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대학생 영어 작문 코퍼스에서의 지칭 표현: 응집성을 중심으로
Referential devices in Korean EFL College Students’ Composition Corpus: With a Focus on Cohes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8-S1A5A2A01-2018S1A5A2A01036582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7월 01일 ~ 2019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은주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의 지칭 표현 사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지칭 표현에 대한 연구는 선행사의 빈도 등 단일 요인 분석에 주로 중점을 두어왔으나, 영어 학습자의 지칭 표현의 어휘 통사적 그리고 담화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보다 다각적인 요인에서의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이고 정교한 어휘문법적 분석틀을 이용하여 학습자 지칭표현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지금까지의 학습자 지칭 표현의 분석 대상은 작문 중에서 논설문 위주의 연구로 수행되어왔다. 독자에게 작가의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쓰는 논설문은 그 특성상 사용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다른 종류의 글에선 지칭표현이 다르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한국 학습자들의 지칭표현 사용 양상을 글의 종류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많이 쓰게 되는 설명문과 논설문에서 각각 지칭표현 사용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는 소규모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수행되어 보다 더 큰 샘플에서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코퍼스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학습자의 작문 능숙도 별로 지시표현의 사용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도 고찰하고자 한다.

    위의 사항을 종합하여 본 연구의 연구 목표는 다음의 연구 질문으로 요약될 수 있다.
    1. 한국 EFL 학습자들과 원어민의 지칭표현 사용은 어휘문법적 환경면(선행사, 지시사의 문장 내 위치, 함께 오는 단어)에서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2. 목표어의 작문 수준에 따라 한국 EFL 학습자들의 지칭표현 사용 양상은 어휘문법적 환경면에서 어떻게 달라지는가?
    3. 논설문과 설명문에서 한국 EFL 학습자들과 원어민의 지칭표현 사용 양상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학문적 및 교육적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학문적인 측면에서는 본 연구가 EFL 학습자들의 지칭표현 사용 패턴을 어휘문법 요소별, 작문 수준별, 장르별로 총망라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학습자 관점에서 진행된 지칭표현 관련 연구는 의미론적, 인지적, 화용론적 접근법을 취한 다른 계통의 연구에 비해 늦게 발전한 편이다(Oh, 2009). 그만큼 상대적으로 그 수가 많지 않을뿐더러 지금까지 이루어진 학습자 코퍼스 분석 연구들은 학습자의 지칭표현 사용 패턴에서 특이점을 보이는 몇몇 항목만을 집중 분석하거나 지시 장치의 일부로 간략하게 분석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는 지칭표현을 둘러싼 언어적 주변 환경을 총체적으로 보지 못하고 부분만을 보게 한다는 점에서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었다. 또한 기존 연구들은 논설문에만 편중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 역시 지칭표현 사용의 한 단면만을 보게 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학습자들이 논설문 외의 글을 쓸 때 지칭표현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글의 종류에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패턴이 있는지 등을 밝혀낼 때 지칭표현 연구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 이는 더 나아가 장르나 모국어 전이 등을 연구하는 다른 연구들에도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종합적 분석을 실시하는 최초의 시도인 것이다.

    교육적 측면에서의 기여점은 먼저 한국 영작문 교육의 사각지대에 머물던 담화상에서의 지칭표현에 대해 영어 교육 관계자들과 학습자들의 인식을 제고시키는 효과를 들 수 있다. 지칭표현은 적절히만 사용하면 복잡한 선행 명제를 압축해 새로운 문장에 통합하거나 독자의 주의를 집중시키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한 단어만으로 수행하는 효율적인 응집 장치이다. 이러한 점에서 교육적인 관심을 기울일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지칭표현은 특히 학습자들이 언어 학습 초기부터 배워 다른 어휘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고 익숙하게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돕는다면 교수 노력에 비해 큰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영작 교사와 교재 개발자들이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단순히 직관에 의존한 자료가 아닌 학습자들의 실제 언어 사용을 토대로 얻은 자료라는 점에서 정확한 진단 자료가 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EFL 학습자들에게 맞춤식 교수를 제공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며, 이는 모든 EFL 학습자들에게 통용될 목적의 교재보다 훨씬 효율적일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의 총체적 언어 능력 대신 작문 수준을 기준으로 분석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수준별 작문 지도에도 유용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할 코딩 체계는 지칭표현 사용과 관련해 다뤄져야 할 항목들을 총체적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수업이나 교재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 지칭표현에 대한 소개에 어떤 내용들이 다뤄져야 할지 또는 누락된 중요 내용은 없는지 참조할 수 있는 중요한 체계적인 틀이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 코퍼스에서의 지칭표현 분석을 위한 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코퍼스 수집 및 코딩: 본 연구에서 사용할 학습자 코퍼스는 컴퓨터를 기반으로 조성된 대학생 학습자들의 영어 논설문과 설명문 작문 과제를 사용할 것이다. 학습자 코퍼스는 또한 능숙도 수준에 따라, 상위, 중위, 하위의 세 개의 능숙도 집단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비교할 원어민 병렬 코퍼스는 글의 종류에 따라 설명문과 논설문 자료를 사용하고자 한다. 또한, 지칭표현이 사용되는 어휘 문법적 환경을 포괄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세분화된 분석틀을 사용하여 코딩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틀에는 선행사(통사단위, 위치), 지시사의 문법적 역할, 함께 사용되는 동사, 지시사의 문장내의 위치 등에 따라 각각의 지시사별로 분석한다.

