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의사소통적 사회자본(communicative social capital)과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ve theory)의 통합을 통한 조직명성회복모델 개발연구
A study on developing organizational reputation restoration model based on the integration of communicative social capital and social cognitive theor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학술연구교수(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B5A02026015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3 년 (2017년 07월 01일 ~ 202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수진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최근‘국정농단’으로 불린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는 정치, 경제, 사회와 문화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많은 국민적 갈등과 분열 그리고 관련 집단의 몰락을 가져왔다. 소위 “최순실 사태”라고 불리는 이 사건은 정계와 기업을 넘어 학계까지 연루된 불신과 비난의 정서를 자아냈다. 이와 관련하여 전년도 말에 이루어진 한국사회여론연구소(2016)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추구해야 할 최우선 가치는 ‘공정성(17.9.%)’과 ‘민주주의(16.4%)이다. 국정농단사태에 분노한 국민들이 공정성과 민주주의라는 가치 회복이 최우선으로 믿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자는 사회적 병폐와 분열을 막고 우리 사회가 추구해야 할 최우선적 가치 회복 즉, 공정성과 민주주의의 실천을 위하여 무엇보다 대(對)정부, 대(對)기업 심지어 대인(對人) 간에 손상된 신뢰와 조직의 고유한 명성을 회복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점에 착안했다. 공정성과 민주주의라는 가치 회복을 위해서는 애초에 조직이 보유하고 있었던 긍정적 이미지를 되찾고자 하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하고 이 점에서 잃어버린 가치의 회복 즉 정부와 기업의 명성회복이 시급하다고 제안한다.
    명성(reputation)은 흔히 평판이라는 용어와 혼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정의는 두 가지로 꼽을 수 있다 (차희원, 2015). 첫째는 경영학적 관점에서 명성을 조직의 특성(정체성)에 기반하여 얻게 되는 외부 평가이며 긍정적인 조직의 자산으로 보는 경향이 강한 반면 두 번째 정의는 사회학적 관점에서 조직 외부의 비평과 판단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학계에 따라 명성에 대해서는 다양한 관점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PR과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명성을 연구한 학자들의 논의를 중심으로 하고자 한다.
    PR학과 커뮤니케이션학 영역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이 핵심적 중심적 역할을 수행했다기 보다는 다른 명성 연구들처럼 하나의 상황적 변수나 전략적, 기능적 변수로 연구되어온 경향이 있다 (차희원, 2015). 반릴과 폼브런은 커뮤니케이션이 조직 명성에 있어서 핵심적인 생명혈(lifeblood)의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지만 그들 또한 커뮤니케이션을 조직 명성을 지원해주는 조직 중심적, 성과적, 기능적 변수로 다루고 있다. 뿐만 아니라 명성관련 대부분의 연구들은 조직명성과 기업의 경제적 성과 측면과의 관련성(유선욱, 2013), 조직명성에 대한 공중의 인식에 대한 연구들(강문정, 차희원, 2007; 이정화, 차희원, 2008; 차희원, 2006) 또는 조직명성과 조직위기와의 관련성 (서지원, 차희원, 2010; 한정호, 조삼섭, 2009)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엇보다도 명성회복이라는 점에 강조점을 두고 명성이라는 조직의 자산과 공중의 인식이 결합하여 생성된 명성이 회복되고 변화할 수 있는가에 문제제기를 한다. 명성구축과 명성관리가 하나의 알고리듬으로 진행해 나갈 수 있는 반면 명성회복은 또 다른 난제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커뮤니케이션을 가장 중요한 핵심 변수로 규정하고 명성을 형성하고 강화하며 회복하는데 있어서 커뮤니케이션이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지 그 주요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명성과 관련된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요소와 특징을 구체화하고 의사소통적 사회자본(communicative social capital)과 사회인지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명성회복을 위한 모델 개발을 하고 나아가 한국적 특성을 반영한 모델 정립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 결과에 대한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문적 차원에서 한국사회에서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한국사회에서 개인과 조직 간의 연결망,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관계의 특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에 기여할 것이다. 개인 수준에서 의사소통적 사회자본과 조직 차원에서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에 대한 차별화된 개념화가 가능할 것이고 명성명성회복모델구축에 구체적인 핵심 연결고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사회자본이 그 해석과 측정 그리고 실제에 있어 많은 의문을 제공하는 비판과 더불어 “의견이 분분한 개념(contested concept)”이라는 점을 볼 때 (Portes,1998), 우리나라 상황에서 명성회복의 선행요건으로서 필요한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구성요소를 규명하는 것은 가장 큰 학문적 기여일 것이다.
