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태평양전쟁기 日本 海軍의 조선인 군속 동원 - 일본 정부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Mobilization of Korean Civilian Laborer by Imperial Japanese Navy during Pacific War : An Analysis of the Japanese Government's Document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학술연구교수(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B5A02023286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3 년 (2017년 07월 01일 ~ 202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심재욱
연구수행기관 제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태평양 전쟁 패전 이후 일본 정부가 작성한 ‘명부자료’인 “舊日本海軍 朝鮮人 軍屬 關聯 資料(2009)”를 분석함으로써 태평양전쟁기 日本 海軍의 軍屬으로 동원된 ‘식민지 조선인’의 실태와 피해 사례를 발굴한다. 이를 통해 일제의 조선인 강제동원의 기만성을 밝히고, 다른 강제동원 관련 명부자료들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과 이를 통해 축적되는 관련 데이터의 효용성을 환기시킨다.
    본 연구의 주제인 조선인 해군 군속 동원을 포함하는 ‘조선인 강제동원’은, ‘식민지 조선의 근대화’가 아닌 ‘식민지 조선의 활용’에 목적이 있었다는 식민통치의 본질과 기만성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으로 연구의 중요성과 의의를 가진다. 또한 70여 년이 흐른 현재까지도 한·일 양국 간의 주요 외교 쟁점으로 한국 사회의 해결되지 않은 과거사 문제로 남아 있다는 점에서도 그러하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강제동원 관련 연구는 아직도 많은 부분이 공백으로 남아 있다. 최근 들어 많은 연구 성과들이 나타났으나 여전히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하는 (해군)군속 동원 관련 연구와 명부자료 연구의 부족도 그 하나이다. 명부자료는 ‘언제, 어디서, 어디로 동원되어 어떤 피해를 당했는가’와 같은 동원 실태 파악을 위한 필수적인 자료임에도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1990년대 일본 정부로부터 인계 받아 한국 정부가 소장 중인 약 48만 명 분의 명부자료들에 대한 분석의 결여는 커다란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또한 군속 동원의 경우, 실제 노동 내용은 노무자와 유사하나 노무자와는 달리 기업이 아닌 軍의 관할 아래서 운용된 모호한 성격으로 인해, 가장 많은 인원을 차지하는 노무 동원의 규모성과, 직접적인 전투 수행이라는 특수성을 갖는 군인 동원에 가려 관련 연구가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써 “舊日本海軍 朝鮮人 軍屬 關聯 資料(2009)”를 분석한다. 해당 자료는 현재까지 확인된 유일한 조선인 해군 동원 관련 자료라는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40여 개 항목으로 구성된 약 7만8천 명의 개인별 기록이라는 자료의 방대함은 다른 자료에서 찾아 볼 수 없는 보다 풍부한 기초 데이터 축적과 동원 내용 파악을 가능케 하는 가치도 지니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는 전체 강제동원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 연구로써 역할을 할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한다.
    첫째, 강제동원 관련 연구의 질적 향상이다. 관련 연구의 부족함을 보완하며, 전산화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진행되는 본 연구의 체계적이고 입체적인 분석 방법은 관련 연구의 질적 향상을 유도할 것이다.
    둘째, 강제동원에 대한 사회적 관심 유도와 관련 연구의 활성화이다. 본 연구를 통해 환기되는 명부자료 분석의 중요성은 관련 연구의 활성화를 촉발시키는 계기를 이룰 것이다. 또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는 강제동원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도를 향상시켜 사회적 관심을 유발하는 효과를 지닐 것이다.
    셋째, 강제동원 관련 국제 연대의 강화이다. 제1·2년차에 일본 지역에서 개최되는 “强制動員眞相究明全國硏究集會”에 참석하여 행하는 사례 발표를 통해 강제동원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는 것은, 일본 지역은 물론이고, 일본의 노동력 수탈의 피해를 입은 중국·동남아시아 지역들의 관련 단체와의 연계도 가능케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활용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기대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물들은 현재 한·일 양국 간에 주요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위안부’ 문제와 같은 강제동원 관련 협의에서 일본 정부의 부당한 주장을 반박하고, 향후 진행되어야 할 강제동원 피해 관련 배상의 구체적인 협상 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둘째, 대학 강좌 및 일반 시민 강좌 개설과 중·고등학교 부교재 개발의 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강제동원 지도’ 제작과 같은 각종 콘텐츠 제작의 기본 자료로써 활용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舊日本海軍 朝鮮人 軍屬 關聯 資料(2009)”의 분석을 통해 日本海軍의 조선인 군속 동원 실태와 피해 사례를 파악한다. 이 자료는 패전 이후 일본 정부에 의해 작성되어, 현재까지 한국 정부에 인계된 자료 중 海軍 軍屬 동원 관련 자료로써는 유일하다. 다양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보다 풍부한 동원의 내용을 파악케 해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진행한다.
