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장애인 학습자의 대한 문화 예술 강사의 경험 연구: 미술 분야를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cultural art educato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In the area of Fine Ar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A2A01024782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1 년 (2017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경순
연구수행기관 인하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한국 문화 예술 교육 진흥원으로부터 복지 기관에 파견된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의 성인 장애 학습자들에 대한 경험을 연구하다. 이를 통해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이 성인 장애 학습자들로부터 무엇을 체험하여 인식하고 있고, 그들의 경험이 그들 미술수업에 어떻게 작용하여 나타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는 다섯 가지 목표를 두고 수행된다.
    첫째, 문화 예술 교육 강사가 성인 장애 학습자 들을 위해 어떠한 교육적 지향점을 가지고 수업을 수행하는지 밝힌다.
    둘째, 문화 예술 교육 강사가 성인 장애 학습자로부터 경험하는 인지·정서·행동적 실존 문제가 무엇인지 도출한다.
    셋째, 문화 예술 교육 강사가 성인 장애 학습자들로부터 경험하는 장애적인 요인에 어떠한 교육적 접근을 사용하는지를 도출한다.
    넷째, 문화 예술 교육 강사는 성인 장애 학습자 의 어떠한 변화를 의미 있게 보는지 밝힌다.
    다섯째, 문화 예술 교육 강사가 성인 장애 학습자를 경험하는데 어떠한 상황 맥락이 관련되는지 밝힌다.
  • 기대효과
  • 본 연구 결과는 복지기관에 파견되어 성인 장애 학습자 들을 교육하는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의 실존적 현상을 드러내줄 것으로 본다. 이는 그간 복지 기관으로 파견된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에 대한 연구의 부재로 이들의 실존적 모습을 상상할 수 없었던 것에 그들의 학습자들에 대한 이해, 그 이해에 기초한 교수 전략들, 수업에서의 한계점을 느끼는 지점들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문화 예술 교육 진흥원에서 하는 강사들을 위한 교육과 워크숍의 내용 구성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본다. 그간 문화 예술 교육 진흥원에서 문화 예술 교육 강사 교육을 위해 이들의 요구를 듣고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성인 장애 학습자 들을 대상으로 미술수업을 할 때 겪는 어려움, 교수 학습 상황에서의 대처 전략을 위한 문화 예술 교육 강사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교수 내용과 방법에 대한 변화를 촉구할 것으로 본다. 이러한 기대 효과는 성인 장애 학습자 를 위한 보다 더 질 높고 체계적이며 효율성 있는 문화 예술 교육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본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한국 문화 예술 교육 진흥원으로부터 복지 기관에 파견된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의 성인 장애 학습자들에 대한 경험을 연구한다. 이를 통해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이 성인 장애 학습자들로부터 무엇을 경험하여 인식하고 있고, 그들의 경험이 그들 미술 수업에 어떻게 교육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는 다섯 가지 목표를 두고 수행된다. 첫째, 문화 예술 교육 강사가 성인 장애 학습자들을 위해 어떠한 교육적 지향점을 가지고 수업을 수행하는지 밝힌다. 둘째, 문화 예술 교육 강사가 성인 장애 학습자로부터 경험하는 인지·정서·행동적 실존 문제가 무엇인지 도출한다. 셋째, 문화 예술 교육 강사가 성인 장애 학습자들로부터 경험하는 장애적인 요인에 어떠한 교육적 접근을 사용하는지를 도출한다. 넷째, 문화 예술 교육 강사는 성인 장애 학습자의 어떠한 변화를 의미 있게 보는지 밝힌다. 다섯째, 문화 예술 교육 강사가 성인 장애 학습자를 경험하는데 어떠한 상황 맥락이 관련되는지 밝힌다.
    연구 내용은 문화 예술 교육의 목적과 용어 정리 및 선행 연구에 관련된 문헌 연구, 연구 방법으로서 현상학적 연구 방법, 반구조화된 인터뷰 질문 개발, 문화 예술 교육 강사 인터뷰, 비참여적 수업 관찰을 통한 자료 수집, 수집된 자료 분석,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로 구성된다.
