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 탐지 검사의 한 종류인 숨긴정보검사에서는 오직 수사관과 범인만 알 수 있는 범죄 관련자극을 다수의 범죄 무관련자극과 섞어서 피검사자에게 제시하고 자율신경계 반응을 관찰한다. 피검사자가 관련자극과 무관련자극에 대해 체계적으로 다른 반응을 보인다면 ...
거짓말 탐지 검사의 한 종류인 숨긴정보검사에서는 오직 수사관과 범인만 알 수 있는 범죄 관련자극을 다수의 범죄 무관련자극과 섞어서 피검사자에게 제시하고 자율신경계 반응을 관찰한다. 피검사자가 관련자극과 무관련자극에 대해 체계적으로 다른 반응을 보인다면 피검사자가 범인이라고 판단한다. 숨긴정보검사는 이론적으로 타당한 심리생리적 근거를 가지고 있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검사결과를 의도적으로 왜곡시키는 대응수단(countermeasure)에 취약하다는 단점도 있다. 최근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뇌 반응을 뇌파로 직접 측정하거나 반응시간을 측정치로 사용하는 숨긴정보검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거짓말 탐지 결과의 법적인 지위에 관한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 뇌파나 반응시간을 측정치로 사용하는 숨긴정보검사에서는 범죄 관련자극들에 대한 반응과 범죄 무관련자극들에 대한 반응이 서로 다른지 평가하기 위하여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평가 방법으로는 판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부트스트랩 검증 등이 사용된다. 이 방법들은 모두 다수의 무관련자극들이 피검사자에게 동일한 반응을 유발한다고 가정하지만, 실제로 무관련자극들이 서로 다른 반응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점을 ‘무관련자극들의 비동질성 문제’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 문제가 존재하면 무죄인 피검사자를 유죄로 판단하는 치명적인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무관련자극들 중 값이 가장 큰 것과 관련자극을 비교할 것이 제안되었지만(Lefebvre et al., 2009), 이 방법은 유죄인 피검사자를 무죄로 판단하는 오류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고, 가장 좋은 절차로 알려진 다중 관련자극 프로토콜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숨긴정보검사에서 ‘무관련자극들의 비동질성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순열 검증(permutation test)이라는 통계적 방법을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순열 검증은 집단 간에 점수들의 차이가 없다는 영가설이 참이라면 두 집단의 측정치들을 서로 바꾸어도 무방할 것이라는 논리에 근거한 분석방법이다. 순열 검증에서는 관련자극들과 무관련자극들의 값을 섞어서 관련자극들과 무관련자극들의 평균을 산출하고 통계적 검증의 기초가 되는 표집분포를 만들기 때문에, ‘무관련자극들의 비동질성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순열 검증이 ‘무관련자극들의 비동질성 문제’가 순열 검증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가상의 자료를 이용한 예비연구를 수행하였다. ‘무관련자극들의 비동질성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부트스트랩 검증과 순열 검증이 동일한 결과를 산출하였지만, ‘무관련자극들의 비동질성 문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순열 검증이 더 타당한 결과를 산출하였다. 결과적으로 순열 검증이 ‘무관련자극들의 비동질성 문제’를 해결하며, 동시에 정확도가 더 높은 평가 방법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연구를 확장한 정교한 몬테 카를로 연구를 수행하여 ‘무관련자극들의 비동질성 문제’와 순열 검증의 관계에 대하여 파악할 것이며, 뇌파와 반응시간을 이용한 숨긴정보검사를 실시하여 실제 자료에서 ‘무관련자극들의 비동질성 문제’를 순열 검증이 해결할 수 있는지 검증할 것이다.
기대효과
모든 판단에는 오류가 수반된다. 거짓말 탐지에도 오류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거짓말 탐지 오류에는 진실을 말한 사람을 거짓을 말한 사람으로 잘못 분류하는 오경보가 있으며 거짓을 말한 사람을 진실을 말한 사람으로 잘못 분류하는 탈루가 있다. 두 가지 오류 중에 ...
