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잡 크래프팅과 직장 웰빙: 개인-직무 부합의 매개역할
Job crafting and Workplace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pf person-job fi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A8022430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1 년 (2017년 05월 01일 ~ 2018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최욱희
연구수행기관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환대산업에서 근로자의 자발적 직무개선 행동인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의 개념을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파악하고, 근로자의 개인-직무 부합(Person-job fit)과 직장 웰빙(Workplace well-being)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잡 크래프팅의 개념을 고찰하고 환대산업 근로자의 잡 크래프팅 행동을 파악하고 잡 크래프팅이 개인-직무 부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근로자의 개인-직무 부합이 직장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잡 크래프팅이 직장 웰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개인-직무 부합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환대산업 근로자들이 직무변화 행동을 통해 직무와 직장에 만족하고 행복한 삶의 가치를 누릴 수 있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근로자들의 행복감으로 인해 직장에 충성하고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는 직무환경의 기준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여점
    첫째, 환대산업 근로자의 자발적 직무개선 행동인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의 연구를 통해 국내 연구에서 아직 많이 다루어지지 못한 학문적 영역을 확장할 것이다.
    둘째, 선행된 조직연구에서 잡 크래프팅의 결과로 흔히 검증되고 있는 조직성과와 달리 근로자 개인의 정서적 태도 개념으로서의 직장 웰빙과의 관계를 도출할 것이다.
    셋째, 환대산업 조직연구에서 선행되지 못한 잡 크래프팅과 직장 웰빙의 관계에서 개인-직무 부합이라는 매개역할을 확인할 것이다.
    2) 실무적 기여점
    첫째, 환대산업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직무이탈 및 성과부진 근로자에 대한 조직의 역할 및 환경개선에 대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삶의 가치를 높여주는 직장에 대한 만족감을 증가시키기 위한 개인-직무 부합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할 것이다.
    3) 교육연계 방안
    개인 및 직무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무엇보다 중요한 환대산업 교육에 있어서 직무 수행 중 개인이 겪게 되는 다양한 감정과 관계를 극복할 수 심리적 정서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교육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4) 사회적 기여도
    사람과의 관계, 신체적 고된 업무 그리고 그에 비해 낮게 인식되는 처우 등으로 인해 환대산업에서 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근로자들의 잦은 이직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환대산업에서 근로자의 자발적 직무개선 행동인 잡 크래프팅(Job crafting), 개인-직무 부합(Person-job fit)과 직장 웰빙(Workplace well-being)과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재 국내 호텔에서 1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잡 크래프팅 행동이 개인-직무 부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개인-직무 부합은 직장 웰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개인-직무 부합이 잡 크래프팅과 직장 웰빙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적 고찰과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국내외 연구의 문헌적 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에 사용될 변수와 각 측정항목들을 환대산업 중, 호텔기업의 근로자에게 적용 가능하도록 예비설문조사를 통해 검토한 후, 가설 및 모형을 확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매개효과분석 및 동일방법편의검증을 실시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환대산업의 근로자들이 자발적 직무개선 활동인 잡 크래프팅을 통해 직장과 직무에 만족하고 성과를 달성하고 행복한 직장생활과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직무환경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조직의 근로자가 스스로 직무를 개선하기 위해 직무의 방법 등을 자발적으로 변화시키려는 활동으로 정의되는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자발적 업무개선 활동이 개인-직무 부합성과 개인의 삶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직장에서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국내 서울과 부산지역의 5성급 호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에 약 한달 기간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231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연구모형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개인-직무 부합성의 매개역할에 대한 검증은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방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잡 크래프팅의 3가지 방법으로 측정된 과업 크래프팅, 인지적 크래프팅, 관계적 크래프팅이 모두 개인-직무 부합성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1-1, H1-2, H1-3이 채택되었다. 그리고 개인-직무 부합성이 직장웰빙의 차원인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으로 긍정적 감정에 정의 방향으로 부정적 감정에 부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2와 H3도 채택되었다. 추가적으로 개인-직무 부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잡 크래프팅과 직장웰빙간의 관계에서 개인-직무 부합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환대산업의 근로자들이 자발적 직무개선활동인 잡 크래프팅을 통해 직장과 직무에 만족하고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며 행복한 직장생활과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직무환경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focuses on job crafting, which is defined as an activity in which an organization's employees voluntarily change the methods of their jobs in order to improve the job of the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se voluntary job improvement activities on person-job fit and their happiness at workplace that can give value to their lives. The survey of this study is for five-star hotel employees in Seoul and Busan during the period of October 2017. Ultimately, 231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nd analyzed.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tud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research model.