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전단계 남성의 장기간 운동이 일일주기에 따른 NF-kb p65, 혈압, 심박수의 dipping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ronic exercise on dipping of NF-κB p65, blood pressure, heart rate with circadian rhythm of pre hypertensive males
본 연구의 목표는 고혈압 전 단계에 속하는 30-40세의 남성을 대상으로 첫째, 일회성운동과 회복에 따라 순환기능인 혈압과 심박수와 NF-κB p65가 어떻게 변화를 하고, 둘째, 일회성운동과 회복에 따라 순환기능인 혈압과 심박수, NF-κB p65의 dipping이 나타나는 지를 관 ...
본 연구의 목표는 고혈압 전 단계에 속하는 30-40세의 남성을 대상으로 첫째, 일회성운동과 회복에 따라 순환기능인 혈압과 심박수와 NF-κB p65가 어떻게 변화를 하고, 둘째, 일회성운동과 회복에 따라 순환기능인 혈압과 심박수, NF-κB p65의 dipping이 나타나는 지를 관찰하고 셋째, 이러한 일일주기에 따른 dipping이 훈련에 의해 변화를 보이는지를 규명하고, 넷째, 순환기능과 NF-κB p65는 서로 관련이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기대효과
고혈압은 높은 사망률과 관련된 심혈관질환의 일종으로 산업화와 생활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노출될 위험성이 높은 것은 물론 실제 상당수의 사람들이 고혈압을 앓고 있다. 운동이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수행된 이전의 연구는 너무 단순하고 진부한 것이 대부분 ...
고혈압은 높은 사망률과 관련된 심혈관질환의 일종으로 산업화와 생활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노출될 위험성이 높은 것은 물론 실제 상당수의 사람들이 고혈압을 앓고 있다. 운동이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수행된 이전의 연구는 너무 단순하고 진부한 것이 대부분이며 그렇다 보니 일반인은 물론 질환자나 관련 학문에서도 중요하게 인식되지 못했다. 그렇지만 본 연구는 시도되지 않았던 새로운 일일주기에 따른 운동의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이며 여기에서 축적된 새로운 지식은 학문분야는 물론 건강단체, 질환자, 관련 지도자에게도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여 사회적으로도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파생되는 새로운 변인의 연구도 이루어져 학문분야의 활성화는 물론 새로운 지식을 더욱 축적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소외된 건강관련 체육 분야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요약
본 연구는 일회성운동과 장기간운동이 운동직후와 회복기 일일주기에 따른 dipping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균연령 30-40세의 고혈압 전 단계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훈련군 18명, 대조군 18명으로 나 ...
본 연구는 일회성운동과 장기간운동이 운동직후와 회복기 일일주기에 따른 dipping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균연령 30-40세의 고혈압 전 단계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훈련군 18명, 대조군 18명으로 나눌 것이다. 훈련은 12주 동안, 30분간의 유산소운동을 주당 3일 수행할 것이다. 대조군은 12주 동안 일상적인 생활을 하도록 할 것이다. 측정변인은 순환기능인 혈압과 심박수, 유전변인인 NF-κB p65로 할 것이다. 일일주기에 따른 각 변인의 dipping상태는 07:00시와 19:00시의 측정치간의 차이로 할 것이다. 변인의 측정은 처치전과 30분간의 유산소운동직후, 회복기에 이루어질 것이다. 구체적으로 유산소운동은 최대심박수의 70-75%에서 30분간 일회성 최대하운동을 수행할 것이다. 회복기 변인의 측정은 혈압의 경우 회복 5, 10, 15, 20분, 심박수는 회복 1, 2, 3분, NF-κB p65는 회복 60분에 이루어질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압, 심박수, 혈당 및 초등 체조 선수의 체력에 대한 24 시간 리듬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9명의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하버드 스텝 테스트 (Harvard step test)는 운동과 회복으로 인한 변화를 관찰하는 데 사용되었다. 모든 매개 변수(체 ...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압, 심박수, 혈당 및 초등 체조 선수의 체력에 대한 24 시간 리듬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9명의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하버드 스텝 테스트 (Harvard step test)는 운동과 회복으로 인한 변화를 관찰하는 데 사용되었다. 모든 매개 변수(체력을 제외하고)는 운동 및 회복 기간 직후에 측정되었다. 회복 시간은 혈압에서 10분, 심박수에서 1분, 혈당에서 30 분이었다. 신체 건강 아이템은 팔 굽혀 펴기와 윗몸 일으키기였다. 피험자는 각각 08:00시와 18:00시에 각각의 변수를 측정 하였다. 일일 사이클에 따른 혈압의 유의 한 차이는 없었지만, 휴식, 회복 및 운동 후 운동은 오전보다 오후에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심박수의 경우, 운동 직후 회복기에 일일주기와 dipping이 발생하였다. 휴식과 회복기에 아침은 오전보다 높았지만 운동 직후 아침은 오후보다 낮았다. 혈당의 경우, 30 분의 회복 기간에 상당한 주기적 리듬과 dipping이 발생하였다. 팔굽혀펴기와 윗몸 일으키기 사이의 주기 리듬에는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체조 선수가 독특한 일일주기와 dipping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주며, 이것이 어떻게 그들에게 영향을 주는지를 결정하는 본 연구에서 규명하기 어렵다.