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적 판타지 내러티브 분석과 기독교 윤리의 만남
Christian Ethical Approach toward the Narrative Analysis of Korean Style Fantas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A8-2018S1A5A8030623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2 년 (2018년 05월 01일 ~ 2020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성신형
연구수행기관 숭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한국문화의 가장 큰 장르 중에 하나인 한국적 판타지에 녹아 들어있는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독교 윤리학의 눈으로 한국적 판타지의 내러티브를 해석하면서 그 윤리적 변용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한국적 판타지에 대한 내러티브를 기독교 윤리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해석함으로 현재 한국 보수 개신교가 가지고 있는 한국적 판타지에 대한 지나친 반감을 덜어내면서, 있는 그대로의 한국적 문화 현상을 이해하고, 이러한 이해를 넘어서 기독교인(공동체)을 위한 내러티브 윤리의 한 접근을 시도하려고 한다. 다시 말해서 본 연구는 한국적 판타지의 사회·문화적인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이를 내러티브 윤리적인 차원에서 해석하며, 해석된 내용을 기독교 윤리에 접목함으로 건강한 기독교 공동체를 위한 내러티브 윤리에 접근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크게 학술적인 가치와 교육적인 가치로 구분해서 생각할 수 있다. 그 학술적인 가치로는 세 가지 관점에서 그 기대효과가 있다. 첫 번째는 본 연구의 1차 결과물은 한국적 판타지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이야기 분석이 아닌, 한국적 판타지 내러티브 속에 들어가 있는 사회·문화적인 코드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두 번째는 내러티브 분석에 기초한 인문학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의 내러티브 윤리적 해석이다. 행위 중심의 윤리적 접근이 아닌 행위자 중심의 윤리적 접근을 통해서 한국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이기적 개인주의를 반성해 볼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세 번째로는 한국 사회의 사회·문화적인 현상에 대한 기독교 내러티브 윤리적 접근이다. 소위 말하는 비기독교 문화 콘텐츠에 대한 단순한 거부나 적대감도 아니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 수 없는 모호한 상태에 머무는 것도 아닌, 기독교적인 내러티브와 그 윤리적 의의가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해줌으로 기독교인들의 공동체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한국 사회 속에서 기독교의 책임과 역할이 무엇인지를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인 가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공되는 1차 자료와 학술적 성과물은 교육의 현장에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가 발표한 한국적 판타지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서 바라본 한국의 사회· 문화적인 현상은 오늘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기에, 본 자료는 공교육의 차원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윤리교육이나 대학의 인성교육의 자료로도 충분히 활용될 것이다. 더 나아가서 본 자료와 연구 결과물은 기독교 공동체를 위한 내러티브 윤리를 보여주는 것이므로, 교회 교육의 자료로도 활용될 것이다. 문화에 대한 몰이해와 거부로 인한 기독교인들의 태도를 돌아보면서, 기독교인으로서 사회를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열어 줄 수 있는 하나의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기독교 공동체를 위한 내러티브 윤리를 형성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공론화의 장을 열어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일방적인 배척이나, 문화에 흡수되어 세속의 생활과 교회의 생활이 분리되어 버린 양극단의 태도를 벗어나서 기독교 공동체가 추구할 윤리적 가치들을 내러티브로 형성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한국적 판타지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독교 윤리학의 눈으로 한국적 판타지의 내러티브를 해석하면서 그 윤리적 변용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2년간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 1차 년도에는 한국적 판타지 내러티브를 분석할 것이다. 내러티브 분석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정리하여 내러티브 윤리 해석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3단계로 진행될 것이다. 첫 번째 단계는 영화 ‘신과 함께’의 원작인 웹툰(간행본) <신과 함께>의 내러티브 분석이다. 이야기와 담화 속에 드러난 인물과 사건, 그리고 담화의 내용이 되는 서사의 전달(언어적 요소)과 비언어적 효과(비언어적 요소)를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이 마치면, 다음 단계로는 웹툰 독자와 영화 관객 내러티브 분석을 진행할 것이다. 원작 내러티브와 영화 내러티브 간의 차이를 세밀하게 살피면서 영화적인 극적인 요소들 어떻게 부각되었는지를 살필 것이다. 이 분석에서는 인터넷포털 사이트에 개설된 브로그에 나온 내러티브를 빅데이터를 통해서 분석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 2차 년도에는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누어서 분석된 내러티브 자료에 대한 인문학적인 차원의 윤리적 분석과 기독교 내러티브 윤리적 관점에서의 해석 및 적용을 시도할 것이다. 상반기에는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레비나스의 윤리적 주체성과 인간관계성에 기초한 윤리적 내러티브 분석을 진행하고, 하반기에는 틸리히의 주체성과 공동체 내러티브 윤리를 바탕으로 기독교 내러티브 윤리적 접근을 시도할 것이다. 이 작업은 1년차에서 도출한 기초 자료들에 대한 학술적 해석과 접근이다. 이 작업은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라기보다는 내러티브 윤리의 인문학적 접근과 기독교 윤리적 접근을 서로 접목시켜서 대화하고, 변용할 수 있는 틀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기독교 공동체 윤리의 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적 판타지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기독교 윤리학의 눈으로 한국적 판타지의 내러티브를 해석하면서 그 윤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한국적 판타지의 그 대표 작품인 웹툰 '신과 함께'와 이를 바탕으로 만든 영화 중 1편 '죄와 벌'에 주목하여, 이 콘텐츠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이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정리하여 내러티브 윤리 해석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영화 ‘신과 함께’의 원작인 웹툰(간행본) <신과 함께>의 내러티브 분석, 빅데이터를 활용한 웹툰 독자와 영화 관객 내러티브 분석, 빅데이터에서 발화된 키워드들을 중심으로 각 사이트들을 방문하여 보다 자세한 자료를 수집하는 등의 세가지 단계로 이뤄졌다. 