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기본적인 줄기는 불가리아와 한국의 정치 텍스트에 나타나는 은유표현을 연구하는 것이다. 정치 텍스트에 나타나는 정치 언어들은 설득(Persuasion)과 조종(Manipulation)을 전제로 한 언어들로서 그 정치적 목적의 실현을 위해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간접적이고 ...
본 연구의 기본적인 줄기는 불가리아와 한국의 정치 텍스트에 나타나는 은유표현을 연구하는 것이다. 정치 텍스트에 나타나는 정치 언어들은 설득(Persuasion)과 조종(Manipulation)을 전제로 한 언어들로서 그 정치적 목적의 실현을 위해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간접적이고 정치적 결정을 유도하는 은유표현들로 채워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정치 텍스트에 나타나는 은유표현들에 대한 연구는, 특히 정치적 결정을 유도하는 의식 혹은 무의식에 대한 언어적 영향 연구에 가장 적합한 분석 기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택한 국가와 텍스트는 불가리아와 한국, 대통령 선거 연설문이다. 총 2개 년으로 진행될 본 연구에서는 1차 년도에 2017년 치루어진 불가리아 대통령 선거 연설문들을 수집 분석하고, 2차 년도에는 2017년 치루어진 한국 대통령 선거 연설문을 수집 분석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정치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은유표현들을 국가 별로 추출, 비교하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 연구의 1차적인 목표이다. 연구의 2차적인 목표는 은유표현과 인간의 의식, 무의식 간의 상관관계 연구이다. 이 주제는 좀 더 장기적 연구의 성격을 띠기도 하고, 본 연구가 위 주제의 바탕 연구 성격을 띠게 될 것이다. 불가리아인들은 정치 은유에서 주로 스포츠 프레임을 이용하고(미국인들과 유사하게), 한국인들은 정치 은유에서 전쟁 프레임을 이용한다는 선행 연구가 존재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스포츠 프레임, 전쟁 프레임 은유들이 추출될 것이고, 나아가 이들 이외의 다양한 은유 프레임도 발견될 것이다. 이렇게 밝혀진 다양한 은유 프레임, 즉 은유 표현이 불가리아와 한국 대중의 정치적 결정에 어떠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지를 밝히는 것이 위에서 언급한 2차적인 연구 목표이다. 은유표현이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 사물과의 유사성을 담보로 구체적으로 표현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불가리아와 한국에서 자주, 중요하게 사용되는 정치 은유들은 결국 양국의 대중들의 의식과 무의식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치는 기제라고 볼 수 있으며, 이것을 밝히는 것은 언어를 통한 의식, 무의식의 해석이라는 대단히 도전적인 연구 목표가 되는 것이다. 본 연구가 지향하는 바가 바로 이러한 은유를 통한 의미와 영향의 흐름 연구이다.
기대효과
본 연구를 통하여 산출된 중간 결과물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 중간 결과물로는 1차 년도에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추출된 2017년 불가리아 선거 관련 후보자들의 연설문이 있을 것이며(약 50개), 이를 분석하여 발표한 학술대회 발표 논문(프로 ...
본 연구를 통하여 산출된 중간 결과물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 중간 결과물로는 1차 년도에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추출된 2017년 불가리아 선거 관련 후보자들의 연설문이 있을 것이며(약 50개), 이를 분석하여 발표한 학술대회 발표 논문(프로시딩), 그리고 연구재단 등재지에 게재된 전문 학술논문이 1개 이상 나오게 될 것이다. 동일한 규모의 연구 결과물이 2차 년도에도 생성될 것이다. 결국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재단 등재지 논문 2편 이상, 학술대회 발표 논문 2편 이상, 불가리아와 한국의 대통령 선거관련 연설문 자료 100개 이상 등이 연구결과로 나오게 될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자는 국제저명학술지(A&HCI급)에 1개 논문을 투고하여 게재도 진행할 계획이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하여 수집되고 분석되는 자료들은 대학원 과정에서 교육 및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학부 수업에도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언어학 분야의 연구방향은 형식 보다는 의미가 중요시 될 공산이 크다. 이러한 점에서 정치 분야에서 은유표현의 연구는 사회적으로 다수 활용될 수 있으며, 전산처리 되지 못하는 의미 분야의 중요한 연구자산이 되어, 인문학 연구의 새로운 방향으로 자리를 잡고, 나아가서는 언어를 컴퓨터로 번역하고 처리하는 기계와의 접점 연구에서도 중요한 방향타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후 “은유표현이 인간의 의식, 무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하는 대 주제에 대한 지속적인 후속연구를 계속이어 갈 것이다.
연구요약
2017년 불가리아와 한국은 공히 대통령 선거를 치루게 된다. 양국에서 대통령 선거는 국민들의 가장 중요한 정치적 의사결정 현장이다. 대통령 선거를 위하여 국회를 비롯한 다수의 장소와 대중들 앞에서 후보자들은 정치 연설을 행하게 되고, 대중들의 정치적 결정을 유 ...