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rcadian rhythm on blood pressure, heart rate, blood glucose, and physical fitness of elementary school gymnastic players. Nin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rvard step test was us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rcadian rhythm on blood pressure, heart rate, blood glucose, and physical fitness of elementary school gymnastic players. Nin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rvard step test was used to observe changes with exercise and recovery. All parameter(except physical fitness) were measured at rest,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recovery period. The recovery time was 10minutes in blood pressure, 1minute in heart rate, and 30minutes in blood glucose. physical fitness items were push-ups, and sit-ups. Subjects measured each parameter at 08:00hour and 18:00hour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pressure according to the daily cycle, but the rest, the recovery, and the post - exercise tended to be higher in the afternoon than in the morning. In the case of heart rate, daily cycle and dipping occurred in recovery period immediately after exercise. In the resting and recovery periods, the morning tended to be higher than the afternoon, but the morning immediately after the exercise was lower than the afternoon. In the case of blood glucose, a significant periodic rhythm and dipping occurred at 30 minutes of recover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ycle rhythm between push up and sit –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gymnasts have a unique daily cycle and dipping, an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how this affects them.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clarify more clearly.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압, 심박수, 혈당 및 초등 체조 선수의 체력에 대한 24 시간 리듬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9명의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하버드 스텝 테스트 (Harvard step test)는 운동과 회복으로 인한 변화를 관찰하는 데 사용되었다. 모든 매개 변수(체 ...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압, 심박수, 혈당 및 초등 체조 선수의 체력에 대한 24 시간 리듬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9명의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하버드 스텝 테스트 (Harvard step test)는 운동과 회복으로 인한 변화를 관찰하는 데 사용되었다. 모든 매개 변수(체력을 제외하고)는 운동 및 회복 기간 직후에 측정되었다. 회복 시간은 혈압에서 10분, 심박수에서 1분, 혈당에서 30 분이었다. 신체 건강 아이템은 팔 굽혀 펴기와 윗몸 일으키기였다. 피험자는 각각 08:00시와 18:00시에 각각의 변수를 측정 하였다. 일일 사이클에 따른 혈압의 유의 한 차이는 없었지만, 휴식, 회복 및 운동 후 운동은 오전보다 오후에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심박수의 경우, 운동 직후 회복기에 일일주기와 dipping이 발생하였다. 휴식과 회복기에 아침은 오전보다 높았지만 운동 직후 아침은 오후보다 낮았다. 혈당의 경우, 30 분의 회복 기간에 상당한 주기적 리듬과 dipping이 발생하였다. 팔굽혀펴기와 윗몸 일으키기 사이의 주기 리듬에는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체조 선수가 독특한 일일주기와 dipping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주며, 이것이 어떻게 그들에게 영향을 주는지를 결정하는 본 연구에서 규명하기 어렵다.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초등학교 체조선수를 대상으로 일회성운동에 따른 일일주기와 dipping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새로운 발견은 심박수의 경우 운동직후 회복기에서 주기리듬과 dipping이 나타난다는 점과 혈중당의 경우 회복기에서 일일주기와 이에 따른 dipping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또한 ...
초등학교 체조선수를 대상으로 일회성운동에 따른 일일주기와 dipping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새로운 발견은 심박수의 경우 운동직후 회복기에서 주기리듬과 dipping이 나타난다는 점과 혈중당의 경우 회복기에서 일일주기와 이에 따른 dipping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또한 심박수의 경우 안정 시와 회복기에 비해 운동직후 전혀 반대의 dipping이 나타났다는 점이다. 다른 특이한 발견으로 성장기 체조선수의 경우 혈압의 주기리듬이 선행연구와 다른 변화양상을 보였다는 점이다. 이것은 성장기 체조선수의 경우 다른 일일주기적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체조선수들의 경우 특이한 일일주기와 dipping이 나타나며 이것이 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본 연구만으로 규명하기 어려우며 보다 명확한 규명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일일주기는 인체의 건강은 물론 몸의 적절한 상태나 경기력향상을 위해서도 아주 중요하다. 많은 연구들이 운동선수들의 경기력향상을 위하여 생리적, 운동방법적 측면으로 접근하고 있다. 그렇지만 운동선수들의 적절한 상태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더욱이 성장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더더욱 찾기 힘들다. 이러한 측면에서 일일주기에 따른 생리적, 체력적 변화를 관찰하는 본 연구는 운동선수들이 운동을 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최신의 몸의 상태를 만들고 훈련이나 경기를 수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운동을 수행하는 선수나 지도자들에게도 새로운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서 학문적, 사회적으로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을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