    둘째, 사회인지이론의 접목을 통하여 명성회복모델을 개발함에 있어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사회인지이론의 관련성을 검토하는 것 또한 학문적 기대효과의 하나이다. 지금까지 연구에서는 사회인지이론을 구성하는 주요한 개념인 모델링과 효능감을 개별 변수로 하여 행동변화의 동기로 검토한 것이 대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의 커뮤니케이션적 특성의 발현을 돕고 시너지를 일으키는 인간행위자(human agency)의 관점이 조직의 명성회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할 것이다. 즉 의사소통적 사회자본과 사회인지이론의 접목과 통합을 통해 개인과 조직이 명성회복을 실천할 수 있는 기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규명함으로써 사회적 문제와 관련한 명성회복의 주체가 되는 조직은 실효성 있는 커뮤니케이션 전략 구성에 대한 함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학문적 기여는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개념과 사회인지모델의 접목과 통합을 통한 이론적 확장을 들 수 있다. 사회자본은 다양한 차원과 구성 요소를 지니고 있으므로 선행 연구들이 제시한 측정 방식 역시 포괄적이지 못했다. 특히 서구 사회에서 상황적 변수와 더불어 개념화된 사회자본의 측정문항을 우리나라 상황 특히 명성회복을 위한 차원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PR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구체화된 의사소통적 사회자본과 사회인지이론의 접목을 통한 이론적 확장은 후속 연구의 초석을 제공하고 나아가 PR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명성연구의 외연을 확장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특히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문제해결의 전략도출은 실무와도 직결된 부분으로 이 점에서 학문적 기대효과는 사회적 기대효과와 연계된다.
    다음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한 사회적 기대효과는 실무차원의 효과와 직결된다. 먼저 본 연구를 통해 구성된 명성회복모델의 검증은 우리나라 사회에 공정성과 민주주의 가치를 되찾고자 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명성회복을 위해서는 다양한 조직이 저마다 보유한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것이 구동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경로를 통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명성회복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위기관리전략의 한계를 보완하는 구체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아울러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명성회복모델은 조직차원의 변수와 개인차원의 변수를 모두 포괄하고 있으므로 조직 주체로서 또는 개인 주체로서 어떻게 대화와 소통을 해야 할 것인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활용과 효능감의 증진과 같이 조직변수(커뮤니케이션 채널)와 개인변수(복합적 모델링) 간의 관련성 입증을 통해 조직의 입장에서는 공중에게 구체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실행할 수 있고, 공중의 입장에서는 명성회복이 필요한 조직에 대한 대화와 소통의 접근성이 향상될 것이다.
    이러한 기대효과를 지니고 연구과정에서 이론적 논란이 많은 개념에 대한 연구를 보강하여 관련 커뮤니케이션 저널에 게재를 시도하고 특히 한국적 상황에 대한 함의를 더하여 SSCI 저널에 투고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에서 주도적으로 이론을 보완하고 확장하여 새로운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연구를 통해 다양한 국내 및 해외학술지에 발표함으로써 이론적 정립을 도모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명성회복모델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현재 사회적 상황에서 다양한 조직이 직면한 문제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민관 프로젝트를 통해 문제해결이 필요한 조직의 상황을 검토하고 명성회복모델을 적용하여 수정과 보완의 기회를 확충하는 등 연구결과를 통한 후속연구를 확장하고자 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의사소통적 사회자본과 사회인지이론을 통합한 명성회복모델 개발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사회자본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정의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사회자본의 커뮤니케이션 차원과 사회인지이론의 연계성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 명성 연구는 학문적 관점, 즉 경영학/마케팅 학자들이 명성을 조직의 특성(정체성)에 기반하여 얻게 되는 외부 평가이며 긍정적인 조직의 자산으로 보는 관점과 사회학적 관점에서 명성 보다는 ‘평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학자들이 조직 외부의 비평과 판단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한 다양한 연구들을 검토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명성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과 이론들은 단지 관점이나 이론의 차이뿐만 아니라 연구목적과 연구 대상의 수준도 다르기 때문에 명성 구축과 관리의 차원에 있어서도 각각 다른 측면에 초점을 맞출 수밖에 없다. 