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전반기 종결어미의 양태 의미 실현을 통해 종결어미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19세기 후반 다양한 과정을 통해 종결어미가 형성되는데, 형태와 더불어 기능도 변하게 된다. 특히 종결어미가 양태를 나타내게 되면서 ‘해’체 어미가 발달하였 ...
이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전반기 종결어미의 양태 의미 실현을 통해 종결어미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19세기 후반 다양한 과정을 통해 종결어미가 형성되는데, 형태와 더불어 기능도 변하게 된다. 특히 종결어미가 양태를 나타내게 되면서 ‘해’체 어미가 발달하였는데, 이것은 20세기 전반기 사용 양상을 통해 그 의미가 분화되고 고착된다. 이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체는 연결어미, 통사 구조 등에서 종결어미화된 형태 외에 ‘하게’체에서 의미 분화한 형태에 관한 것이다. 의미가 분화하면서 ‘해’체는 ‘하게’체와 완전하게 분리가 이루어진다. 둘째, 감탄형 어미와 양태 어미의 구분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일차적으로 나타나는 기능으로 구분된다. 셋째, ‘해’체와 ‘-요’의 결합으로, 의미가 다른 ‘해요’체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사용 양상을 통해서만 밝힐 수 있는 부분이다. 이렇게 이 시기 종결어미의 의미 기능에 대한 변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핌으로써 현대국어 종결어미의 체계를 좀 더 명확하게 세울 수 있다.
기대효과
19세기 말 새로운 종결어미가 형성된 이후 현대국어에 이르기까지 종결어미는 의미 기능이 변화하면서 고착되었다. 종결어미의 의미 기능의 변화 양상에 대해 세밀하게 고찰하려는 이유는 형태와 기능만을 통해서는 종결어미의 기능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양태 어미 ...
19세기 말 새로운 종결어미가 형성된 이후 현대국어에 이르기까지 종결어미는 의미 기능이 변화하면서 고착되었다. 종결어미의 의미 기능의 변화 양상에 대해 세밀하게 고찰하려는 이유는 형태와 기능만을 통해서는 종결어미의 기능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양태 어미는 화자의 주관적 태도에서 비롯되는 것이므로 문장 구조로만 이해될 수 없다. 그러므로 세밀하게 나눠 연구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종결어미 사용 양상에 관한 부분은 청자 대우법과도 연결되므로 이후에 연구해야 할 부분이다. 간략하게 언급하면, 현대국어는 종결어미 형태로만 화계를 분류할 수 없다. 이유는 형태로만 분류하면 실제 사용되는 화계와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화계는 형태와 더불어 사용 양상과 연계하여 연구가 자세히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또한 한국어교육에서 양태를 설명하기란 쉽지 않다. 특히 양태 어미는 억양과 함께 연구되어야 하므로 이 연구를 통하여 양태 어미에 대한 교육 방안으로 연계될 수 있다.
연구요약
먼저 이 연구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부분은 감탄형 어미와 양태 어미의 구분이다. ‘-도다’, ‘-어라’ 등의 감탄형 어미와 ‘-구나’, ‘-군’ 등의 양태 어미로 나눌 수 있는데 이것의 구분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은 일차적으로 나타나는 의미 기능이다. 즉 문장 차원에서 감탄이 ...
