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 개발-실행-평가
The Development of a Holistic Dance Education Model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over the Life Cycl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중점연구소지원
연구과제번호 2017S1A5B8058996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3 년 (2017년 09월 01일 ~ 2020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지안
연구수행기관 상명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희화(상명대학교)
이동현(상명대학교)
김은혜
이윤구
윤지은(서울예술대학교)
홍애령(상명대학교)
이소미(상명대학교)
오윤선(상명대학교)
권재윤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맥락에서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의 각 관점에서 전인교육과 생애주기 평생교육 등 대상과 영역의 전체론적인 내용과 방법을 근간으로 하는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을 개발, 실행하여 그 타당성 및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함. 이를 토대로 학교와 사회에서 무용교육의 역할과 가치체계, 핵심역량, 실행방법 등의 재정향을 강조하고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기여(정책 및 제도적 개선방안)를 제언할 것임.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의 공급과 수요가 이루어지는 무용생태계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등 세 가지 관점에서의 조화로운 접근이 이루어져야할 것임. 이에 균형적인 무용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상호 연계된 홀리스틱 무용교육의 학문적, 실천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확산하고자 함.

    1.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사회적, 교육적 목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사회전반 및 교육계는 큰 변화를 준비해야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 시대의 대표적인 역량인 창의성과 통찰력을 지닌 인재 양성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의 실천에 기반한 학문적 틀 제시

    2. 사회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지역화, 일상화, 내실화의 실천
    우리나라는 문화예술교육 시대 10년사를 거쳐 국가적 정책 및 제도상에서 학교안과 밖에서 문화와 예술을 기반으로 한 문화복지차원의 수혜적 교육을 펼치고 있음. 이에 문화자본, 문화복지로서의 사회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목표

    3. 기존의 문화예술교육 현장 개선을 위한 목표
    그럼에도 여전히 기능 중심, 생애주기를 고려하지 않은 비체계적, 비연계적 교육, 거시적 관점의 성과 및 지표의 부재, 전문인력의 전문성 및 이해도 부족 등 기존의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함.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을 고안, 실행하여 그 타당성 및 효과성을 검증하는 동시에 이를 기반으로 정책 및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기대효과
  • 1. 문화예술교육의 홀리스틱 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가치체계 및 핵심역량 도출을 통해 체계화된 교육프로그램 제공.
    ○ 기존 학교문화예술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능교육 중심의 무용교육에서 벗어나 전인적, 통합적 교육을 지향하는 검증된 무용교육프로그램을 제시.
    ○ 대상별, 기관별, 지역별 다양한 사회문화예술교육 선진사례 발굴을 통한 생애주기별 무용교육프로그램 제공
    ○ 핵심지표와 개별지표로 구성된 거시적 관점의 문화예술교육 효과지표는 무용뿐만 아니라 타 예술교육 성과지표로 적용 가능
    ○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과 효과성 검증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

    2.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 지원 확대
    ○ 현재 학교 및 사회문화예술교육현장에서 무용교육의 수요 및 현황 파악을 통해 문화소외계층 및 사각지대에 무용교육 접근성 강화
    ○ 아동·청소년 및 청장년, 노년층을 대상으로 생애주기별 무용교육 기회 확대
    ○ 가족, 직장 및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속가능한 무용교육 실천 방안 및 가이드라인 제시

    3.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전문성 구축과 내실화
    ○ 공연예술가 양성에만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의 고등교육 내 무용전공교육과정에서 벗어나 문화예술교육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전문화되고 실천적 커리큘럼 개발 및 적용
    ○ 무용전공학생의 진로 방향의 다각화 모색
    ○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내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 제고 및 대안적 방안 제시