    먼저 ‘海軍軍屬資料’ 자료에서 추출한 데이터의 분석을 실시한다. 해당 자료는 동원된 조선인 약 7만8천 명의 인적 사항 및 동원 일시, 소속, 투입 지역, 신분, 사망 장소·일시·상황 등 40여 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개인별 자료로써, 광범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화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 데이터에서 파악되는 주요 동원 실태와 사망 사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다.
    다음으로 추출한 주요 내용을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자료에 대한 수집·분석을 실시한다. 日本 海軍의 조선인 군속 동원은 일본 정부 및 海軍의 정책·제도·편제 하에서 진행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조사·분석은 필수적이다. 일본 정부·海軍 관련 공문서와 연구 논저, 그리고 조선인 군속들이 소속된 부대에서 복무했던 일본인들의 개인 회고록 등을, 일본 현지 자료 조사를 통해 수집·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피해 생존자들에 대한 구술조사를 병행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본 연구는 1)기초 연구 - 소속 부대·부서 및 신분(직종)의 성격과 특징, 2)사례 연구 - (1)주요 부대·부서(設營隊·施設部 및 燃料廠 등)의 동원 실태와 성격(논문 2편), (2)주요 사망 실태(고립지역 질병 사망과 일본 지역 공습 사망, 논문 2편) 등의 연차별 주제로 연구논문을 작성·발표한다.
    그리고 연구 종료 이후에도 축적된 데이터와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계속적으로 연구논문을 발표하고, 해당 내용을 자료집 및 연구저서로 엮어 출판한다. 아울러 입력한 데이터를 DB로 구축하여 연구자 및 일반인들의 접근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일본 정부가 아시아태평양전쟁 패전 이후 작성한 ‘명부자료’인 “舊日本海軍 朝鮮人 軍屬 關聯 資料(2009)”를 분석함으로써, 1) 조선인 군속의 동원 실태와 피해사례 발굴, 2) 강제동원 관련 기초 데이터 축적, 3) 강제동원 관련 명부자료들의 데이터화와 분석의 필요성 환기, 4) ‘전시체제기’에 일본이 자행한 조선인 강제동원의 기만성 재조명 등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제 강점 말기, 연인원 약 600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의 조선인들이 일제의 침략전쟁 수행을 위한 인적 자원으로써 강제동원되었다. 이는 ‘조선(인)의 활용’에 목적을 지닌 식민통치의 본질과 기만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강제동원 관련 연구의 미비점을 보완하는 하나의 작업으로써, 2009년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이하 위원회)가 일본 외무성으로부터 재입수한 “구일본해군 조선인 군속 관련 자료(2009)”(이하 “해군군속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선인 군속 동원의 실태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군군속자료”의 주요 내용을 데이터화하고 관련 문헌 자료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각 년차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제1년차 연구(2017.7.1.~2018.6.30)
    제1년차 연구 수행 과제는 “일본 해군 군속 관련 기초 연구”로써 조선인이 투입된 다양한 해군 부대·부서의 성격을 파악하였다. 데이터의 정밀화를 통해 총 44종 197개 부대에 조선인 군속들이 투입된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군 관련 시설의 토목·건축을 담당하는 ‘시설 계통’의 부대에, 전체의 과반을 상회하는 규모(59.3%)의 인원이 투입된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제1년차 연구는 조선인 해군 군속의 동원과 부대 투입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시바우라(芝浦)해군시설보급부(이하 시바우라보급부)의 성격과 동원 실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전시체제기 시바우라(芝浦)海軍施設補給部의 조선인 군속 동원」(『한국민족운동사연구』 97집, 2018.12)이라는 제목의 연구논문으로 학계에 발표하였다.
    2) 제2년차 연구(2018.7.1.~2019.6.30.)
    제2년차 연구 수행 과제는 “조선인 군속의 부대별 동원 실태”로써 일본 해군의 조선인 군속 동원 실태 및 성격의 일단을 파악할 수 있는 주요 “부대별 동원 실태”를 고찰하였다.