    나. 연구 절차: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콘코던스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관련 지칭표현의 모든 예를 코퍼스에서 검색한다. 둘째, 검색된 지칭표현들은 각 그룹 및 글의 종류 별로 코딩 작업을 거친다. 코딩은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진행하되 사전에 임의로 추출한 100개의 색인(concordance)을 먼저 코딩하여 코딩 결과를 비교해 보고 불일치 부분은 협의를 통해 합의를 본다. 그 뒤 각 그룹에서 검색된 지시표현들을 나눠서 코딩한다. 코딩이 끝난 뒤 상대 연구자의 코딩 작업 중 무작위로 20%를 추출하여 재코딩한 뒤 코딩 일치도를 크론바흐 알파 계수로 구한다. 마지막으로 코딩된 결과를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한다.

    다. 자료 분석: 본 연구의 모든 코딩 데이터는 빈도수를 표준화하여 제시한다. 각 그룹의 지칭표현 사용 패턴을 기술적으로 볼 수 있게 하고자 함이다. 모든 양적 분석 비교는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그룹을 독립 변인으로 어휘문법적 요소들(즉, 선행사의 통사 단위 및 위치, 지시사의 문장 내 위치, 함께 오는 동사, 함께 오는 명사, 수식어 여부, 보어 자리에 사용된 어휘)을 종속 변인으로 넣어 그룹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확인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의 지시사 사용 분석을 그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영어 학습자와 원어민의 코퍼스에서 지시사 사용을 지시사의 종류와 구문 구조에 따라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지시사의 종류에 따라서 학습자와 원어민은 사용 양상이 차이가 있었다. 예를 들면, 선행사의 단위에서는 원어민에서는 절과 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학습자들은 보다 더 적은 비중을 보였다. 그리고 원어민의 경우 지시사 다음에 일반 동사를 주로 사용하는 반면 학습자들은 주로 연결동사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은 지시 형용사와 함께 사용되는 명사로 구체 명사보다 껍질 명사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 영문
  • The study investigates the use of English referential expressions by Korean EFL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both EFL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writing data were compil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the types of referential expressions and syntactic structur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a difference in usage between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depending on the type of referential expressions. The native speakers’ corpus, for example, was dominated by clauses and phrases in the referred linguistic items, but learners’ corpus showed a higher percentage of single nouns. Further, learners’ corpus manifested a tendency to use copula in the contexts in which native speakers would use content/connecting verb phrases. Finally, learners’ data showed a preference of shell nouns over concrete nouns in the use of demonstrative adjectives and noun phras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글의 응집성(cohesion)은 효율적인 작문을 위해 반드시 고려돼야 하는 영역이다. 특히 제공하는 정보량이 많은 글일수록 응집성은 독자의 내용 이해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응집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 지칭 표현을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지칭 표현에 대한 연구는 선행사의 빈도와 같은 단일 요인 분석에 주로 중점을 두었다. 영어 학습자의 지칭 표현의 어휘 통사적 그리고 담화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보다 통합적 분석틀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통합적이고 정교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학습자 지칭표현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지금까지의 학습자 지칭 표현의 분석 대상이 논설문 위주의 연구로 수행되어왔다. 독자에게 작가의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쓰는 논설문은 그 특성상 사용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동시에 다른 종류의 글에선 지칭표현이 다르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현재까지 한국 학습자들의 지칭표현 사용 양상을 글의 종류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지 않았으며,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는 작은 규모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다. 이에 보다 더 큰 샘플에서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코퍼스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를 확인하며, 학습자의 작문 능숙도 별로 지시표현의 사용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도 고찰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의 지시사 사용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연구 질문을 설정했다. 