먼저 이 연구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부분은 감탄형 어미와 양태 어미의 구분이다. ‘-도다’, ‘-어라’ 등의 감탄형 어미와 ‘-구나’, ‘-군’ 등의 양태 어미로 나눌 수 있는데 이것의 구분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은 일차적으로 나타나는 의미 기능이다. 즉 문장 차원에서 감탄이 드러난다면 감탄형 어미로 분류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고 다른 양태 의미와 함께 드러난다면 이것은 양태 어미로 분류하여야 한다. 중세국어 ‘-고녀’에서 이어진 ‘-구나’의 경우 감탄형 어미이면서 ‘새로 앎’이라는 의미를 가졌는데, 오늘날 ‘-구나’는 양태 어미로 분류가 된다. ‘-구나’ 외에도 축약형인 ‘-군’, ‘-구먼’, ‘-구려’ 역시 양태 어미로 분류된다. 그런데 ‘-군’은 ‘-요’와 결합하면 의미는 ‘-군+-요’의 의미가 아니라 ‘-구나+-요’의 의미가 된다. 즉 ‘해요’체가 ‘’해라‘체+-요’의 의미를 갖는 것인데 이러한 양상이 20세기 전반기에는 ‘-구나+-요’의 의미만이 아니라 ‘-군+-요’의 의미도 나타난다. ‘-군요’ 외에 ‘-던가요’도 항상 ‘’해‘체+-요’의 의미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체의 경우 ‘하게’체에서 의미가 변화된 것이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20세기 전반기에 담화 상황에서 의미가 변화하면서 생기는 현상들인 것이다. 그러므로 이 시기의 자료를 통해 양태 의미 변화 양상을 살피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이 연구에서는 20세기 전반기에 나타나는 종결어미를 통해 감탄법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감탄법이란 화자가 청자에게 문장에 담긴 상태 정보에 대하여 놀라움이나 감탄 등의 주관적 정서를 담아 전달하는 문장 종결법이다. 그리고 감탄법을 실현할 수 있는 종 ...
이 연구에서는 20세기 전반기에 나타나는 종결어미를 통해 감탄법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감탄법이란 화자가 청자에게 문장에 담긴 상태 정보에 대하여 놀라움이나 감탄 등의 주관적 정서를 담아 전달하는 문장 종결법이다. 그리고 감탄법을 실현할 수 있는 종결어미는 감탄형 어미와 양태 어미가 있다. 감탄형 어미는 의미를 배제하고 오롯이 형태만으로 다른 양태 의미 없이 감탄만을 표현할 수 있고 평서법의 기능이 보이지 않는다면 감탄형 어미라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감탄의 의미 기능 외에 다른 양태 의미를 가지고 있고 억양을 수반함으로써 감탄문을 실현한다면 그것은 양태 어미로 분류된다. 즉 중세국어 ‘-고녀’에서 이어진 ‘-구나’의 경우 감탄의 기능 외에도 ‘새로 앎’이라는 의미를 가졌으므로 오늘날 ‘-구나’는 양태 어미로 분류가 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감탄형 어미와 감탄의 기능을 가진 양태 어미의 문장 종결법 실현 양상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억양의 수반 양상, 그리고 이 종결어미들의 화계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영문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alization of interrogative forms of ‘Hae’ style endings. Most of ‘Hae’ style endings, which were developed in various ways after the late 19th century, have modal meanings divided into act modality and epistemic modality. ...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alization of interrogative forms of ‘Hae’ style endings. Most of ‘Hae’ style endings, which were developed in various ways after the late 19th century, have modal meanings divided into act modality and epistemic modality. However, it should be examined if the sentences that are realized as interrogative endings are to be interrogative sentences in the true meaning of the word, as they are not directly related to modality but represent a ‘request for informatio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interrogative sentences which demand the informational answers and the pseudo-interrogative sentences which do not. Final endings with epistemic modality are mostly realized as declarative endings. In this case, the declarative endings have meanings such as [confirmation], [speculation], it could lead into realizing interrogative sentences meaning interrogative or pseudo-interrogative. Accordingly, not all the endings with epistemic modality are realized as interrogative endings, even if these are realized, these are not all realized as interrogative endings representing ‘request for information’. Therefore, an interrogative ending with epistemic modality differ in realization as a declarative sentence, an pseudo-interrogative sentence, or an interrogative sentence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it is distinguished by intonation in usage.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이 연구에서는 20세기 전반기에 나타나는 종결어미를 통해 감탄법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감탄법이란 화자가 청자에게 문장에 담긴 상태 정보에 대하여 놀라움이나 감탄 등의 주관적 정서를 담아 전달하는 문장 종결법이다. 그리고 감탄법을 실현할 수 있는 종 ...
