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혼합 연구로서 먼저 질적 연구의 경우 아동 및 청소년 자살에 관해 상담하여 온 상담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 9일부터 12월 14일까지 최소 1시간부터 1시간 30분 가량 면접함. 연구 결과, 첫째, 아동 및 청소년 자살과 관련하여 인구사회학적 배경 ...
본 연구는 혼합 연구로서 먼저 질적 연구의 경우 아동 및 청소년 자살에 관해 상담하여 온 상담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 9일부터 12월 14일까지 최소 1시간부터 1시간 30분 가량 면접함. 연구 결과, 첫째, 아동 및 청소년 자살과 관련하여 인구사회학적 배경으로 성차는 크지 않았으며, 연령별로는 아동보다 중학생 이상의 연령대가 더 많았음. 가정 환경의 경우 빈곤한 가정이 다수였지만 사회경제적으로 윤택한 가정도 예외는 아니었음. 둘째, 자살 이유와 방법으로는 가족 관련 문제, 학교 관련 문제, 정신 건강 관련 문제 등이 많았으며, 손목 긋기 등의 자해, 투신, 약물과다 복용, 목 매달기 등이 보고되었음. 셋째, 개입 과정에서 상담가들은 가족 상담, 아동 상담 등을 활용하여 놀이 치료, 통제력 향상, 지지원 형성을 유도하였음. 넷째, 아동 및 청소년 자살에 대한 보호 요인과 위험 요인으로 가족, 또래, 학교, 지역사회, 사회 문화별 역할이 중첩되었고, 이것의 최대화 방안과 최소화 방안에 대해 논의와 제언을 하였음. 결론적으로, 본 상담 사례들의 분석에서 학습된 교훈(learned lessons)으로 자살자들이 토로하는 공통점은 사회적 지지의 제공원이 무엇이든 ‘친밀한 대상의 부재’였음. 부모에게서 부족했던 부분은 형제 자매, 동성이나 이성 친구, 상담가, 교회 지인, 심지어 반려견이 보충하였으며, 한편으로 외부인으로부터 야기된 어려움은 가족 구성원이 상쇄하는 측면도 있었음. 그리고 경제적인 문제가 이들에게 직접적인 자살 원인이 되기보다는 여기에 수반된 정서적인 학대나 갈등이 더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음. 이는 사회경제적으로 윤택한 가정 환경 내에서의 자살 문제 비율도 적지 않았던 것과도 관련됨. 특히, 내담자의 연령이 어릴수록, 경제적 어려움보다 정서적 어려움을, 그리고 다른 대상보다 가족과의 문제를, 자살의 주된 원인으로 언급하는 경향이 컸음. 즉, 자살로 이끄는 원인이 ‘친밀한 대상의 부재’인 것을 환언하면, 해결책은 ‘친밀한 대상의 조성과 이들로부터의 따뜻한 관심, 온정’이라고 할 수 있음.
양적 연구는 영어로 작성하였고 현재 투고 논문 심사 중임. 연구 대상은 Data from the supplemental survey of children from the 10th year Korea Welfare Panel Study (2016) were used. These data were collected from 458 4th–6th grade boys and girls (aged 11–13 years) in elementary schools nationwide. 연구 결과는 Firstly, the mean suicidal ideation score was 1.55 (SD = 3.73), the suicide attempt rate was 0.9%, and the mean number of suicide attempts was 0.2. Secondly, suicidal ideation was more prevalent in the absence of a parent figure, with more frequent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with increasing internet use, and with decreasing guidance and supervision by parents; the presence of a parent or parent-like figure explained the greatest percentage of the variance.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suicide attempts as the dependent variable, family income was the only significant variable.
Thirdly, regarding the mediating roles of depression and anxiety, the amount of internet usage directly affected children’s suicidal ideation, while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cademic stress, and parents’ guidance and supervision affected suicidal idea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child’s depression and anxiety. Depression and anxiety had a positive impact on suicidal ideation.
To prevent suicide behavior and maintain the status quo, suggestions such as the roles of parents, school environment, community cooperation, and society are provided based on these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