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 여가활동 참여자가 어떤 장소 특성을 선호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여가장소 특성 지표의 상대적 중요성 및 지표 수준에 대한 방문객의 선호도를 분석하고자함에 있다. 야외 여가활동 장소에 대한 특성은 Manning(2011)의 야외 레크리에이션 3차원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 여가활동 참여자가 어떤 장소 특성을 선호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여가장소 특성 지표의 상대적 중요성 및 지표 수준에 대한 방문객의 선호도를 분석하고자함에 있다. 야외 여가활동 장소에 대한 특성은 Manning(2011)의 야외 레크리에이션 3차원적 접근방법(자연적, 사회적, 관리적 차원)을 기준으로 설정하였고, 각 차원을 여섯 가지 지표로 표현하는 사진 시각자료를 방문객에게 배포하여 그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북한산 둘레길 방문객 300명에게 자연, 사회, 관리적 차원의 장소 지표 여섯 가지와 각 지표를 세 가지 수준으로 나타내는 총 9쌍의 사진자료를 보여주고, 어떠한 장소특성을 환경하는지 측정할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우도비율검정 및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참여자의 응답을 최종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선택모형의 응답을 분석함으로써, 각 장소 지표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하는 한편, 방문객이 어떠한 수준의 장소 지표를 선호하는지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기대효과
그동안 사회과학의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여가활동에 대한 분석이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나, 시각자료를 이용한 실험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여가 참여자가 어떠한 특성을 가진 여가활동 장소를 선호하는지 그 구체적인 선택속성에 대해 파악 하고자하는 연구 ...
그동안 사회과학의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여가활동에 대한 분석이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나, 시각자료를 이용한 실험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여가 참여자가 어떠한 특성을 가진 여가활동 장소를 선호하는지 그 구체적인 선택속성에 대해 파악 하고자하는 연구 노력은 미진하였다. 시각적 자료는 글이나 언어로써 설명되지 않는 부분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인식과 직관적 판단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여가활동 장소 방문객이 선호하는 속성에 대해 매우 구체적인 선택기준이나 선호도를 파악하는 데에 유용한 연구 자료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연구방법은 마케팅 분야에서 소비자의 구매선택속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로 쓰였으나, 여가활동 장소를 찾는 방문객의 관점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노력은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여 야외 여가활동에 관련된 연구영역 확장에도 기여할 뿐만 아니라, 여가 현장 관리자들에게 방문객의 장소 선호사항을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 여가활동 장소에 대한 특성을 자연, 사회, 관리적 측면으로 나누어 시각자료를 활용한 선택모형 방법(stated choice modeling)을 적용하여 야외 여가활동 장소 방문객의 장소 지표 및 수준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각 특성은 ...
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 여가활동 장소에 대한 특성을 자연, 사회, 관리적 측면으로 나누어 시각자료를 활용한 선택모형 방법(stated choice modeling)을 적용하여 야외 여가활동 장소 방문객의 장소 지표 및 수준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각 특성은 사람들이 다니는 길(on-trail)과 다니지 않는 길(off-trail) 두 가지의 경우로 표현되며, 각각을 자연(resource)/사회(social)/관리(managerial)적 차원으로 세분하여 그 수준이 매우 낮은 경우(10%), 보통일 경우(50%), 매우 높을 경우(90%)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장소 특성 지표 및 수준을 선별적으로 포함하는 두 가지 종류의 시각자료를 방문객에게 보여주고, 그들이 어떠한 지표와 수준을 포함하는 여가장소를 더 선호하는지 선택모형방법(stated choice modeling)으로 제시하고 결과를 분석할 것이다. 조사할 야외 여가장소는 도심 내에서 접근이 용이하고 북한산 자락을 완만하게 걸을 수 있도록 조성한 저지대 수평 산책로인 북한산 둘레길로 선정하였다. 북한산 둘레길은 개통 이래 두 달 만에 방문객 수가 100만을 돌파하였고, 서울 및 경기 지역의 방문객이 자주 찾는 야외 여가활동 장소인 만큼 자연에 대한 훼손이나 관리 상태에 대한 인식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조사를 위하여 2017년 9월과 10월에 보조연구원 6명이 둘레길 13코스 각 구간에 위치하여 둘레길 방문객 300명에게 시각자료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조사를 통해 얻은 응답을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여 야외 여가활동 장소 지표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을 알아보는 한편, 각 지표를 나타내는 세 가지 수준에 대해 대한 응답자들의 선호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야외 여가활동 장소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나아가 실무적으로도 야외 여가장소 및 방문객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야외 여가활동 장소 지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 도심 내에서 접근이 용이하고 북한산 자락을 완만하게 걸을 수 있도록 조성한 산책로인 북한산 둘레길 방문객을 조사하였다. 북한산 둘레길은 개통 이래 두 달 만에 방문객 수가 100만을 돌파하였고, 서 ...