2017년 불가리아와 한국은 공히 대통령 선거를 치루게 된다. 양국에서 대통령 선거는 국민들의 가장 중요한 정치적 의사결정 현장이다. 대통령 선거를 위하여 국회를 비롯한 다수의 장소와 대중들 앞에서 후보자들은 정치 연설을 행하게 되고, 대중들의 정치적 결정을 유도하는 은유적 표현을 발산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치 텍스트가 다수 양산되던 2017년 불가리아 및 한국 대통령 선거의 연설문을 연구의 재료로 삼는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주제, 분량, 은유표현의 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연설문들을 1차적으로 선별하고, 이 텍스트들에 나타난 은유적 표현을 추출하는 것을 1단계의 연구 작업으로 삼는다. 현재 예상하는 양국의 분석 연설문 숫자는 각각 50개로 잡고 있다(총 100개 연설문). 1차적으로 추출된 은유표현들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 2단계 작업이다. 주로 각 차년도 중반기에 이루어질 이 작업에서 연구자는 1차 년도에는 불가리아 정치 텍스트에서 사용되는 은유표현을 프레임(Frame)화하여 그 종류와 특성을 분석할 것이다. 동일한 작업이 2차 년도에는 한국 정치 텍스트에 적용될 것이다. 현재 예상되는 대표적인 프레임으로는 전쟁 프레임, 스포츠 프레임, 여행 프레임, 음식 프레임, 동물 프레임 등이 있다. 2차 년도 후반기에는 하나의 작업을 더 추가하여 불가리아와 한국 정치 텍스트에서 은유표현의 특성을 비교 연구할 것이다. 이것은 결국 본 연구의 대 주제이자 제목과도 일맥상통하는 “은유표현과 무의식적 상관관계”에 대한 기반연구이다. 가령 예를 들면, 기존의 연구에서 보면 “미국의 정치 은유는 스포츠 은유가 다수이고, 한국의 정치 은유에는 전쟁 은유가 다수를 차지한다” 등의 연구가 존재하고 있다. 한국의 정치 은유 연구를 통하여 이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도 이루어 질 것이며, 불가리아와의 정치 은유 비교 연구를 통하여, 불가리아 특이적이라 한국인이 이해하지 못하는, 혹은 그 반대의 경우에 해당하는 은유표현들을 따로 추출 심도 있게 연구하여 문화 특이성과 은유표현의 차이, 무의식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기술도 진행할 계획이다. 전체적으로 2017년 불가리아와 한국에서 동시에 진행된 대통령 선거 연설문을 분석함으로서 시간성의 일치와 공간성의 차이를 유지하고, 총 100개의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연구결과의 객관성을 담보하며, 개별 국가들에서 나타나는 정치 텍스트 은유표현의 특성을 심도 있게 분류, 연구함으로서 기존 연구에 대한 검증과 새로운 연구결과 도출, 양국 간 문화 특이적 은유표현을 상호 비교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은유표현이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에 어떻게 작용하는 가?” 하는 좀 더 본질적인 연구 주제에 대한 중요 기반 연구가 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의 기본적인 줄기는 불가리아와 한국의 정치 텍스트에 나타나는 은유표현을 연구하는 것이다. 정치 텍스트에 나타나는 정치 언어들은 설득(Persuasion)과 조종(Manipulation)을 전제로 한 언어들로서 그 정치적 목적의 실현을 위해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간접적이고 ...
본 연구의 기본적인 줄기는 불가리아와 한국의 정치 텍스트에 나타나는 은유표현을 연구하는 것이다. 정치 텍스트에 나타나는 정치 언어들은 설득(Persuasion)과 조종(Manipulation)을 전제로 한 언어들로서 그 정치적 목적의 실현을 위해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간접적이고 정치적 결정을 유도하는 은유표현들로 채워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정치 텍스트에 나타나는 은유표현들에 대한 연구는, 특히 정치적 결정을 유도하는 의식 혹은 무의식에 대한 언어적 영향 연구에 가장 적합한 분석 기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치 텍스트가 다수 양산되던 2017년 불가리아 및 한국 대통령 선거의 연설문을 비롯한 정치인들의 연설문이나 인터뷰 자료들을 연구의 재료로 삼는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주제, 분량, 은유표현의 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연설문들을 1차적으로 선별하고, 이 텍스트들에 나타난 은유적 표현을 추출하는 것을 1단계의 연구 작업으로 삼는다. 1차적으로 추출된 은유표현들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 2단계 작업이다. 연구자는 1차 년도에는 불가리아 정치 텍스트에서 사용되는 은유표현을 프레임(Frame)화하여 그 종류와 특성을 분석한다. 동일한 작업이 2차 년도에는 한국 정치 텍스트에 적용된다. 대표적인 프레임으로는 전쟁 프레임, 스포츠 프레임, 여행 프레임, 음식 프레임, 동물 프레임 등이 있다. 이것은 결국 본 연구의 대 주제이자 제목과도 일맥상통하는 “은유표현과 무의식적 상관관계”에 대한 기반연구이다. 가령 예를 들면, 기존의 연구에서 보면 “미국의 정치 은유는 스포츠 은유가 다수이고, 한국의 정치 은유에는 전쟁 은유가 다수를 차지한다” 등의 연구가 존재하고 있다. 한국의 정치 은유 연구를 통하여 이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도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불가리아와의 정치 은유 비교 연구를 통하여, 불가리아 특이적이라 한국인이 이해하지 못하는, 혹은 그 반대의 경우에 해당하는 은유표현들을 따로 추출 심도 있게 연구하여 문화 특이성과 은유표현의 차이, 무의식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기술도 진행하게 될 것이다.