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role of person-job fit was performed by bootstrapping.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that task crafting, cognitive crafting, and relational crafting, which were measured by the three methods of job crafting,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erson-job fit. So hypothesis H1-1, H1-2, and H1-3 were supported. Hypothesis H2 and H3 were also supported because person-job f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at positive affect positively impacted and negative affect negatively.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process in mediating the role of person-job fit was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workplace wellbeing. This study can provide the criteria for the job environment to enable the employees of the hospitality industry to satisfy their workplace and job, make achievements and have a happy work life as well as valuable life through job crafting, that is, voluntary job improvement activ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조직의 근로자가 스스로 직무를 개선하기 위해 직무의 방법 등을 자발적으로 변화시키려는 활동으로 정의되는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자발적 업무개선 활동이 개인-직무 부합성과 개인의 삶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직장에서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국내 서울과 부산지역의 5성급 호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에 약 한달 기간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231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연구모형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개인-직무 부합성의 매개역할에 대한 검증은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방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잡 크래프팅의 3가지 방법으로 측정된 과업 크래프팅, 인지적 크래프팅, 관계적 크래프팅이 모두 개인-직무 부합성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1-1, H1-2, H1-3이 채택되었다. 그리고 개인-직무 부합성이 직장웰빙의 차원인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으로 긍정적 감정에 정의 방향으로 부정적 감정에 부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2와 H3도 채택되었다. 추가적으로 개인-직무 부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잡 크래프팅과 직장웰빙간의 관계에서 개인-직무 부합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환대산업의 근로자들이 자발적 직무개선활동인 잡 크래프팅을 통해 직장과 직무에 만족하고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며 행복한 직장생활과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직무환경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조직의 근로자가 스스로 직무를 개선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변화하려는 활동으로 정의되는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자발적 업무개선 활동이 개인-직무 부합과 개인의 삶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직장에서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잡 크래프팅의 3가지 방법으로 과업 크래프팅, 인지적 크래프팅, 관계적 크래프팅이 모두 개인-직무 부합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에게 주어진 본연의 직무이외 업무의 영역을 넓히기 위해 노력하고 주어진 직무의 목적을 의미 있게 해석하며, 호텔기업 내에서 형성되는 관계에서 상호작용의 경계를 변화하려는 활동은 개인의 능력과 직무요구 간의 적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개인-직무 부합이 직장웰빙의 차원인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으로 긍정적 감정에 정(+)의 방향으로 부정적 감정에 부(-)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에게 적합한 직무를 맡으면 만족하고 몰입하게 되는 등 직장에서 긍정적인 감정을 갖게 되며, 자신에게 맞지 않은 직무를 맡으면 동기부여를 잃게 되어 부정적 감정이 생겨나고 자신의 직무에 몰입하기 어렵고 이직의도가 더 강하게 생겨난다(Tak, 2011)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추가적으로 개인-직무 부합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잡 크래프팅과 직장웰빙간의 관계에서 개인-직무 부합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잡 크래프팅과 직장웰빙의 긍정적 감정과의 관계에서 개인-직무 부합은 부분매개역할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감정과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역할로 나타났다. 즉 잡 크래프팅은 자신의 직무에 긍지와 가치를 인식하여 직접적으로 그리고 개인-직무 부합을 통해서 직장에 대한 즐거움이나 행복감을 가질 수도 있으며 반대로 동기부여가 결여되어 부정적인 감정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문적으로는 국내연구에서 특히 환대산업의 조직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되지 않은 잡 크래프팅의 연구를 통해 학문적 영역을 확장하였다, 또한 선행된 인사·조직 연구에서 잡 크래프팅의 결과변인으로 사용되는 조직성과와 달리 근로자 개인의 정서적 태도 개념으로서 직장웰빙이라는 변인과의 관계를 도출하였다. 실무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환대산업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직무이탈 및 성과부진 근로자에 대한 조직의 역할과 환경 개선에 대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삶의 가치를 높여주는 직장에 대한 만족감을 증가시키기 위해 개인-직무 부합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일시점으로 한정된 지역과 5성급 호텔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개인-직무 부합은 객관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향 후 연구에서는 개인특성과 환경특성으로 비교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측정될 필요가 있다. 향 후 잡 크래프팅 행동의 차원에 대해서도 지속적이고 깊이 있는 질적 연구를 통해 다양한 차원을 도출해내고 잡 크래프팅의 결과변인들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새로운 변인을 찾기 위한 히도를 통해 관련 연구를 더욱 확장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향 후 확장된 연구로서 잡 크래프팅의 또 다른 차원에서의 접근으로 Bakker & Demeroui(2008)의 연구에서 제시된 직무요구-자원모델(JDR)을 기반으로 한 개별적 크래프팅과 협력적 크래프팅의 차원으로 잡 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역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들의 관계에서 본 연구의 매개역할을 한 개인-직무 부합의 변수의 조절역할도 추가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 색인어
  • 잡 크래프팅, 과업 크래프팅, 인지적 크래프팅, 관계적 크래프팅, 개인-직무 부합성, 직장웰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