이 연구에서는 20세기 전반기에 나타나는 종결어미를 통해 감탄법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감탄법이란 화자가 청자에게 문장에 담긴 상태 정보에 대하여 놀라움이나 감탄 등의 주관적 정서를 담아 전달하는 문장 종결법이다. 그리고 감탄법을 실현할 수 있는 종결어미는 감탄형 어미와 양태 어미가 있다. 감탄형 어미는 의미를 배제하고 오롯이 형태만으로 다른 양태 의미 없이 감탄만을 표현할 수 있고 평서법의 기능이 보이지 않는다면 감탄형 어미라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감탄의 의미 기능 외에 다른 양태 의미를 가지고 있고 억양을 수반함으로써 감탄문을 실현한다면 그것은 양태 어미로 분류된다. 즉 중세국어 ‘-고녀’에서 이어진 ‘-구나’의 경우 감탄의 기능 외에도 ‘새로 앎’이라는 의미를 가졌으므로 오늘날 ‘-구나’는 양태 어미로 분류가 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감탄형 어미와 감탄의 기능을 가진 양태 어미의 문장 종결법 실현 양상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억양의 수반 양상, 그리고 이 종결어미들의 화계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이 연구는 19세기 말에 형성된 종결어미의 양태 의미 실현 양상을 통하여 20세기 전반기 종결어미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시기의 종결어미는 현대국어 종결어미의 틀과 체계 지금까지의 이 시기의 종결어미에 대한 연구는 형태 위주의 연구가 주를 이 ...
이 연구는 19세기 말에 형성된 종결어미의 양태 의미 실현 양상을 통하여 20세기 전반기 종결어미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시기의 종결어미는 현대국어 종결어미의 틀과 체계 지금까지의 이 시기의 종결어미에 대한 연구는 형태 위주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특히 양태 어미의 경우 이 시기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에 와서야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형성된 종결어미에 대한 형태와 기능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런데 이 시기의 종결어미가 현대국어 종결어미로 굳어진 것은 아니다. 20세기 전반기를 거치면서 변화는 계속되었는데, 20세기 이후 변화 양상에 관한 것은 연구되지 않았다. 그것은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제정됨으로써 형태 자체는 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변화를 겪은 것은 사용 양상에서 나타나는 화계와 의미 기능이다. 그러므로 이 시기부터 오늘날까지의 종결어미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20세기 전반기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현대국어 종결어미의 체계는 이원적 체계와 6등급으로 복잡한 양상을 이루지만 구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은 해체와 해요체로 단순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 원인은 다양한 양태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양태 어미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구어에서 해(요)체로 단순화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해체 어미가 필요했던 것이다. 그리하여 새로운 어미의 형성은 필수적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다른 체계 즉 하게체에서 의미 기능 분화도 이루어졌다. 이것은 문맥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므로 사용 양상에서 변화하게 된다. 오늘날, 체계는 단순화돼도 종결어미는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화자의 태도를 나타내는 양태는 주관적인 것이므로 세밀하게 연구되지 않으면 객관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그리고 이 시기의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지면 현대국어에서 끊임없이 생겨나는 새로운 종결어미의 형태와 변화 양상에 대해서도 고찰될 수 있다. 즉 한 시기적으로 생겨났다 사라지는 유행어 형태일지라도 그것이 형성되는 과정은 그 언어가 근본적으로 가지는 구조에서 비롯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20세기 전반기는 종결어미의 의미 기능이 변화하면서 고착되어 가던 시기이므로 이 시기의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하겠다. 더불어 한국어 교육에서 양태 어미를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다. 담화 상황을 통하여 나타나는 양태 의미에 대한 어감은 머리로만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세밀한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화계에 대한 것도 마찬가지이다. 단순히 형태만 따라 분류한다면 실제 화계와 맞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형태가 같은 해체와 하게체의 경우도 그러하고 ‘-군’과 ‘-군요’와 같이 해체와 해요체도 그러하다. 종결어미에 양태가 표현되면서 수반되는 억양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양태 의미에 따라 억양 다르게 수반되기 때문이다. 한국인 해체와 하게체를 구분하는 방법은 같이 쓰이는 대명사만이 아니라 억양을 통해서도 말투를 구분한다. 그러나 이 부분도 모어 화자가 아니면 분별해 내기가 어렵다. 특히 해체와 하게체는 억양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종결어미에 수반되는 억양에 대한 연구와 함께 교육 방안도 연구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감탄법과 양태 의미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인데, 이 외에 종결어미 사용 양상에 관한 연구는 의문문, 평서문 중심의 연구와 연계될 수 있고 나아가 청자 대우법 연구와 연계될 수 있다. 특히 청자 대우법은 종결어미의 실현 양상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