각각 다른 수준에서 개인, 공중, 조직, 나아가 정부와 같은 사회적 수준의 커뮤니케이션과 명성연구가 진행되다 보니 명성회복은 위기관리의 한 부분으로만 다루어질 수밖에 없는 한계도 있다. 명성연구 특히 명성 구축과 관리와 관련하여 기업형성모델(Dowling, 2006)을 포함하는 다양한 모델들을 검토하고 명성회복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 발전시킴으로써 위기관리의 한 부분을 넘어서는 거시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명성회복모델 개발에 있어 개인공중과 조직공중의 특성 특히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의사소통적 사회자본 개념의 연계성을 검토한다. 사회자본 역시 명성이라는 개념만큼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연구되어 온 주제이지만 혼재된 개념적 논란으로 인해 합의된 정의는 부재한 상황이다. 많은 학자들이 사회자본의 개념을 더더욱 풍성하게 하였지만 신뢰(trust),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 규범(norm), 시민참여(civic engagement) 등은 사회자본의 공통적인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통해 규명된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보편적 구성요소 외에 사회자본 개념이 보유한 사회네트워크, 즉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적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서 한국인의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명성회복모델 개발을 위한 이론적 통합에 있어 사회인지모델의 유용성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인지이론의 핵심인 상호결정론과 효능감은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실천을 동기화할 수 있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고 특히 효능감의 경우 행동변화를 목표로 한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3개의 연구문제를 도출하였고 각각의 연구문제를 통해 조직의 명성회복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모델의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1단계에서는 <연구문제 1>의 명성과 사회자본의 관련성, 구체적으로 명성회복과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규명에 초점을 맞추고 문헌연구를 통해 명성회복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구체화한다. 특히 경영학과 사회학을 포함하는 인접학문의 관련 연구를 검토하고 커뮤니케이션학에서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조작적 정의를 위해 도입할 수 있는 선행연구들을 세밀하게 검토한 후 측정 문항을 도출하고 일반인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분석방법으로는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구조적 특성을 알기위한 네트워크분석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결속과 중심성 지표 그리고 네트워크가 갖는 속성 지표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구조적 차원을 밝힌 후, 측정 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다.
    2단계에서는 <연구문제 2>와 관련된 명성회복모델 개발에 있어 사회인지이론의 관련성을 검토하는데 주력한다. 1단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사소통적 사회자본과 사회인지이론을 구성하는 변수들의 관련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한다. 구축된 명성회복모델에서 활성화된 경로를 찾는 작업을 우선적으로 시행하고 이 후 외부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실제 모델의 실효성을 검증할 것이다. 3단계에서는 1단계 네트워크 분석결과와 2단계에서 구성된 명성회복모델에 한국적 특성 변수를 보완하여 한국형 모델을 정립하고자 한다. 명성회복을 촉진하거나 저해할 수 있는 정(情), 의리(義理)와 같은 한국적 특성 변수의 종류를 먼저 검토하고 이러한 요소와 집단효능감이나 복합적 모델링이라는 사회인지이론의 관련성을 검토함으로써 좀 더 한국 상황에 맞는 명성회복모델로 보완하는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의사소통적 사회자본과 사회인지이론을 통합한 명성회복모델 개발에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명성회복모델 개발에 있어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의사소통적 사회자본 개념의 연계성을 검토한다. 사회자본 역시 명성이라는 개념만큼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연구되어 온 주제이지만 혼재된 개념적 논란으로 인해 합의된 정의는 부재한 상황이다.
