) 인적 네트워크 협력체계 구축
    : 본 과제의 수행을 통하여 KT연구반 활동 참여, 미국내 연구자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 소기의 산학연 체계 구축의 성과를 거둠
    4) 교과목 개발 연계
    : 관련 내용을 주 축으로 '디지털마케팅'이라는 교과목을 개발, 완료하였으며, 2019년도부터 실제 전공 강의로 개설됨
    5) 도서화 작업
    : 현재 관련 도서 1종의 원고 작성 완료 및 탈고 작진행중임
  • 색인어
  • 4차 산업혁명, 인더스트리 4.0, 기업혁신전략, CQDAS, 변혁기 마케팅, 비트코인, 사물인터넷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