    먼저 해군연료창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재 일본측 저술에서 확인되는 조선인 인원수 보다 많은 인원이 동원되었음을 파악하였다. 특히 일본 해군의 공문서(『海軍公報』)를 통해 조선인과 일본인 군속의 임금에 '민족 차별'이 존재하였음을 밝히는 성과를 이루기도 하였다. 연구 내용은 「’구일본해군조선인군속관련자료(2009)‘를 통해 본 태평양전쟁기 일본해군연료창의 조선인 군속 동원」(『한국민족운동사연구』 99, 2019.6)라는 제목의 연구 논문으로 학계에 발표하였다.
    다음으로 특설해군설영대와 관련한 연구를 통해, 4천6백 여 명이 투입된 약 41개 설영대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자료에서 투입된 조선인 1천1백 여 명 전원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는 제15설영대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약 한달 간의 훈련 기간을 거쳐 투입되는 일본인들과는 달리 조선인들의 경우 훈련없이 곧바로 투입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이상의 연구는 「’태평양전쟁‘기 일본 특설해군설영대의 조선인 군속 동원 – 제15설영대 사례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으로 전문학술지(『한국민족운동사연구』106, 2021.3)에 게재할 예정이다.
    3) 제3년차 연구 수행 내용 및 결과 (2019.7.1.~2020.6.30.)
    제3년차 연구 수행 과제는 “조선인 군속의 주요 사망 실태”로써, 고립 지역의 사망 실태와 일본 본토의 공습 사망 두 가지로 나누어 주요 사례들을 고찰하였다.
    제3년차 연구에서 고찰한 내용들은 연구 종료 이후 2년(2020년 6월) 이내에 학술지에 게재할 예정이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1) discover the actual status of mobilization and damage cases of the Korean civilians in military employment; 2) accumulate basic data related to forced mobilization; 3) arouse the necessity of dataization and analysis of list information about forced mobilization; 4) re-examine the deception of the forced mobilization of Koreans by Japan during the “War Time“, by analysing “the Document of the Korean Employee in the Imperial Japanese Navy(2009)”, a ”list information“ cre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fter the defeat of the Asian Pacific War.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about 6 million Koreans were forcibly mobilized as human resources for the Japanese colonial invasion war. This is important in that it clearly shows the nature and deception of colonial rule for “utilization of Koreans”.
    This study is a work that complements the deficiencies of research related to forced mobilization. It attempts to reveal the actual situation of mobilization of the Korean civilians in military employment by analysing “the Document of the Korean Employee in the Imperial Japanese Navy(2009)”(hereafter the Navy Civilians Data) obtained by the Commission on Verification and Support for the Victims of Forced Mobilization under Japanese Colonialism in Korea (hereafter the Commission) from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n 2009. For the analysis, main contents of the Navy Civilians Data were converted into data and related literature data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for each year are as follows.

    1) The first year(2017.7.1.~2018.6.30)
    The first year of research was basic research on Korean civilians in military employment of Japanese Navy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naval units and departments in which Koreans were employed. Through the sophistication of the data,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civilians in military employment were put into 197 units of 44 types, especially in units of the “facilities system” in charge of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of military-related facilities, exceeding the majority of the total (59.3%). Based on this, the first year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nature and mobilization status of the Shibaura Naval Engineering Supply Office (hereinafter the Shibaura Supply Office),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obilization and militaryization of Korean civilians and the results were published as a research paper “Mobilization of Korean Civilians in Military Employment by the Shibaura Naval Engineering Supply Office during 'the War Time’”, Journal of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Vol.97, Dec. 2018.

    2) The second year(2018.7.1.~2019.6.30.)
    The second year's research project was “The mobilization status of Korean civilians in military employment in each military unit”, and the “Status of mobilizations by unit” was reviewed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us and character of the mobilization of Korean civilians in military employment in the Japanese Navy.
    First, through a study on Naval Fuel Depot, it was identified that more people were mobilized than the number of Koreans found in the current Japanese writings. In particular, through the official document of the Japanese Navy, it was also achieved to reveal that 'alien discrimination' existed in the wages of Koreans and Japanese military groups. The research was published as “Mobilization of Korean Civilians in the Military Employment by the Imperial Japanese Naval Fuel Depot during the Pacific War based on “The Document of the Korean Employee in the Imperial Japanese Navy(2009)” Journal of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Vol.99, June 2019.