    사회자본의 측정에 대한 문제 또한 개념에 대한 혼란과 관련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들은 사회자본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초이면서 동시에 그것을 통해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효과이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준웅, 김은미, 문태준, 2005). 포르테스(Portes, 1998)는 사회자본을 표현하는 데에는 늘 세 가지 양상이 함께 존재한다고 설명하였는데 그것은 집단성과 신뢰와 같이 사회자본으로 이끄는 사회적 과정, 사회자본 그 자체, 그리고 사회자본의 결과이다. 이는 앞 서 이준웅 외(2005)가 지적한 바와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많은 학자들이 사회자본의 개념을 더더욱 풍성하게 하였지만 신뢰(trust),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 규범(norm), 시민참여(civic engagement) 등은 사회자본의 공통적인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통해 규명된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보편적 구성요소 외에 사회자본 개념이 보유한 사회네트워크, 즉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적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서 한국인의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명성회복모델 개발을 위한 이론적 통합에 있어 사회인지모델의 유용성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인지이론의 핵심인 상호결정론과 효능감은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실천을 동기화할 수 있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고 특히 효능감의 경우 행동변화를 목표로 한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단계별 연구문제를 도출하였고 각각의 연구문제를 통해 조직의 명성회복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모델의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1차년도에서는 명성과 사회자본의 관련성, 구체적으로 명성회복과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개념화에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정부조직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으로 개념화하여 대화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한 정책소통지수를 개발했다. 또한 정부조직의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특성은 상호성과 개방성으로 구성되며 상호성과 개방성은 정부부처의 정책지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요한 의미를 도출했다.
    2차년도에서는 사회인지이론의 관련성 특히 명성회복이 필요한 상황에서 효능감과 문화적 특성의 관련성에 대한 검토에 주력했다. 회복은 회복이 필요한 문제상황 또는 이슈에서 시작된다는 점, 회복의 기제는 문화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위험의 문화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를 통해 이슈유형별로 발현되는 효능감은 다를 수 있지만, 자기효능감, 반응효능감, 집단효능감 중에서 정책지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효능감은 자기효능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주의, 운명주의, 평등주의, 개인주의 중에서 정책지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편향은 평등주의로 나타났다. 2차년도에 수행한 연구결과의 의미는 조직특성과 집단효능감, 자기효능감, 반응효능감의 관련성을 위험의 문화이론을 연계하여 고찰한 데 있다. “회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요소로서 효능감과 문화적 편향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정책순응과 지지를 구분함으로써 전략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함의를 제공한 것도 실무적 의미라고 할 수 있다.
    3년차 연구는 조직명성회복 모델 구축을 위해 조직유형을 정부기관으로 설정하고 정부기관 명성의 개념과 차원을 검토하는데 주력했다. 이를 위해 첫째, 해외 및 국내 문헌연구를 통해 비영리기관, 공공기관 및 정부기관 명성 개념과 차원을 검토했다. 둘째, 학계와 업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우리나라 정부기관 유형과 커뮤니케이션 등 조직명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에 대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했다. 셋째, 문헌 연구와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국의 정부기관 명성을 나타내는 문항들을 도출하여 설문을 진행했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정부기관 명성지수를 구축했고, 타당도를 검증했다. 마지막으로, 정부기관 명성지수와 정부기관 신뢰와 정책지지의 인과관계 검증을 통해 정부기관 명성회복을 위한 포괄적 모형을 제시했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eputation recovery model that integrates communicative social capital and social cognitive theory. To this end, first, in the development of the reputation recovery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concept of communicative social capital is reviewed. And though social capital seems popular research subject, consensus definition on social definition is absent due to mixed conceptual controversy.
    The problem of measuring social capital is also related to confusion about the concept, and some point out that these problems are because social capital is the basis of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effects through it (J. Lee, E. Kim, & T. Moon, 2005). Portes (1998) explained that there are three aspects of expressing social capital, which are the result of social capital, social capital itself, and social capital that lead to social capital such as collectiveness and trust. This can be said to be in the same context as pointed out earlier by J. Lee and others (2005).
    Although many scholars have enriched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trust, social network, norm, and civic engagement are common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Therefore, this researcher examines the structure of communication, that is, the social network possessed by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in addition to the universal elements that constitute social capital identifi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hrough thi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ve social capital of Koreans in Korean society.
    Nex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usefulness of the social cognitive model in the theoretical integ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putation recovery model. Mutual determinism and sense of efficacy, the core of social cognitive theory, can act as variables that can synchronize the practice of communicative social capital. In particular, the sense of efficacy is applied in various ways to communication situations aimed at behavior change. Based on these discussions, research questions were derived for each stage,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was verified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organization's reputation recovery model through each research question.
    In the first year,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the relevance between reputation and social capital, specifically the restoration of reputa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communicative social capital. In particular, by conceptualizing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 organizations as communicative social capital, a policy communication index based on dialogue communication was developed. In addition, the main meaning of the communicative social capital of a government organization is that it is composed of reciprocity and openness, and that reciprocity and openness have an effect on policy support of government ministries.