본 연구는 야외 여가활동 장소 지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 도심 내에서 접근이 용이하고 북한산 자락을 완만하게 걸을 수 있도록 조성한 산책로인 북한산 둘레길 방문객을 조사하였다. 북한산 둘레길은 개통 이래 두 달 만에 방문객 수가 100만을 돌파하였고, 서울 및 경기 지역의 방문객이 자주 찾는 야외 여가활동 장소인 만큼 자연에 대한 훼손이나 관리 상태에 대한 인식이 매우 중요한 곳이다. 본 연구의 조사를 위하여 2017년 9월과 10월에 보조연구원 6명이 둘레길 13코스 각 구간에 위치하여 둘레길 방문객 403명에게 시각자료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얻은 응답을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여 야외 여가활동 장소 지표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을 알아보는 한편, 각 지표를 나타내는 세 가지 수준에 대해 대한 응답자들의 선호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북한산 둘레길 방문객들에게 가장 중요한 환경적 요인은 on-trail 처리 및 관리정도(management)였으며, off-trail 관리가 어떻게, 얼마나 잘 이루어져 있는지가 두 번째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레길의 등산객 숫자나 변형정도는 상대적인 중요성이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야외 여가활동 장소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나아가 실무적으로도 야외 여가장소 및 방문객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rac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indicators for an outdoor recreation setting. To accomplish this goal, we studied the visitors of Bukhansan trail, “Dulle-gil”. The Bukhansan “Dulle-gil” has been visited by over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rac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indicators for an outdoor recreation setting. To accomplish this goal, we studied the visitors of Bukhansan trail, “Dulle-gil”. The Bukhansan “Dulle-gil” has been visited by over million people since its grand opening, often regarded as one of the well-known outdoor recreation places near Seoul. Therefore, understanding the perception of visitors on damage or management of the trail is truly important. For this study, during September and October 2017, six research assistants conducted survey on 403 “Dulle-gil” visitors using visual research methods. The answers were analyzed using conditional logistical regression analysis to see if there is any perceived relative importance between different indicators/conditions in the setting. We also studied the preferences of visitors by creating three different levels for each of the settings. As for the result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for the visitors of “Dulle-gil” was on-trail management, followed by off-trail management. The number of visitors and degree of modification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Through this research, we were able to test prevailing theories on outdoor recreation settings. Also,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data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outdoor recreation place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 여가활동 장소에 대한 특성을 자연, 사회, 관리적 측면으로 나누어 시각자료를 활용한 선택모형 방법(stated choice modeling)을 적용하여 야외 여가활동 장소 방문객의 장소 지표 및 수준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북한산 둘 ...
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 여가활동 장소에 대한 특성을 자연, 사회, 관리적 측면으로 나누어 시각자료를 활용한 선택모형 방법(stated choice modeling)을 적용하여 야외 여가활동 장소 방문객의 장소 지표 및 수준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북한산 둘레길 방문객들에게 시각자료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시각자료의 표현은 자연(resource)/사회(social)/관리(managerial)적 3개의 차원으로 세분하여 제시하였다. 설문 참여자는 장소 특성 지표과 지표의 수준을 선별적으로 포함하는 두 가지 종류의 시각자료를 확인한 후, 자신들이 선호하는 둘레길 환경을 포함한 사진을 선택하고 최종 응답하였다. 이러한 선택모형방법(stated choice modeling)을 적용하여 총 403명에게 응답을 얻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등산객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지표는 on-trail 처리 정도이며, on-trail 처리를 많이 할수록 등산객의 선호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off-trail 처리 정도, on-trail 등산객 수, on-trail 변형 정도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off-trail 처리를 많이 할수록, on-trail 등산객 수가 많을수록, on-trail 변형 정도가 클수록 등산객의 선호도가 유의하게 떨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에 off-trail 등산객 수와 off-trail 변형 정도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도출함으로 인하여, 기존의 야외 레크리에이션 선행연구에서 주로 사용된 설문지 응답 형식으로 알 수 없는 야외 여가장소 환경에 대한 방문객의 선호도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결과는 야외레크리에이션 연구 방법의 다양화를 시도하여 새로운 여가환경 관련 정보를 알 수 있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자료는 여가장소 관리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에서 활용될 제시된 선택모형(stated choice modeling)과 시각 자료를 통한 연구방법(visual research methods)은 국내 여가장소 분석에 자주 쓰이지 않았던 새로운 시도로써,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통해 여가활동 장소 특성 및 지표에 대해 더 정확하고 구체적인 ...
본 연구에서 활용될 제시된 선택모형(stated choice modeling)과 시각 자료를 통한 연구방법(visual research methods)은 국내 여가장소 분석에 자주 쓰이지 않았던 새로운 시도로써,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통해 여가활동 장소 특성 및 지표에 대해 더 정확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사회과학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기존의 설문지 방법 연구에서는 응답자에게 현재의 상황이나 의도를 묻기 위하여 언어로써 상황을 설명하고, 응답자의 태도를 Likert 5점 척도를 통해 측정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여가장소 특성에 대해 언어를 통해 묘사하여 그 특성을 설명하는 것은 연구자의 의도가 투영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나, 사진 시각자료를 통해 방문자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은 객관적으로 상황을 묘사하고 연구 참여자의 직관저인 응답을 얻어낼 수 있는 접근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