    4.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효율화와 뉴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방향성 제시
    ○ 문화예술교육정책에 관한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고용노동부 등 부처 간 협의, 조정을 통한 시너지 제고
    ○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 정립 후 생애주기별 효율적인 인프라 및 프로그램 제공, 신뢰성과 교육성을 갖춘 양질의 활동기회 기반 조성
    ○ 행정 수요를 반영하고 기존의 한계를 보완하는 차원의 문화예술교육 법령의 제∙개정에 관한 공법적 검토
    ○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책과 자원을 연계 구축, 지역사회 문화 기반 시설 및 학교교육과의 연계를 통한 협력 교육시스템 실현
  • 연구요약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맥락에서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의 각 관점에서 전인교육과 생애주기 평생교육 등 대상과 영역의 전체론적인 내용과 방법을 근간으로 하는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을 개발, 실행하여 그 타당성 및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함. 이를 토대로 학교와 사회에서 무용교육의 역할과 가치체계, 핵심역량, 실행방법 등의 재정향을 강조하고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기여(정책 및 제도적 개선방안)를 제언할 것임.
    ○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의 공급과 수요가 이루어지는 무용생태계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등 세 가지 관점에서의 조화로운 접근이 이루어져야할 것임. 이에 균형적인 무용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상호 연계된 홀리스틱 무용교육의 학문적, 실천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확산하고자 함.

    2.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 1단계: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 탐색 및 개발 단계

    <1차년>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정량적, 정성적 실태조사 연구
    ■ 학교문화예술교육(학교무용)의 수요, 운영형태, 시수, 만족도 조사
    ■ 사회문화예술교육(커뮤니티무용)의 수요, 운영형태, 시수, 만족도 조사
    ■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전문무용)의 수요, 운영형태, 시수, 만족도 조사
    ■ 문화복지로서 국내외 생애주기 교육모델 및 프로그램 분석
    ■ 국내외 문화예술교육관련 법제 및 법규 실태조사
    ■ 인문학 기반 교육모델 및 홀리스틱 무용교육 프로그램 분석

    <2차년>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의 국내외 우수사례 및 문제점 분석
    ■ 기존 문화예술교육의 문제점 및 해결방법
    ■ 공민적 창조성 교육, 홀리스틱 무용교육의 국내외 선진사례 조사 분석
    ■ 학교문화예술교육(학교무용), 사회문화예술교육(커뮤니티무용), 전문인력 양성(전문무용)에서의 홀리스틱 무용교육 사례 연구
    ■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역량중심 교육과정과 목표중심 교육과정의 적용 필요성 연구

    <3차년>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 개발
    ■ 홀리스틱 학교무용교육모델, 커뮤니티무용교육모델, 전문무용교육모델 개발
    ■ 문화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 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으로서 예술가 및 예술 전공생의 핵심역량 개발 프로그램 개발

    □ 2단계: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 실행 및 평가 단계

    <4차년>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 체계 검토
    ■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의 가치체계 및 핵심역량 분석
    ■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 적용을 위한 문화자본이론 및 정책 분석 및 방향 모색
    ■ 학교문화예술교육 실행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 문화다양성을 고려한 사회문화예술교육 대상별 맞춤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 가이드라인 개발
    ■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 예술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5차년>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의 실행 및 분석
    ■ 학교문화예술교육 현장, 사회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의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 실행연구
    ■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고등무용교육기관에서의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 실행연구
    ■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의 타당성 및 효과성 검증
    ■ 홀리스틱 무용교육 수업 경험에 따른 문화역량 및 문화적 리터러시 인식 변화
    ■ 효율적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 수업 지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 분석

    <6차년>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의 학습모듈 및 성과지표 개발
    ■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의 영역별 학습모듈 및 성과지표 개발
    ■ 영역별 학습모듈 실행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참여자들의 문화역량 및 문화 리터러시 인식 변화
    ■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 실천을 위한 창작자 및 매개자 교육 프로그램, 정책 및 제도적 개선방안 제안

    2) 연구방법
    ■ 연구방법은 크게 연구주제 선정과 분석방법 선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연구 주제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분야별, 현안별 가장 시급한 이슈들을 중심으로 주제를 도출하고 이에 적용 가능한 방법을 선정하였음
    ■ 자료의 분석방법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로 구분되며 이를 연구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혼용하는 혼합연구의 방법을 사용할 것임. 양적 연구로서 설문조사, 패널데이터 분석, 빅데이터 분석이 사용될 것임. 질적 연구로서 델파이 조사, 집단 인터뷰, 인류학적 심층면담 및 참여관찰이 사용될 것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맥락에서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의 각 관점에서 전인교육과 생애주기 평생교육 등 대상과 영역의 전체론적인 내용과 방법을 근간으로 하는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을 개발, 실행기 위한 제반 연구를 실행하였음. 이를 토대로 학교와 사회에서 무용교육의 역할과 가치체계, 핵심역량, 실행방법 등의 재정향을 강조하고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기여(정책 및 제도적 개선방안)를 제언하였음
    ○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의 공급과 수요가 이루어지는 무용생태계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등 세 가지 관점에서의 조화로운 접근이 이루어져야할 것임. 이에 균형적인 무용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상호 연계된 홀리스틱 무용교육의 학문적, 실천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확산하고자 함