    In the second year, we focused on examining the relevance of social cognition theory, especially the relevance of the sense of efficac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situations where reputation recovery is necessary.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cultural theory of risk, focusing on the fact that recovery starts from a problem situation or issue that requires recovery, and that the mechanism of recovery can proce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ultural situation. Although the efficacy expressed by the type of issue may be different through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mong the self-efficacy, reaction efficacy, and group efficacy, the sense of efficacy that most influenced policy support was self-efficacy. Among hierarchicalism, fateism, egalitarianism, and individualism, the cultural bias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policy support was egalitarianism.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results conducted in the second yea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group efficacy, self-efficacy, and reaction efficacy in connection with the cultural theory of risk. As a communication element for “recovery”, it can be said that it has practical meaning to provide implications for strategic communica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and cultural bias, and distinguishing policy compliance and support.
    The third-year study focused on establishing the organization type as a government institution and reviewing the concept and dimension of the reputation of the government institution in order to establish a model to restore organizational reputation. To this end, first, the concept and dimension of reputation of non-profit institutions, public institutions, and government institutions we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studies abroad and in Korea. Second, through interviews with academic and industry exper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factors that can affect the reputation of the organization, such as the type of government agency in Korea and communication. Thir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y deriving items representing the reputation of Korean government agenci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 government agency's reputation index was established and the validity was verified. Finally, a comprehensive model for restoration of the reputation of government agencies was presented by verify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gency reputation index and government agency trust and policy suppor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적 사회자본과 사회인지이론을 통합한 명성회복모델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기존의 명성관련 연구를 검토하고 회복의 기전에서 어떤 관점이 필요한지 검토한다. 둘째, 명성회복모델 개발에 있어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의사소통적 사회자본 개념의 연계성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명성회복모델 개발을 위한 이론적 통합에 있어 사회인지모델의 유용성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인지이론의 핵심인 상호결정론과 효능감은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실천을 동기화할 수 있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고 특히 효능감의 경우 행동변화를 목표로 한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단계별 연구문제를 도출하였고 각각의 연구문제를 통해 조직의 명성회복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모델의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1차년도에서는 명성과 사회자본의 관련성, 구체적으로 명성회복과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개념화에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정부조직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으로 개념화하여 대화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한 정책소통지수를 개발했다. 또한 정부조직의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특성은 상호성과 개방성으로 구성되며 상호성과 개방성은 정부부처의 정책지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요한 의미를 도출했다.
    2차년도에서는 사회인지이론의 관련성 특히 명성회복이 필요한 상황에서 효능감과 문화적 특성의 관련성에 대한 검토에 주력했다. 회복은 회복이 필요한 문제상황 또는 이슈에서 시작된다는 점, 회복의 기제는 문화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위험의 문화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를 통해 이슈유형별로 발현되는 효능감은 다를 수 있지만, 자기효능감, 반응효능감, 집단효능감 중에서 정책지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효능감은 자기효능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주의, 운명주의, 평등주의, 개인주의 중에서 정책지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편향은 평등주의로 나타났다. 2차년도에 수행한 연구결과의 의미는 조직특성과 집단효능감, 자기효능감, 반응효능감의 관련성을 위험의 문화이론을 연계하여 고찰한 데 있다. “회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요소로서 효능감과 문화적 편향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정책순응과 지지를 구분함으로써 전략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함의를 제공한 것도 실무적 의미라고 할 수 있다.
    3년차 연구는 조직명성회복 모델 구축을 위해 조직유형을 정부기관으로 설정하고 정부기관 명성의 개념과 차원을 검토하는데 주력했다. 이를 위해 첫째, 해외 및 국내 문헌연구를 통해 비영리기관, 공공기관 및 정부기관 명성 개념과 차원을 검토했다. 둘째, 학계와 업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우리나라 정부기관 유형과 커뮤니케이션 등 조직명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에 대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했다. 셋째, 문헌 연구와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국의 정부기관 명성을 나타내는 문항들을 도출하여 설문을 진행했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정부기관 명성지수를 구축했고, 타당도를 검증했다. 마지막으로, 정부기관 명성지수와 정부기관 신뢰와 정책지지의 인과관계 검증을 통해 정부기관 명성회복을 위한 포괄적 모형을 제시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년차 연구수행내용은 명성과 의사소통적 사회자본의 관련성에 대한 것이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명성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자본 즉 조직의 의사소통적 사회자본 특성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정부 조직-국민 간 의사소통을 정책 소통의 상황에 적용하여 정책 소통과 정책 지지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에서는 대화커뮤니케이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정부조직의 커뮤니케이션 차원을 규명하고 정책소통지수개발을 진행했다. 연구결과, 대화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한 정부조직의 커뮤니케이션은 개방성과 상호성 차원으로 나타났다. 상호성과 개방성은 각각 협동성, 의미공유, 상호 보완성, 반응성, 존중과 공감의 하위 차원을, 접근성과 진실성, 그리고 투명서의 하위차원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정부기관의 정책소통지수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했고, 성격이 다른 두 개 정부조직의 정책비교를 통해 조직의 의사소통과 명성의 관련성에 대한 함의를 얻었다.