모든 판단에는 오류가 수반된다. 거짓말 탐지에도 오류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거짓말 탐지 오류에는 진실을 말한 사람을 거짓을 말한 사람으로 잘못 분류하는 오경보가 있으며 거짓을 말한 사람을 진실을 말한 사람으로 잘못 분류하는 탈루가 있다. 두 가지 오류 중에서 더 위험한 오류는 당연히 오경보이다. 본 연구는 뇌파와 반응시간을 이용한 거짓말 탐지에서 오경보를 줄이는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범죄 심리학에서 가장 실용적인 주제 중의 하나인 거짓말 탐지 분야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범죄심리학에 시사하는 바가 큰 연구이다. 본 연구는 통계적 분석 방법이 필수적인 실험 심리학 전반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다. 뇌파를 이용하는 심리학 분야에서 변량분석(분산분석)을 이용하여 실험 자료를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뇌파를 분석할 때에는 거의 언제나 다중비교에 의한 1종 오류의 문제가 나타난다. 또한 변량분석은 모집단이 정상분포한다는 가정을 하지만 실제로 종속측정치가 정상분포하는지 확인하기는 어렵다. 순열 검증은 1종 오류의 문제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으며, 모집단의 정상분포 가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검증이다. 따라서 변량분석을 적용하기가 어려운 실험자료에 순열 검증을 대안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순열 검증이 개발된 것은 오래 전의 일이지만 아직까지 심리학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그 이유는 컴퓨터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순열 검증을 위해서는 고성능의 컴퓨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최근에 컴퓨터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서 순열 검증을 사용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졌다.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어 발표된다면 심리학의 분야에 순열 검증의 특징과 장점을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결과는 사회적인 기여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아직까지 거짓말 탐지 결과는 법정에서 증거로 채택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 그 이유는 거짓말 탐지 결과의 정확도가 법적인 요구수준에 미달되기 때문이다. 거짓말 탐지 결과가 100% 정확하지 않아도 오경보율이 0에 가깝다면, 거짓말 탐지 결과가 법정에서 유죄의 증거로 채택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왜냐하면 어떤 피의자에 대한 거짓말 탐지 결과가 유죄로 나타났을 때 그 사람이 진짜 유죄일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경찰과 검찰이 수사하는 사건들 중에 물증이 없는 사건들이 매우 많다. 이런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선의 수사 방법은 거짓말 탐지이다. 이러한 이유로 경찰과 검찰에서 매년 일만 건 이상의 거짓말 탐지를 실시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거짓말 탐지 결과가 피의자의 자백을 유도하거나 수사방향을 결정하는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만약 오경보가 매우 낮은 거짓말 탐지 방법이 개발된다면 수사 단계와 법적 판단 단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며, 법적인 증거 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연구요약
본 연구에서는 숨긴정보검사의 평가방법에 대한 몬테 카를로 연구를 수행하고, 뇌파와 반응시간을 이용한 숨긴정보검사를 실시하여 부트스트랩 검증과 순열 검증의 결과를 비교할 것이다. 연구 1인 몬테 카를로 연구에서는 다양한 모수치와 표본 오차변량을 가지는 ...
본 연구에서는 숨긴정보검사의 평가방법에 대한 몬테 카를로 연구를 수행하고, 뇌파와 반응시간을 이용한 숨긴정보검사를 실시하여 부트스트랩 검증과 순열 검증의 결과를 비교할 것이다. 연구 1인 몬테 카를로 연구에서는 다양한 모수치와 표본 오차변량을 가지는 자료들을 생성하여 부트스트랩 검증과 순열 검증을 실시할 것이다. 연구 1을 통하여 부트스트랩 검증과 순열 검증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순열 검증으로 ‘무관련자극들의 비동질성 문제’가 해결되는 조건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몬테 카를로 연구에서는 무관련자극들의 동질성 여부(2 수준) ✕ 관련자극과 무관련자극간 평균차이(최소 10수준) ✕ 표본 오차변량의 크기(최소 10수준) = 최소 200개의 자료를 컴퓨터로 생성하여 각 자료에 대해서 부트스트랩 검증과 순열 검증을 수행할 것이다. 연구 2에서는 유죄집단과 무죄집단을 대상으로 뇌파(즉 P300) 기반 숨긴정보검사를 실시하여 부트스트랩 검증과 순열 검증을 실시할 것이다. 연구 2를 통하여 P300 기반 숨긴정보검사에 ‘무관련자극들의 비동질성 문제’가 있는지 그리고 순열 검증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약 50명의 실험참가자들을 유죄집단과 무죄집단에 무선할당하여 실험에 참여시킬 것이다. 연구 3에서는 반응시간 기반 숨긴정보검사에 ‘무관련자극들의 비동질성 문제’가 있는지 그리고 순열 검증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확인할 것이다. 약 50명의 실험참가자를 유죄집단과 무죄집단에 무선할당하여 실험에 참여시킬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의 목적은 부트스트랩 차이검증을 사용한 P300 또는 반응시간 기반의 숨긴정보검사에서 무관련자극의 비동질성 문제와 시행수의 비동등성 문제가 유죄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며, 순열검증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 ...