    연구자는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일차적으로 수행한다. 이후 인터뷰 자료를 범주화한 후, 필요할 경우 이차적으로 필요한 자료를 추가 수집한다. 먼저 용어 정리로서 문화 예술 교육 목적과 문화 예술 교육 강사에 대해서 알아본다. 이에 대해서는 한국 문화 예술 교육 진흥원에서 발간한 문헌들, 그리고 문화 예술 교육 진흥원 홈페이지 ‘연구개발’에 탑재된 자료, 복지기관 문화 예술 교육 강사 평가를 위한 평가 위원 대상 워크숍 자료 등에 기초하여 개념과 용어를 정리할 것이다.
    선행 연구는 세 가지 차원으로 접근하여 수행할 것이다. 첫째, 문화 예술 교육 강사에 관련된 연구 자료들을 조사할 것이다.
    둘째, 선행 연구로서 특수 교육 교사들의 성인 장애 학습자들에 대한 인식에 관한 문헌과 연구 결과들, 그리고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 관계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관계, 교사가 장애 학습자에게 중요하게 다루는 학습자의 반응, 장애 학습자의 인지, 정서, 행동 문제에 교사의 교수 학습적 반응과 개입에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여 본 연구에 이론적 배경으로 넣을 것이다.
    셋째, 현상학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 이해를 위해 철학자들의 개념을 논할 문헌들을 조사하여 연구할 것이다.

    2)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자료 수집에는 먼저 표본 선정, 반구조화된 인터뷰 질문지 작성, 인터뷰 질문지에 대한 전문가 의견 듣고 수정하기가 일어난다. 이어서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을 위한 표본을 수집한다. 표본의 경우, 한국 문화 예술 교육 진흥원에 등록된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의 명부를 이용하여 수집할 것이다. 표본은 서울, 경기도, 기타 지방에서 복지 기관에 파견된 미술 분야 문화 예술 교육 강사로 활동하는 강사들 중 예술 강사 경력이 2년 이상인 자로 6명을 선정한다. 이후 그들을 대상으로 각 연구 참여자당 3회에 걸쳐 동의를 구한 후 인터뷰를 한다. 인터뷰에 앞서 연구자는 비참여적 수업 관찰을 할 것이다. 이때 관찰한 것들을 메모하고, 사진을 촬영한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교수 학습 계획안, 연간 교육 프로그램 등을 수집할 것이다.
    모든 수집된 자료를 텍스트화 한다. 이어서 텍스트 자료들을 여러 회에 걸쳐 읽고, 현상학적 맥락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성인 장애 학습자들에 대한 지향점과 의미를 파악하고 의미 단위를 붙일 것이다. 의미 단위들로 된 자료 분석은 포킹홈(Polkinghome, 1989), 무스타카스(Moustakas, 1994), 판 매넌(van Manen, 1990) 그리고 크리스웰(Creswell, 2015)의 현상학적 자료 분석 방법에 기초한다. 먼저 연구자는 수집한 자료들을 텍스트로 변환한다. 이어 텍스트 자료들을 여러 회 걸쳐 읽고, 경험과 관련된 의미 있는 문구나 진술들을 줄여 의미 단위로 정리한다. 이어서 이러한 의미 단위들을 공통된 주제들을 다시 철저한 조직적 기술과 구조적 기술을 통해 통합한다. 구조적 기술을 위해 범주들 모델로 제시하여 분석한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Creswell(2015. 231)에 기초하여 현상학적 경험 분석 모델을 개발하여 수집 자료들을 분류하고 범주화 할 것이다. 범주들은 문화 예술 교육 강사, 지향, 성인 장애 학습자의 신체적 현존, 공간, 관계, 시간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이 복지 시설의 성인 장애자들을 대상으로 한 미술 수업에서의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 을 적용하여 수행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상위 범주는 5개, 하위 범주 16개가 도출되었다. 각 상위 범주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장애자들은 신경 발달 장애에 포함되는 다양한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장애들은 기관마다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므로 일관성을 찾기 어렵다. 둘째, 성인 장애자들의 인지, 지각, 행동, 정서 발달 지체는 미술 수업에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셋째, 수업에서의 장애적 현상은 혼합된 장애자 편성으로 인한 수업의 어려움, 돌발 행동, 미술 재료에 대한 반응의 차이, 제작의 어려움, 소통의 어려움, 부족한 학습 동기이다. 넷째, 장애자들은 다수가 선택한 것에 가치를 두며, 예술적 표현 활동을 향유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성인 장애자들은 인지, 정서, 행동 조절력에서 다양한 향상 을 보였다. 