아울러서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분석된 내러티브 자료에 대한 기독교 내러티브 윤리적 관점에서의 해석 및 적용을 시도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내러티브 윤리의 인문학적 접근과 기독교 윤리적 접근을 서로 접목시켜서 대화하고, 변용할 수 있는 틀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기독교 공동체 윤리의 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한국교회와 한국 사회를 위한 윤리적 제언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기독교는 사랑과 용서, 화해의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존재여야 함을 분명히 하면서 그 윤리적 제언을 시도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attempted to take an ethical approach by analyzing Korean fantasy narratives and interpreting them in the eyes of Christian ethics. To this end,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representative work of Korean fantasy, "Along with the Gods," and the first movie based on it, "Crime and Punishment," to analyze the narratives of these contents, collect and organize them systematically and use them as a material for the interpretation of narratives. This analysis consisted of three stages: narratives of webtoon (Along with the Gods), which was based on the movie "Crime and Punishment", narratives of webtoon readers and movie audiences using big data, and visits each site to collect more detailed data, focusing on keywords ignited by big data.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terpret and apply the narratives analyzed on this basis from a Christian narratives ethical perspective. As such, this study combined the humanities and Christian ethical approaches of narratives with each other to create a framework for dialogue and transformation, and based on this, suggested a direction of Christian community ethics. Through this analysis, ethical suggestions were made for Korean churches and Korean society. This study attempted the ethical suggestion, clarifying that Christianity should be a more fundamental community of love,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적 판타지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이를 기독교 윤리학의 눈으로 해석하면서 그 윤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한국적 판타지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하면서, 그 대표 작품인 웹툰 '신과 함께'와 이를 바탕으로 만든 영화 중 1편 '죄와 벌'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연구의 기초 자료를 만드는 작업으로 이 콘텐츠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이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정리하여 내러티브 윤리 해석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3단계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영화 ‘신과 함께’의 원작인 웹툰(간행본) <신과 함께>의 내러티브 분석이다. 원작 내러티브와 영화 내러티브 간의 차이를 세밀하게 살피면서 영화적인 극적인 요소들 어떻게 부각되었는지를 살펴 보았다. 다음 단계는 웹툰 독자와 영화 관객 내러티브 분석을 진행되었다. 이 분석에서는 인터넷포털 사이트에 개설된 소셜 미디어에 나온 내러티브를 빅데이터를 통해서 분석하였으며, 빅데이터를 통해서 발화된 키워드들을 중심으로 각 사이트들을 방문하여 보다 자세한 자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분석된 내러티브 자료에 대한 인문학적인 차원의 윤리적 분석과 기독교 내러티브 윤리적 관점에서의 해석 및 적용을 시도하였다. 이 작업은 기 도출한 기초 자료들에 대한 학술적 해석과 접근이다. 이 작업은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라기보다는 내러티브 윤리의 인문학적 접근과 기독교 윤리적 접근을 서로 접목시켜서 대화하고, 변용할 수 있는 틀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기독교 공동체 윤리의 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한국교회와 한국 사회를 위한 윤리적 제언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독교는 단순한 사회참여를 넘어서 더 근원적인 사랑과 용서, 화해의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존재여야 함을 분명히 하면서 그 윤리적 제언을 시도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결과의 가장 비중 있는 활용 계획은 논문 형식의 학술적인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연구가 가지고 있는 사회·윤리적 가치와 그 의미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신과 함께’ 웹툰 원작과 영화 ‘죄와 벌’ 편의 내러티브 분석과 그 분석을 기초로 내러티브 윤리적 접근을 시도한 본 연구는 그 연구 방법에 있어서 사회과학과 인문학적인 방법을 융합한 독창적인 것이다. 이 것이 바로 본 연구의 학술적인 가치이다. 이는 최근 학문의 경향인 통섭과 융합의 가치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본 연구가 기독교인문학과 사회과학을 연결하는 좋은 학술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성과물은 실용적인 차원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우선 판타지 내러티브 분석(원 작품 분석 및 내러티브 분석)은 해당 연구 분야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현재 원 작품과 영화에 대한 내러티브를 분석한 기초 자료는 몇 편 발견되고 있으나, 빅데이터를 기초로 한 발화자의 내러티브 분석은 본 연구가 유일하다. 이에 본 연구는 그 기초자료로 충분히 활용 될 수 있다. 또한 내러티브에 대한 윤리적 해석은 한국 개신교회가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자료나 기독교 대학이나 신학교에 전공분야나 혹은 인성교육 분야에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비기독교인들과의 대화의 자료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독교와 비기독교 사이의 간극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심한 오늘의 현실에서 본 연구는 그 대화의 장을 열어 줄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최종 결과물인 학술 논문은 이중 언어(한국어와 영어)로 작성하여서 한국 문화(기독교신학)를 세계에 소개하는 작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성과로 만들어진 영어자료는 가급적이면 국제 학술대회의 발표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국제학술대회 발표제안서를 제출하여 심사를 받아서 발표의 기회를 얻거나, 미국 신학교와 학술적 교류를 위한 제안서를 제출하여서 그 발표의 기회를 갖고자 한다. 현재 본 연구는 연말 학술지 논문 투고를 목표로 논문 작성 최종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 색인어
  • 한국적 판타지, <신과 함께>, 내러티브 분석, 내러티브 윤리. 기독교윤리, 스탠리 하우어워즈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