영문
This study primarily extracts metaphor expressions in the speeches of Bulgarian and Korean political figures such as the President and Prime Minister. It is to trace what metaphorical strategy was used to convey the intention of them. The argument tha ...
This study primarily extracts metaphor expressions in the speeches of Bulgarian and Korean political figures such as the President and Prime Minister. It is to trace what metaphorical strategy was used to convey the intention of them. The argument that metaphor is the main mechanism of political activity supports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is study. As can be seen in the title of this paper, this paper traced back what decisions or sentiments in political speeches or hidden metaphors provoke voters or their peopl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the first stage of this project first examines the main concepts of metaphor.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second stage of this project analyzes the metaphors of Bulgarian and Korean politician speeches and describe the results. Onlin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that the subjects were collected with time differences in order to prevent the data from being concentrated at one time or a specific event. Analyzes of speeches and interviews of Bulgaria's and Korea's leading politicians, presidents and prime ministers, show that various metaphorical mechanisms are used. The metaphors used in the persuasion of the public for their political purposes were diverse. In addition to these metaphorical usages, this study found that metaphoric usages were also changed according to one's own political position and personal inclination. This is the two year's project.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의 기본적인 줄기는 불가리아와 한국의 정치 텍스트에 나타나는 은유표현을 연구하는 것이다. 정치 텍스트에 나타나는 정치 언어들은 설득(Persuasion)과 조종(Manipulation)을 전제로 한 언어들로서 그 정치적 목적의 실현을 위해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간접적이고 ...
본 연구의 기본적인 줄기는 불가리아와 한국의 정치 텍스트에 나타나는 은유표현을 연구하는 것이다. 정치 텍스트에 나타나는 정치 언어들은 설득(Persuasion)과 조종(Manipulation)을 전제로 한 언어들로서 그 정치적 목적의 실현을 위해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간접적이고 정치적 결정을 유도하는 은유표현들로 채워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정치 텍스트에 나타나는 은유표현들에 대한 연구는, 특히 정치적 결정을 유도하는 의식 혹은 무의식에 대한 언어적 영향 연구에 가장 적합한 분석 기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치 텍스트가 다수 양산되던 2017년 불가리아 및 한국 대통령 선거의 연설문을 비롯한 정치인들의 연설문이나 인터뷰 자료들을 연구의 재료로 삼는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주제, 분량, 은유표현의 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연설문들을 1차적으로 선별하고, 이 텍스트들에 나타난 은유적 표현을 추출하는 것을 1단계의 연구 작업으로 삼는다. 1차적으로 추출된 은유표현들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 2단계 작업이다. 연구자는 1차 년도에는 불가리아 정치 텍스트에서 사용되는 은유표현을 프레임(Frame)화하여 그 종류와 특성을 분석한다. 동일한 작업이 2차 년도에는 한국 정치 텍스트에 적용된다. 대표적인 프레임으로는 전쟁 프레임, 스포츠 프레임, 여행 프레임, 음식 프레임, 동물 프레임 등이 있다. 이것은 결국 본 연구의 대 주제이자 제목과도 일맥상통하는 “은유표현과 무의식적 상관관계”에 대한 기반연구이다. 가령 예를 들면, 기존의 연구에서 보면 “미국의 정치 은유는 스포츠 은유가 다수이고, 한국의 정치 은유에는 전쟁 은유가 다수를 차지한다” 등의 연구가 존재하고 있다. 한국의 정치 은유 연구를 통하여 이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도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불가리아와의 정치 은유 비교 연구를 통하여, 불가리아 특이적이라 한국인이 이해하지 못하는, 혹은 그 반대의 경우에 해당하는 은유표현들을 따로 추출 심도 있게 연구하여 문화 특이성과 은유표현의 차이, 무의식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기술도 진행하게 될 것이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 과정을 통하여 수집되고 분석되는 자료들은 대학원 과정에서 교육 및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학부 수업에도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언어학 분야의 연구방향은 형식보다는 의미가 중요시 될 공산이 크다. 이러한 점에서 정치 분야에서 은 ...
본 연구 과정을 통하여 수집되고 분석되는 자료들은 대학원 과정에서 교육 및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학부 수업에도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언어학 분야의 연구방향은 형식보다는 의미가 중요시 될 공산이 크다. 이러한 점에서 정치 분야에서 은유표현의 연구는 사회적으로 다수 활용될 수 있으며, 인간이 구사하는 언어 표현들 중에서 전산적으로 처리 되지 못하는 의미 분야의 중요한 연구자산이 되어, 인문학 연구의 새로운 방향으로 자리를 잡고, 나아가서는 언어를 컴퓨터로 번역하고 처리하는 기계와의 접점 연구에서도 중요한 방향타 역할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