본 연구의 목적은 부트스트랩 차이검증을 사용한 P300 또는 반응시간 기반의 숨긴정보검사에서 무관련자극의 비동질성 문제와 시행수의 비동등성 문제가 유죄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며, 순열검증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 1과 2에서는 몬테 카를로 연구를 통하여 무관련자극의 비동질성 문제와 시행수의 비동등성 문제가 부트스트랩 차이검증과 순열검증에서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3과 4에서는 P300 숨긴정보검사와 반응시간 기반의 숨긴정보검사에서 부트스트랩 차이검증과 순열검증의 유죄판결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무관련자극의 비동질성 문제는 부트스트랩 차이검증과 순열검증 모두에서 나타났다. 즉, 무관련자극의 비동질성 문제는 순열검증을 통하여 해결되지 않았다. 그러나 시행수의 비동등성 문제는 부트스트랩 차이검증에서 분명하게 나타났지만, 순열검증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시행수의 비동등성 문제가 순열검증을 통하여 해결되었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effect of non-homogeneity problem of irrelevant stimulus and inequality problem of the number of trials on guilty judgment in P300 or reaction time 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using bootstrap difference t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effect of non-homogeneity problem of irrelevant stimulus and inequality problem of the number of trials on guilty judgment in P300 or reaction time 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using bootstrap difference test, and to confirm if these problems could be solved by the permutation test. In Study 1 and 2, we confirmed whether the non-homogeneity problem of irrelevant stimuli and the inequality problem of the number of trials appeared in bootstrap difference test and permutation test through Monte Carlo study. In Study 3 and 4, we calculated the conviction rate of P300 concealed information test and reaction time 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using bootstrap method and permutation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on-homogeneity problem of irrelevant stimulus appeared in both bootstrap difference test and permutation test. However, the inequality problem of the number of trials was apparent in bootstrap difference test but not in permutation test. As a result, the non-homogeneity problem of the irrelevant stimulus was not solved by the permutation test, but the inequality problem of the number of trials was solved through the permutation test.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트스트랩 차이검증을 사용한 P300 또는 반응시간 기반의 숨긴정보검사에서 무관련자극의 비동질성 문제와 시행수의 비동등성 문제가 유죄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며, 순열검증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 ...
본 연구의 목적은 부트스트랩 차이검증을 사용한 P300 또는 반응시간 기반의 숨긴정보검사에서 무관련자극의 비동질성 문제와 시행수의 비동등성 문제가 유죄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며, 순열검증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 1과 2에서는 몬테 카를로 연구를 통하여 무관련자극의 비동질성 문제와 시행수의 비동등성 문제가 부트스트랩 차이검증과 순열검증에서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3과 4에서는 P300 숨긴정보검사와 반응시간 기반의 숨긴정보검사에서 부트스트랩 차이검증과 순열검증의 유죄판결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무관련자극의 비동질성 문제는 부트스트랩 차이검증과 순열검증 모두에서 나타났다. 즉, 무관련자극의 비동질성 문제는 순열검증을 통하여 해결되지 않았다. 그러나 시행수의 비동등성 문제는 부트스트랩 차이검증에서 분명하게 나타났지만, 순열검증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시행수의 비동등성 문제가 순열검증을 통하여 해결되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부트스트랩 차이검증을 사용한 P300 숨긴정보검사는 무관련자극의 비동질성 문제와 시행수의 비동등성 문제가 존재한다. 순열검증은 두가지 문제중 시행수의 비동등성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뇌파나 반응시간을 이용한 숨긴정보검사에 ...
부트스트랩 차이검증을 사용한 P300 숨긴정보검사는 무관련자극의 비동질성 문제와 시행수의 비동등성 문제가 존재한다. 순열검증은 두가지 문제중 시행수의 비동등성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뇌파나 반응시간을 이용한 숨긴정보검사에 바로 적용하여 거짓말 탐지의 1종 오류 즉, 무죄인 피검사자를 유죄로 판단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부트스트랩 검증이 부적절한 상황에서 순열검증이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인 것으로 부트스트랩 검증을 사용하는 다양한 분야에 순열검증을 적용하여 결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