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이주여성의 뷰티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ing Beauty Services of Migrant Wome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B5A07062512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1 년 (2017년 09월 01일 ~ 201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최재민
연구수행기관 성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우리나라에 체류하는 외국인주민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우리나라가 직면하고 있는 저출산․고령화사회라는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할 때 지속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에 체류하는 외국인주민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 이주여성 역시 증가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필연적으로 뷰티산업과 관련을 가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주여성의 뷰티성향과 니즈를 파악한 후 이들의 니즈에 맞는 서비스제공 및 마케팅전략을 강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주여성의 뷰티서비스 이용실태와 뷰티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이주여성의 뷰티서비스 이용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뷰티서비스의 다양한 유형 중 이 연구는 피부관리, 메이크업, 헤어, 성형, 체형관리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한 후 해당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이주여성의 뷰티서비스 관련 마케팅 전략을 제언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첫째, 이주여성의 뷰티서비스 이용실태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가 수행될 경우 내국인과 이주여성 간 뷰티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다양한 문화와 뷰티서비스 이용 행태 간 관계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각 뷰티서비스 유형별로 서비스를 선택하는 이유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바 마케팅전략 역시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결정요인의 차이뿐만 아니라 상대적인 강도의 차이 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케팅전략 강구 시 연구결과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연구결과는 뷰티관련 마케팅 과목과 연계하여 강의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변수들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국내외 여성들의 뷰티서비스 결정요인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여성의 뷰티서비스 이용실태와 뷰티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뷰티서비스 관련 소수의 연구들이 마케팅전략과 연계할 수 있는 변수들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보완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특정 뷰티서비스에 한정하지 않고 피부관리, 메이크업, 헤어, 성형, 체형관리 등과 같이 다양한 뷰티서비스의 유형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기존연구와 달리 분석방법을 고도화하고 있고 표본추출방식 역시 확률적 표본추출방식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는 독립변수로 물리적 환경요인, 인적 요인, 가격 등 성과요인을 활용하고 있고 종속변수로는 이용의도, 이용만족도, 고객충성도 등의 변수를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변수를 설문지화 한 후 수도권에 소재해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인력지원센터,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기관 등의 협조를 통해 조사하고자 한다. 500표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조사방법은 현장방문 후 이주여성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스스로 기입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연구의 분석방법은 SPSS v.19.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분석, 요인분석, 데이터축소,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등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이주여성의 뷰티서비스 이용실태와 뷰티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여성의 뷰티서 비스 실태를 보면 헤어서비스의 이용이 타 뷰티서비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며, 피부관리, 메 이크업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주여성들이 뷰티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는 자아 존중감 및 존 경심 향상 그리고 기분전환 및 일상의 긴장감 해소를 위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뷰티서 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중요 영향요인을 검증 종합한 결과를 보면 피부관리는 시술과정 및 고객 응대, 메이크업은 진단과 관련정보 제공, 헤어서비스는 기술과 고객응대가 타 세부 요인에 비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뷰티서비 스는 유형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 of beauty services among migrant 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use of hair care services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beauty services, followed by skin care and make-up. And the second, reasons that migrant women use beauty services are enhancement of self-esteem and respect, relieve tension, etc. Third, we examined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beauty services. Major factors of skin care are the operation process, customer response, make-up providing diagnosis and related information, and hair service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 relation to technology and customer responsiveness. In conclusion, we can be used to derive the need to provide differentiated strategies for each type of beauty services for migrant wome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이주여성의 뷰티서비스 이용실태와 뷰티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여성의 뷰티서 비스 실태를 보면 헤어서비스의 이용이 타 뷰티서비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며, 피부관리, 메 이크업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주여성들이 뷰티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는 자아 존중감 및 존 경심 향상 그리고 기분전환 및 일상의 긴장감 해소를 위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뷰티서 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중요 영향요인을 검증 종합한 결과를 보면 피부관리는 시술과정 및 고객 응대, 메이크업은 진단과 관련정보 제공, 헤어서비스는 기술과 고객응대가 타 세부 요인에 비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뷰티서비 스는 유형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의 수행결과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여성의 뷰티서비스 이용실태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이주여성의 뷰티서비스 실태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바 일부이지만 이용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내국인을 대상으로 한 뷰티서비스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는 반면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연구결과는 내국인과 이주여성 간 뷰티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다양한 문화와 뷰티서비스 이용 행태 간 관계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소비자선택이론과 관련된 많은 연구는 일반 상품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거나 일부 수행된 뷰티 관련연구의 경우 미용실, 피부관리실 등과 같이 개별 미용서비스를 주된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다. 반면 이 연구는 피부관리, 헤어, 성형, 체형관리 등과 같은 뷰티서비스 전반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각 뷰티서비스 유형별로 서비스를 선택하는 이유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바 마케팅전략 역시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결정요인의 차이뿐만 아니라 상대적인 강도의 차이 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케팅전략 강구 시 연구결과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연구결과는 뷰티관련 마케팅 과목과 연계하여 강의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변수들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국내외 여성들의 뷰티서비스 결정요인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이주여성, 뷰티서비스, 헤어, 메이크업, 피부관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