    Next, through a study related to the Specially Established Naval Encampment Corps, the status of about 41 Naval Encampment Corps with 4,600 employees was investigated. The study focused on the case of the 15 Naval Encampment Corps, where all 1,100 Koreans who were identified as being killed. In this research, we found that Koreans were put in immediately without training unlike the Japanese who were put in after a training period of about a month. The study results will be published as “Mobilization of Korean Civilians in Military Employment by the Specially Established Naval Encampment Corps during the Pacific War Time - 15th Encampment Corps”, Journal of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Vol.106, March 2021.

    3) The Third year(2019.7.1.~2020.6.30.)
    The research conducted in the third year was “Major Deaths of Korean Civilians in Military Employment”, which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deaths in isolated areas and air raids in mainland Japan.
    The research conducted in the third year will be published in the journal within two years (June 2020) after the end of the stud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 연구의 목적, 필요성 및 방법
    본 연구는 일본 정부가 아시아태평양전쟁 패전 이후 작성한 ‘명부자료’인 “舊日本海軍 朝鮮人 軍屬 關聯 資料(2009)”(이하 "해군군속자료")를 분석함으로써, 1) 조선인 군속의 동원 실태와 피해사례 발굴, 2) 강제동원 관련 기초 데이터 축적, 3) 강제동원 관련 명부자료들의 데이터화와 분석의 필요성 환기, 4) ‘전시체제기’에 일본이 자행한 조선인 강제동원의 기만성 재조명 등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제 강점 말기, 연인원 약 600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의 조선인들에 대한 강제동원은, ‘조선(인)의 활용’에 목적을 둔 식민통치의 본질과 기만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는 중요성을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계의 관련 연구는 미진하였고, 사회적으로도 무관심하였다.
    본 연구는 강제동원 관련 연구의 미비점을 보완하는 하나의 작업으로써, 2009년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이하 위원회)가 일본 외무성으로부터 재입수한 “해군군속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선인 군속 동원의 실태를 밝히고자 하였다. 명부자료에 대한 분석·연구는 강제동원의 구체적인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 작업이기 때문이다. 또한 노무, 군인, 위안부 동원 관련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비한 (해군)군속 동원에 대한 연구를 통해 관련 연구를 보완한다는 점에서도 그 필요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해군군속자료“의 데이터화를 진행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행하였다. 약 20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7만8천 여 명의 개인별 기록으로 편철된 방대한 규모의 자료이기 때문에 데이터화는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었다. 다음으로는 관련 문헌 자료 수집 및 분석·검토를 진행하였다. 문헌 자료의 수집·분석은 국내 발간 자료 및 인터넷 상에서 확인이 가능한 아시아역사자료센터(JACAR) 소장 자료, 일본 방위성 방위연구소 및 국립국회도서관 등을 중심으로 한 일본 현지의 자료 조사로 진행하였다.

    2. 연구 수행 내용 및 결과
    1) 제1년차 연구(2017.7.1.~2018.6.30)
    제1년차 연구 수행 과제는 “일본 해군 군속 관련 기초 연구”로써 조선인이 투입된 다양한 해군 부대·부서의 성격을 파악하였다. 데이터의 정밀화를 통해 총 44종 197개 부대에 조선인 군속들이 투입된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군 관련 시설의 토목·건축을 담당하는 ‘시설 계통’의 부대에, 전체의 과반을 상회하는 규모(59.3%)의 인원이 투입된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제1년차 연구는 조선인 해군 군속의 동원과 부대 투입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시바우라(芝浦)해군시설보급부(이하 시바우라보급부)의 성격과 동원 실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전시체제기 시바우라(芝浦)海軍施設補給部의 조선인 군속 동원」(『한국민족운동사연구』 97집, 2018.12)이라는 제목의 연구논문으로 학계에 발표하였다.
    2) 제2년차 연구(2018.7.1.~2019.6.30.)
    제2년차 연구 수행 과제는 “조선인 군속의 부대별 동원 실태”로써 일본 해군의 조선인 군속 동원 실태 및 성격의 일단을 파악할 수 있는 주요 “부대별 동원 실태”를 고찰하였다.
