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 문화 예술 교육 진흥원으로부터 복지 기관에 파견된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의 성인 장애 학습자들에 대한 경험을 연구한다. 이를 통해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이 성인 장애 학습자들로부터 무엇을 경험하여 인식하고 있고, 그들의 경험이 그들 미술 수업에 ...
본 연구는 한국 문화 예술 교육 진흥원으로부터 복지 기관에 파견된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의 성인 장애 학습자들에 대한 경험을 연구한다. 이를 통해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이 성인 장애 학습자들로부터 무엇을 경험하여 인식하고 있고, 그들의 경험이 그들 미술 수업에 어떻게 교육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는 다섯 가지 목표를 두고 수행된다. 첫째, 문화 예술 교육 강사가 성인 장애 학습자들을 위해 어떠한 교육적 지향점을 가지고 수업을 수행하는지 밝힌다. 둘째, 문화 예술 교육 강사가 성인 장애 학습자로부터 경험하는 인지·정서·행동적 실존 문제가 무엇인지 도출한다. 셋째, 문화 예술 교육 강사가 성인 장애 학습자들로부터 경험하는 장애적인 요인에 어떠한 교육적 접근을 사용하는지를 도출한다. 넷째, 문화 예술 교육 강사는 성인 장애 학습자의 어떠한 변화를 의미 있게 보는지 밝힌다. 다섯째, 문화 예술 교육 강사가 성인 장애 학습자를 경험하는데 어떠한 상황 맥락이 관련되는지 밝힌다.
연구 내용은 문화 예술 교육의 목적과 용어 정리 및 선행 연구에 관련된 문헌 연구, 연구 방법으로서 현상학적 연구 방법, 반구조화된 인터뷰 질문 개발, 문화 예술 교육 강사 인터뷰, 비참여적 수업 관찰을 통한 자료 수집, 수집된 자료 분석,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로 구성된다.
연구자는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일차적으로 수행한다. 이후 인터뷰 자료를 범주화한 후, 필요할 경우 이차적으로 필요한 자료를 추가 수집한다. 먼저 용어 정리로서 문화 예술 교육 목적과 문화 예술 교육 강사에 대해서 알아본다. 이에 대해서는 한국 문화 예술 교육 진흥원에서 발간한 문헌들, 그리고 문화 예술 교육 진흥원 홈페이지 ‘연구개발’에 탑재된 자료, 복지기관 문화 예술 교육 강사 평가를 위한 평가 위원 대상 워크숍 자료 등에 기초하여 개념과 용어를 정리할 것이다.
선행 연구는 세 가지 차원으로 접근하여 수행할 것이다. 첫째, 문화 예술 교육 강사에 관련된 연구 자료들을 조사할 것이다.
둘째, 선행 연구로서 특수 교육 교사들의 성인 장애 학습자들에 대한 인식에 관한 문헌과 연구 결과들, 그리고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 관계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관계, 교사가 장애 학습자에게 중요하게 다루는 학습자의 반응, 장애 학습자의 인지, 정서, 행동 문제에 교사의 교수 학습적 반응과 개입에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여 본 연구에 이론적 배경으로 넣을 것이다.
셋째, 현상학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 이해를 위해 철학자들의 개념을 논할 문헌들을 조사하여 연구할 것이다.
2)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자료 수집에는 먼저 표본 선정, 반구조화된 인터뷰 질문지 작성, 인터뷰 질문지에 대한 전문가 의견 듣고 수정하기가 일어난다. 이어서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을 위한 표본을 수집한다. 표본의 경우, 한국 문화 예술 교육 진흥원에 등록된 문화 예술 교육 강사들의 명부를 이용하여 수집할 것이다. 표본은 서울, 경기도, 기타 지방에서 복지 기관에 파견된 미술 분야 문화 예술 교육 강사로 활동하는 강사들 중 예술 강사 경력이 2년 이상인 자로 6명을 선정한다. 이후 그들을 대상으로 각 연구 참여자당 3회에 걸쳐 동의를 구한 후 인터뷰를 한다. 인터뷰에 앞서 연구자는 비참여적 수업 관찰을 할 것이다. 이때 관찰한 것들을 메모하고, 사진을 촬영한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교수 학습 계획안, 연간 교육 프로그램 등을 수집할 것이다.
모든 수집된 자료를 텍스트화 한다. 이어서 텍스트 자료들을 여러 회에 걸쳐 읽고, 현상학적 맥락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성인 장애 학습자들에 대한 지향점과 의미를 파악하고 의미 단위를 붙일 것이다. 의미 단위들로 된 자료 분석은 포킹홈(Polkinghome, 1989), 무스타카스(Moustakas, 1994), 판 매넌(van Manen, 1990) 그리고 크리스웰(Creswell, 2015)의 현상학적 자료 분석 방법에 기초한다. 먼저 연구자는 수집한 자료들을 텍스트로 변환한다. 이어 텍스트 자료들을 여러 회 걸쳐 읽고, 경험과 관련된 의미 있는 문구나 진술들을 줄여 의미 단위로 정리한다. 이어서 이러한 의미 단위들을 공통된 주제들을 다시 철저한 조직적 기술과 구조적 기술을 통해 통합한다. 구조적 기술을 위해 범주들 모델로 제시하여 분석한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Creswell(2015. 231)에 기초하여 현상학적 경험 분석 모델을 개발하여 수집 자료들을 분류하고 범주화 할 것이다. 범주들은 문화 예술 교육 강사, 지향, 성인 장애 학습자의 신체적 현존, 공간, 관계,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