    2.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 1단계: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 탐색 및 개발 단계
    <1차년>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정량적, 정성적 실태조사 연구
    : 교육부 및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향하는 생애주기 맞춤형 교육을 문화예술교육에 적용하고자 선행 교육모델 및 프로그램,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영역별 실태조사를 시행함

    ■ 학교문화예술교육(학교무용)의 수요, 운영형태, 시수 등의 현황
    ■ 사회문화예술교육(커뮤니티무용)의 수요, 운영형태, 시수 등의 현황
    ■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전문무용)의 수요, 운영형태, 시수 등의 현황
    ■ 문화복지로서 국내외 생애주기 교육모델 및 프로그램 분석
    ■ 국내외 문화예술교육관련 법제 및 법규 실태조사
    ■ 인문학 기반 교육모델 및 홀리스틱 무용교육 프로그램 분석

    <2차년>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의 국내외 우수사례 및 문제점 분석
    :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분야에서의 생애주기 교육모델 및 홀리스틱 무용교육 사례를 수집하여 선진사례 점검 및 문제점을 도출함
    ■ 기존 문화예술교육의 문제점 및 해결방법
    ■ 홀리스틱 무용교육의 국내외 선진사례 조사 분석
    ■ 학교문화예술교육(학교무용)에서의 홀리스틱 무용교육 사례 연구
    ■ 사회문화예술교육(커뮤니티무용)에서의 홀리스틱 무용교육 사례 연구
    ■ 전문인력 양성(전문무용)에서의 홀리스틱 무용교육 사례 연구
    ■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역량중심 교육과정 적용의 필요성 연구

    <3차년>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 개발
    :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인문적 요소, 예술적 요소, 신체활동 요소를 통합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통합교육모델을 구상함

    ■ 홀리스틱 학교무용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홀리스틱 커뮤니티무용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홀리스틱 전문무용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문화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 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으로서 예술가 및 예술 전공생의 핵심역량 개발 프로그램 개발

    2) 연구방법
    □ 단계별 연구절차
    ■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의 각 단계별 연구절차는 연구문제 정의, 이론/학제적 프레임 설정, 연구가설 도출, 자료수집, 연구결과 및 적용방안 도출 순으로 순환적인 구조에 따라 이루어짐
    □ 연구주제 선정 및 분석방법
    ■ 연구방법은 크게 연구주제 선정과 분석방법 선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연구 주제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분야별, 현안별 가장 시급한 이슈들을 중심으로 주제를 도출하고 이에 적용 가능한 방법을 선정하였음
    ■ 자료의 분석방법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로 구분되며 이를 연구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혼용하는 혼합연구의 방법을 사용할 것임. 양적 연구로서 설문조사, 패널데이터 분석, 빅데이터 분석이 사용될 것임. 질적 연구로서 델파이 조사, 집단 인터뷰, 인류학적 심층면담 및 참여관찰이 사용됨
  • 영문
  • 1. Rationale and Objectives of Study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holistic dance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holistic content and method regarding target populations and domains of the whole-person education and life cycle continuing education from each of three perspectives––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community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arts and training professionals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in the contex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ie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study emphasized the reorientation of the role and value system, core competencies, and implementation methods of dance education in schools and society, and made suggestions (policy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oper establishmen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future.
    ○ The dance ecosystem in which the supply and demand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are carried out over the life cycle requires the approach that incorporates the three perspectives: 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community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training professionals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erefore, to create a balanced dance ecosystem, a systematic and interconnected academic and practical model of holistic dance education is proposed and will be disseminated.