연구에서 답하고자 하는 질문들은 다음과 같다: (1) 지시사의 종류(i.e. this, that, these, those), 문법적 범주(i.e. 지시대명사 vs. 지시형용사), 문장내 위치(i.e. 주어, 목적어, 보어, 수식어) 측면에서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의 지시사 사용은 원어민과 어떻게 다른가?; (2) 선행사의 단위와 위치 측면에서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의 지시사 사용은 원어민과 어떻게 다른가?; (3) 지시대명사의 경우 어휘문법환경 측면에서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의 지시사 사용은 원어민과 어떻게 다른가?; (4) 지시형용사의 경우 뒤따라 나오는 명사의 종류 측면에서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의 지시사 사용은 원어민과 어떻게 다른가?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작문 코퍼스와 원어민 코퍼스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지시사의 종류와 문법 범주에 따라 학습자와 원어민은 그 사용 양상이 차이가 있었다. 즉, this/these에 있어선 학습자 집단이 원어민 집단보다 미사용 양상을 보였지만 that/those에서는 과사용 양상을 보였다. 문법적 범주를 함께 고려해 보았을 때도 학습자 집단이 상대적으로 가장 미사용한 것은 지사대명사 this이다. 문장 내 위치에 따른 차이 또한 관찰되었는데 학습자 집단에서는 목적어/보어 자리에 사용한 지시사가 가장 많았고, 원어민 집단은 주어 자리에 사용한 지시사가 가장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선행사의 단위와 선행사의 위치에 따른 차이에서는 원어민의 경우 구 단위가 52%, 절단위가 38%를 차지하였으나, 학습자 코퍼스에서는 이보다 적은 비중을 보였다. 또한 지시사에 따라 다른 분포 특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주어로 사용된 지시대명사의 후행구조를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원어민의 경우 주어로 사용된 지시대명사 뒤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동사는 연결동사를 제외한 일반동사 였다. 그러나 학습자의 경우 능숙도 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be동사를 연결동사로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지시사가 지시 형용사로 사용되었을 경우 명사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능숙도가 올라가면서 지시형용사와 함께 사용하는 명사로 구체명사보다 껍질명사를 선호하는 경향이 원어민보다 과하게 나타남을 보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한국 영작문 교육의 사각지대에 머물던 지시사에 대해 영어 교육 관계자들과 학습자들의 인식을 제고시키는 효과를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작문에서의 지시사 기능과 지시사가 사용되는 언어적 환경을 총체적으로 다룸으로써 교육 관계자들과 교재 개발자들에게 지시사 역시 영작 교수에서 응당 다뤄져야 할 체계가 있는 응집장치임을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영작 교사와 교재 개발자들이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단순히 직관에 의존한 자료가 아닌 학습자들의 실제 언어 사용을 토대로 얻은 자료라는 점에서 정확한 진단 자료가 될 것이다. 즉,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영어 학습자들에게 맞춤식 교수를 제공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이는 모든 영어 학습자들에게 통용될 목적의 교재보다 훨씬 효율적일 것이다. 학습자들의 총체적 언어 능력 대신 작문 수준을 기준으로 분석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수준별 작문 지도에도 유용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코딩 체계는 지시사 사용과 관련해 다뤄져야 할 항목들을 총체적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수업이나 교재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 지시사에 대한 소개에 어떤 내용들이 다뤄져야 할지 또는 누락된 중요 내용은 없는지 참조할 수 있는 체계적 틀이 될 것이다.
    학문적인 측면에서는 본 연구가 영어 학습자들의 지시사 사용 패턴을 어휘문법 요소별, 작문 수준별로 총망라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학습자 관점에서 진행된 지시사 관련 연구는 의미론적, 인지적, 화용론적 접근법을 취한 다른 계통의 연구에 비해 늦게 발전한 편이다(Oh, 2009). 그만큼 상대적으로 그 수가 많지 않을뿐더러 지금까지 이루어진 학습자 코퍼스 분석 연구들은 학습자의 지시사 사용 패턴에서 특이점을 보이는 몇몇 항목만을 집중 분석하거나 지시 장치의 일부로 간략하게 분석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는 지시사를 둘러싼 언어적 주변 환경을 총체적으로 보지 못하고 부분만을 보게 한다는 점에서 후속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종합적 분석을 실시한 최초의 시도인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 영어 학습자들의 지시사 사용 양태 전체의 윤곽을 구체적으로 드러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지시사 사용에서 모국어의 영향으로 판단되는 부분들을 논의하여 모국어 전이가 관심사인 다른 연구들에도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Kim(2012) 연구와 같이 기존의 한국 영어 학습자들의 지시사 사용을 연구한 연구들 중 비교적 작은 샘플 크기 때문에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어려운 것들을 큰 샘플에서 재검증한다는 점에서도 학문적 기여점을 찾을 수 있다.
  • 색인어
  • 영어 학습, 학습자 코퍼스 분석, 지칭 표현, 응집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