이어 연구는 시사점과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by the educator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in area of fine art. As a result of the study, 5 upper categories and 16 lower categories were derived. According to each category, first, adults with disabilities have various disorders that are included in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and these disorders appear to be different from one institution to another, making it difficult to find consistency. Second, delays in the cognitive, perceptual, behavior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adults with disabilities played crucial role in art class. Third, the disability phenomenon in the class is the difficulty of teaching due to mixed disabilities, unexpected behavior, difference in reaction to art materials, difficulty of production and communication, insufficient learning motivation. Fourth, adults with disabilities enjoyed artistic expressiveness, placing value on the choices made by many. Finally,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dults with disabilities showed various improvements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ontrol. The study then present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이 복지 시설의 성인 장애자들을 대상으로 한 미술 수업에서의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 을 적용하여 수행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상위 범주는 5개, 하위 범주 16개가 도출되었다. 각 상위 범주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장애자들은 신경 발달 장애에 포함되는 다양한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장애들은 기관마다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므로 일관성을 찾기 어렵다. 둘째, 성인 장애자들의 인지, 지각, 행동, 정서 발달 지체는 미술 수업에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셋째, 수업에서의 장애적 현상은 혼합된 장애자 편성으로 인한 수업의 어려움, 돌발 행동, 미술 재료에 대한 반응의 차이, 제작의 어려움, 소통의 어려움, 부족한 학습 동기이다. 넷째, 장애자들은 다수가 선택한 것에 가치를 두며, 예술적 표현 활동을 향유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성인 장애자들은 인지, 정서, 행동 조절력에서 다양한 향상 을 보였다. 이어 연구는 시사점과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이 성인 장애자들을 대상으로 미술 수업을 제공하면서 그들에게서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의 상황과 맥락이 무엇인지를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얻었다. 연구 결과로 제시한 범주화의 주제는 ‘진흙 위에서 천천히 피는 꽃’이 며, 이는 모든 상위와 하위 범주를 아우르는 개념이다. 상위 범주는 5개, 하위 범주 16개가 도 출되었다.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 시설의 성인 장애자들은 신경 발달 장애에 포 함되는 다양한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그들 중 상당수가 중복 장애를 가지고 있다. 둘째, 성인 장애자들은 인지, 지각, 행동·운동, 정서적 장애로 인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미술 활동에서 요구되는 시지각과 촉각의 결함이 나 타났다. 행동·운동적 어려움으로서 성인 장애자들은 대체로 통제되고 자신감 없는 태도를 보였으며, 또한 부적절한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는 데 어려움을 가졌다. 이는 표현에서 소극적인 재료 사용과 약한 결정력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 조절력이 부족하며, 쉽게 주의력을 잃고 산만해지며, 공격적이고 무기력했다. 또한 쉽게 포기하거나 의존적 태도를 보였다. 정서적 어려움으로 지적장애자는 자기 비하적이고 자신감이 없고, 긍정적 피드백을 부인하는 태도를 보였 다. 대체로 중증 장애자들은 무표정하여, 그들 생각과 정서를 파악이 어려웠다. 또한 하위그룹 내에서의 부정적 정서는 서로에게 전염되었다. 셋째, 성인 장애자들의 장애로 인하여 수업에서 발현되는 상황과 현상은 7가지 차원으로 나 타났다. 혼합된 장애자 집단, 수업 중 돌발행동, 매체에 대한 극명한 호불호 태도, 취약한 컨디션, 미술의 주제화와 상호작용의 어려움, 미술에 대한 흥미의 지연된 태도가 그것이다. 또한 성인 장애자들은 미적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결과물의 미적 질에 상관없이 예술적 표현 활동을 향유한다. 그들은 그들의 장애에도 불구하고 인지, 정서, 행동에서 미세하고 느린 긍 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특히 장기간 미술 수업에 참여한 성인 장애자들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성인장애학습자들을 이해하는 근거가 될 것이며 사회분야 문화예술교육의 변화를 촉구할 것이다.
  • 색인어
  • 문화예술교육강사, 성인 장애자, 신경 발달 장애, 복지 시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