    2. Study Description and Methods
    1) Description

    Stage 1: Search and development of a holistic dance education model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over the life cycle
    [Year 1]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urveys on education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over the life cycle:
    Conducting surveys on prior education models and programs and individual domain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n order to apply the education customized for stages of the life cycle, the educational objective set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Current status of demand, operation type and number of hours, etc. of 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school dance)
    Current status of demand, operation type and number of hours, etc. of community arts and culture education (community dance)
    Current status of demand, operation type and number of hours, etc. of training professionals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fessional dance)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models and programs for life cycle education as cultural welfare
    Survey of domestic and foreign laws and regulations on arts and culture education
    Humanities-based educational model and holistic dance education program analysis

    [Year 2] Analysis of exemplary cases and problems of holistic dance educa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over the life cycle:
    Examining exemplary cases and identifying problems by gathering models of life cycle education and holistic dance education in 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community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professional training
    Problems of exist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solutions
    Research and analysis of exemplary cases of holistic dance educa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 case study of holistic dance education in 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school dance)
    A case study of holistic dance education in community arts and culture education (community dance)
    A case study of holistic dance education in training professionals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fessional dance)
    A study on the need for the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Year 3] Development of a holistic dance education model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over the life cycle:
    Developing an integrated education model for 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community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professional training through integration of humanities, artistic, and physical activities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over the life cycle by integrating humanities, artistic, and physical activities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over the life cycle

    Basic research for development of holistic school dance education model
    Basic research for development of holistic community dance education model
    Basic research for development of holistic professional dance education model
    Development of holistic dance education program for cultural literacy education
    Development of holistic dance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cultural competence
    Development of program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of artists and art majors as professionals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2) Methods
    Procedure by stage
    The research procedure for each stage of [The Holistic Dance Education Model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over the Life Cycle] is cyclical in the following order: Defining a research problem, setting a theoretical/interdisciplinary framework, developing research hypotheses, data collection, and then generating research findings and application strategies.
    Selection of research topics and analysis methods
    Method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election of research topics and selection of analysis methods. Research topic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urgency by field and issue, and then a method applicable to each topic was selected.
    The data analysis methods fall in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hich will be mixed appropriately in this mixed-method research. Surveys, panel data analysis, and big data analysis will be used as quantitative methods. Delphi surveys, group interviews, in-depth anthropological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will be used as qualitative method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
    교육부는 ‘모두가 성장하는 행복교육 및 미래를 이끌어가는 창의인재’를 목표로 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혁신을 추진과제로 정하였음. 미래 국가경쟁력의 원천인 창의적,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으로서 창의적인 미래의 인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문화적인 재능의 힘은 창조적 사고에서부터 시작된다는 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는 시기라고 할 수 있음
    ■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에서의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의 역할
    무용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기능중심의 교육, 생애주기 맞춤형 교육의 비체계화, 거시적 관점의 이론적 체계 부재, 전문인력 양성 전문기관의 이해와 실천력 부족으로 그동안 공연예술과 엘리트 예술교육에 집중된 기존 무용교육의 방점을 재정향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임. 다시 말하자면, 무용교육의 대상 및 목표를 누구나 무용을 경험함으로써 창의력과 감수성을 함양하고 문화역량을 강화하는 교육적 가치에 두고 있음. 따라서 무용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가치를 확산하기 위해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을 목표로 생애주기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무용교육 모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
    이러한 노력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의 세 가지 관점에서 조화로운 접근을 통해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의 공급과 수요의 균형적인 무용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상호 연계된 홀리스틱 무용교육의 학문적, 실천적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음. 홀리스틱 교육모델은 전인적 발달을 목표로 학교무용, 커뮤니티무용, 전문무용의 영역들이 서로 연계되어 무용생태계의 세부 영역들이 서로 공존하고 상생하는 관계가 형성되어 전인교육을 실현하는 모형구축을 목표로 함
    ■ 1단계 과제의 구성(1년~3년차)
    1단계는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 탐색 및 개발의 주제를 설정하여 각 년차별 과제를 구성하였는데, 1차년에는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정량적, 정성적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선행 교육모델 및 프로그램,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영역별 실태조사를 시행하고자 함. 2차년에는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의 국내외 우수사례 및 문제점 분석하고 도출하였음. 3차년에는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 개발하여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인문적·예술적·신체활동 요소를 통합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통합교육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들을 수행하였음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맥락에서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의 각 관점에서 전인교육과 생애주기 평생교육 등 대상과 영역의 전체론적인 내용과 방법을 근간으로 하는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을 개발, 실행하기 위한 제반 연구를 실행하였음. 이를 토대로 학교와 사회에서 무용교육의 역할과 가치체계, 핵심역량, 실행방법 등의 재정향을 강조하고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기여(정책 및 제도적 개선방안)를 제언하였음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의 공급과 수요가 이루어지는 무용생태계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등 세 가지 관점에서의 조화로운 접근이 이루어져야할 것임. 이에 균형적인 무용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상호 연계된 홀리스틱 무용교육의 학문적, 실천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확산하고자 함