    먼저 해군연료창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재 일본측 저술에서 확인되는 조선인 인원수 보다 많은 인원이 동원되었음을 파악하였다. 특히 일본 해군의 공문서(『海軍公報』)를 통해 조선인과 일본인 군속의 임금에 '민족 차별'이 존재하였음을 밝히는 성과를 이루기도 하였다. 연구 내용은 「’구일본해군조선인군속관련자료(2009)‘를 통해 본 태평양전쟁기 일본해군연료창의 조선인 군속 동원」(『한국민족운동사연구』 99, 2019.6)라는 제목의 연구 논문으로 학계에 발표하였다.
    다음으로 특설해군설영대와 관련한 연구를 통해, 4천6백 여 명이 투입된 약 41개 설영대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자료에서 투입된 조선인 1천1백 여 명 전원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는 제15설영대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약 한달 간의 훈련 기간을 거쳐 투입되는 일본인들과는 달리 조선인들의 경우 훈련없이 곧바로 투입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이상의 연구는 「’태평양전쟁‘기 일본 특설해군설영대의 조선인 군속 동원 – 제15설영대 사례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으로 전문학술지(『한국민족운동사연구』106, 2021.3)에 게재할 예정이다.
    3) 제3년차 연구 수행 내용 및 결과 (2019.7.1.~2020.6.30.)
    제3년차 연구 수행 과제는 “조선인 군속의 주요 사망 실태”로써, 고립 지역의 사망 실태와 일본 본토의 공습 사망 두 가지로 나누어 주요 사례들을 고찰하였다.
    제3년차 연구에서 고찰한 내용들은 연구 종료 이후 2년(2020년 6월) 이내에 학술지에 게재할 예정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먼저 명부자료 데이터화·디지털화의 기초 작업으로써의 활용할 예정이다.
    2019년 말, 다수의 강제동원 관련 명부자료들을 소장하고 있는 국가기록은 해당 자료들의 디지털화를 진행한다고 발표하였다.(연합뉴스, 「국가기록원, 흩어져 있는 일제 강제동원 명부 통합 작업 추진」, 2019.12.23.) 그리고 2020년 초반부터 일부 명부자료들에 대한 데이터 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자는 국가기록원 측으로부터 향후 진행될 “구일본해군 조선인 군속 관련 자료(2009)”의 디지털화에 대한 협조 요청을 받았다. 약 3년 간에 걸친 연구를 통해 축적된 명부 판독 능력은 국가 기관의 사업으로써 진행되는 강제동원 관련 명부의 디지털화 작업에 질적 향상을 이루어 낼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각종 강제동원 관련 연구사업과 연계할 예정이다.
    현재 강제동원 관련 연구는 군인 동원, 노무 동원, 그리고 위안부 동원에 집중되어 있다. 군속 동원 관련 연구는 본 연구자의 작업이 유일하다. 따라서 향후 진행될 다양한 강제동원 관련 연구사업에 있어, 군속 동원 관련 부분을 채우기 위해서는 본 연구의 결과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기에, 이와 연계할 계획이다.
    세 번째로는 지역 차원의 강제동원 관련 사업의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다양한 강제동원 관련 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경상남도의 경우 도청에서 해당 지역의 강제동원 관련 연구용역사업을 발주하여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제주도의 경우에도, 2018년부터 약 3년 3회에 걸쳐 제주도 출신의 강제동원 연구와 관련하여 도청에서 연구용역 사업을 발주하였다. 본 연구자도 여기에 자문으로 참여하여, 강제동원 관련 명부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관련 사업을 진행케 하였다. 향후 진행될 여러 지방 차원의 관련 연구에서도 이러한 방향 제시와 객관적인 데이터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관련 자료 수집 사업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강제동원 관련 자료는 대부분이 일본 지역에 소장되어 있으며, 국내에서 활용 가능한 자료는 매우 한정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 축적된 내용은, 향후 진행되어야 할 필요한 관련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자료수집 관련 연구용역 사업에 참여하여, 수집이 필요한 자료를 입수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강제동원 관련 각종 콘텐츠 개발의 기초 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색인어
  • 강제동원, 군속, 진수부, 경비부, 특설해군시설부, 시바우라해군시설보급부, 구일본해군 조선인 군속 관련 자료(2009), 고립 지역, 전멸 지역, 해군연료창, 광원, 연탄제조소, 공습, 평양(조선), 시메(후쿠오카), 도쿠야마(야마구치), 해군공보, 설영대, 해군공창, 영양실조, 아사, 자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