    2차 년도 연구내용은 사회인지이론의 주요 개념인 효능감을 “회복”과 연관짓는데 있다. 즉 조직의 명성을 회복하는데 있어 집단의 효능감이라는 것이 어떠한 기능과 역할을 검토하기 전에 회복의 개념화와 집단효능감의 재해석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적 상황에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명성회복이 필요한 이슈는 조직의 위기와 관련된 부분에 있다는 점, 조직의 위기 이슈는 사회 환경적 위험커뮤니케이션 이슈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위험의 문화이론(cultural theory of risk)을 2차 년도 연구의 주요한 이론적 틀로 포함했다. 이 연구에서는 정책이슈로 기후변화 대응정책을 선정했고 문화적 편향과 집단효능감, 자기효능감, 반응효능감이 정책순응과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2차년도에 수행한 연구결과의 의미는 조직특성과 집단효능감, 자기효능감, 반응효능감의 관련성을 위험의 문화이론을 연계하여 고찰한 데 있다. “회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요소로서 효능감과 문화적 편향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정책순응과 지지를 구분함으로써 전략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함의를 제공한 것도 실무적 의미라고 할 수 있다.
    3년차 연구는 조직명성회복 모델 구축을 위해 조직유형을 정부기관으로 설정하고 정부기관 명성의 개념과 차원을 검토하는데 주력했다. 이를 위해 첫째, 해외 및 국내 문헌연구를 통해 비영리기관, 공공기관 및 정부기관 명성 개념과 차원을 검토했다. 둘째, 학계와 업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우리나라 정부기관 유형과 커뮤니케이션 등 조직명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에 대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했다. 셋째, 문헌 연구와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국의 정부기관 명성을 나타내는 문항들을 도출하여 설문을 진행했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정부기관 명성지수를 구축했고, 타당도를 검증했다. 마지막으로, 정부기관 명성지수와 정부기관 신뢰와 정책지지의 인과관계 검증을 통해 정부기관 명성회복을 위한 포괄적 모형을 제시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정부기관의 명성은 모두 4개 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전, 능력, 공정, 정서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되며 비전, 능력, 공정은 4개의 하위 차원을 지니며 정서는 3개의 하위차원을 지닌다. 이로써 정부기관 명성지수는 모두 4개 요인 15개 지표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타당도 검증의 일환으로 인과관계분석을 하여 구성타당도를 확보했다. 이로써 정부기관 명성회복을 위해서는 기업명성의 차원과는 차별화되어야 하는 조직의 비전과 공정, 능력과 정서적 요인에 대한 우선순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확인했다.
    연구결과의 활용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소통지수와 정부기관 명성지수의 활용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정부기관 명성지수를 활용해 개별 정부부처 및 산하기관의 명성을 측정함으로써 명성회복에 대한 진단을 얻고 방향을 꾀할 수 있다. 특히 4개 요인의 하위차원 측정 지표를 통해 구체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청사진을 얻을 수 있다.
    첫 번째 활용계획이 정부기관 소통지수의 실용적 활용가능성에 대한 실용적 의미와 관련된 것이라면 두 번째 활용계획은 정부기관 소통지수의 표준화된 도구로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학문적 의미와 관련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정부기관 소통지수가 표준화된 지표로서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부기관에 적용하여 실제 측정을 통해 명성과 신뢰 그리고 정책지지간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등의 일관적인 경로를 구성하여 검증함으로써 예측타당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 색인어
  • 명성, 의사소통적 사회자본, 대화커뮤니케이션, 상호성, 개방성,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 반응효능감, 문화적 편향, 정부신뢰, 정책지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