    1.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사회적, 교육적 목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사회전반 및 교육계는 큰 변화를 준비해야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 시대의 대표적인 역량인 창의성과 통찰력을 지닌 인재 양성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의 실천에 기반한 학문적 틀 제시

    2. 사회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지역화, 일상화, 내실화의 실천
    우리나라는 문화예술교육 시대 10년사를 거쳐 국가적 정책 및 제도상에서 학교안과 밖에서 문화와 예술을 기반으로 한 문화복지차원의 수혜적 교육을 펼치고 있음. 이에 문화자본, 문화복지로서의 사회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목표

    3. 기존의 문화예술교육 현장 개선을 위한 목표
    그럼에도 여전히 기능 중심, 생애주기를 고려하지 않은 비체계적, 비연계적 교육, 거시적 관점의 성과 및 지표의 부재, 전문인력의 전문성 및 이해도 부족 등 기존의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함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을 고안, 실행하여 그 타당성 및 효과성을 검증하는 동시에 이를 기반으로 정책 및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1. 문화예술교육의 홀리스틱 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가치체계 및 핵심역량 도출을 통해 체계화된 교육프로그램 제공
    ○ 기존 학교문화예술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능교육 중심의 무용교육에서 벗어나 전인적, 통합적 교육을 지향하는 검증된 무용교육프로그램을 제시
    ○ 대상별, 기관별, 지역별 다양한 사회문화예술교육 선진사례 발굴을 통한 생애주기별 무용교육프로그램 제공
    ○ 핵심지표와 개별지표로 구성된 거시적 관점의 문화예술교육 효과지표는 무용뿐만 아니라 타 예술교육 성과지표로 적용 가능
    ○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과 효과성 검증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

    2.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 지원 확대
    ○ 현재 학교 및 사회문화예술교육현장에서 무용교육의 수요 및 현황 파악을 통해 문화소외계층 및 사각지대에 무용교육 접근성 강화
    ○ 아동·청소년 및 청장년, 노년층을 대상으로 생애주기별 무용교육 기회 확대
    ○ 가족, 직장 및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속가능한 무용교육 실천 방안 및 가이드라인 제시

    3.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전문성 구축과 내실화
    ○ 공연예술가 양성에만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의 고등교육 내 무용전공교육과정에서 벗어나 문화예술교육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전문화되고 실천적 커리큘럼 개발 및 적용
    ○ 무용전공학생의 진로 방향의 다각화 모색
    ○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내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 제고 및 대안적 방안 제시

    4.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체계 효율화와 뉴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방향성 제시
    ○ 문화예술교육정책에 관한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고용노동부 등 부처 간 협의, 조정을 통한 시너지 제고
    ○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 정립 후 생애주기별 효율적인 인프라 및 프로그램 제공, 신뢰성과 교육성을 갖춘 양질의 활동기회 기반 조성
    ○ 행정 수요를 반영하고 기존의 한계를 보완하는 차원의 문화예술교육 법령의 제∙개정에 관한 공법적 검토
    ○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책과 자원을 연계 구축, 지역사회 문화 기반 시설 및 학교교육과의 연계를 통한 협력 교육시스템 실현
  • 색인어
  •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 홀리스틱 무용교육모델,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