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충분한 영어 학습 기회를 제공받지 못한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들이 대학의 영어수업에 어떻게 적응하고 어떤 학습태도를 나타내는지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대학 입학 전 단계의 영어 학습이 부족한 특성화 고교 졸업생들이 대학의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충분한 영어 학습 기회를 제공받지 못한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들이 대학의 영어수업에 어떻게 적응하고 어떤 학습태도를 나타내는지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대학 입학 전 단계의 영어 학습이 부족한 특성화 고교 졸업생들이 대학의 영어수업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학습 태도에 대하여 고찰하여 궁극적으로 기초학습이 결핍된 영어 학습자들을 위한 대학과정의 학습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제기된다. 고등교육이 보편화되면서 국내 대학에는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진학을 하며, 이 가운데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대학 진학을 목표로 교육을 받아온 일반 고등학교 졸업생에 비하여 현장실습 위주의 교육을 받은 특성화고 졸업생이 대학의 영어 학습에서 겪는 어려움은 현실적으로 매우 크다. 많은 대학들은 교양영어를 필수교과로 정하고 있으며, 전공교과에서도 영어 원서를 교재로 사용하거나 영어로 진행되는 수업도 있다. 그러나 특성화고 졸업생들은 고등학교에서 현장실습 교육이 강조됨에 따라 심화단계의 영어수업을 받은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대학 수준의 학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영어 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진학하게 된다(하명애, 김정옥, 2014). 박미희와 흥백의(2010)는 우리나라의 대학 입학전형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으나 다양한 배경을 지닌 학생들의 대학 진학 이후의 학업수행에 대한 고려와 관심은 부족하다고 지적하며, 이들이 대학의 학업수행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특성화고 졸업생을 포함한 사회통합 전형을 통해 입학한 대학생은 특히 영어능력의 부족에 대해 매우 심각하게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다. 이 같은 점에서,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충분한 영어 학습 기회를 제공받지 못한 특성화고 졸업생들이 대학의 영어수업에 어떻게 적응하는가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특성화고 영어 학습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특성화고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부분 설문조사를 이용한 정량적 연구로 이뤄져 개별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경험과 학습태도를 이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특성화 고교를 졸업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대학의 영어수업에 적응하는 과정과 학습태도의 변화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특성화고 출신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대학의 영어수업을 고찰한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차별성이 있는 주제이다. 즉,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방법으로 주로 이뤄진 선행연구에서 연구대상과 범위를 대학교육으로 확대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탐색하고자 하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대학의 교양영어 수업과 영어 원서로 진행되는 전공교과의 영어수업에서 특성화고 출신 대학생이 경험하는 학습의 어려움은 무엇이며, 영어수업을 이해하는 정도는 어느 수준이며, 어떻게 영어수업에 적응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의 대학 입학 이전의 영어 학습 경험은 어떠하며 대학의 영어수업에는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가? 연구 문제 2: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이 대학의 영어 학업과정에서 겪는 구체적인 어려움은 무엇이며 인지된 어려움에 대한 대응은 회피적인가 도전적인가? 연구 문제 3: 특성화고 졸업생이 대학의 영어수업에서 어떠한 학습태도 변화를 보이며 학습태도 변화에 기인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기대효과
본 연구의 학문적인 측면, 사회적인 측면, 그리고 교육과의 연계활용 측면에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문적 기여도 ① 기존의 선행연구가 특성화고등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수업 만족도나 학습태도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진 반면, 특성화고등학교를 ...
본 연구의 학문적인 측면, 사회적인 측면, 그리고 교육과의 연계활용 측면에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문적 기여도 ① 기존의 선행연구가 특성화고등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수업 만족도나 학습태도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진 반면, 특성화고등학교를 졸업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과정의 영어수업에 관한 연구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특성화 고교를 졸업한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대학의 영어교육을 고찰하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적인 학술적인 기여를 할 것이다. ②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충분한 영어 학습 기회를 제공받지 못한 대학생 학습자들이 대학의 영어수업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파악하여 기초수준 학습자의 영어 학습과정에 대하여 이해하며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③ 대학 입학 전 단계의 사전학습이 결여된 하위수준의 영어 학습자들을 위한 대학과정의 학습 지원 방안과 관련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과 연구를 촉진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이는 영어 학습의 실패를 경험한 성인 학습자를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2) 사회적 기여도 ① 본 연구는 대학 입학 이전 단계의 영어교육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들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한다. 사전 단계의 영어교육에서 소외되었던 학습자들이 대학교육을 통하여 성공적인 영어 학습자가 될 수 있도록 학습 지원과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교육 기회와 교육 결과의 평등을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② 특성화고 출신 대학생들의 영어 학습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학습 실패 경험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교육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이들이 대학교육에서 이탈되는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③ 영어 능력이 개인의 경쟁력을 판단하는 도구가 되는 현실에서 특성화고 졸업생들의 대학 영어수업의 적응에 관심을 가지고 학습의 방안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글로벌 시대의 경쟁력을 갖춘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3)교육 및 후속연구와의 연계 활용방안 가. 교육 연계 활용방안 ① 영어의 사전 지식이 결핍된 특성화고 출신 대학생들을 위한 기초수준의 영어 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학습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② 하위수준의 대학생 학습자를 위하여 효과적인 교양영어 수준별 수업 지도안을 구성하는데 본 연구를 활용할 수 있다. ③ 교수들로 하여금 특성화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의 영어 학습 환경과 어려움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학생상담과 학습지도 등의 실질적인 현장교육에 도움을 주는데 활용할 수 있다.
나. 후속연구와의 활용방안 ① 본 연구를 통하여 사전 학습이 결여된 특성화 고교 졸업생들의 대학 영어교육의 적응 과정에 대하여 성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학습 인식과 학습 태도에 대한 장기적인 종단연구를 실시할 수 있는 토대로 활용할 수 있다. ② 상업계 및 공업계열 특성화교 졸업생들의 대학 전공을 고려하여 상업계 및 공업계 학생들을 위한 특수목적영어(ESP: English for Special Purpose) 교과과정의 교수요목을 개발하고 구성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③ 대학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배경을 지닌 학생들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을 고려한 학습 환경을 구축하는데 본 연구를 활용할 수 있다.
연구 문제 1: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의 대학 입학 이전의 영어 학습 경험은 어떠하며 대학의 영어수업에는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가? 연구 문제 2: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이 대학의 영어 학업과정에서 겪는 구체적인 어려움은 무엇이며 인지된 어려움에 대한 대응은 회피적인가 도전적인가? 연구 문제 3: 특성화고 졸업생이 대학의 영어수업에서 어떠한 학습태도 변화를 보이며 학습태도 변화에 기인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연구요약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충분한 영어 학습 기회를 제공받지 못한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들이 대학의 영어수업에 어떻게 적응하고 어떤 학습과정과 학습태도를 보이는지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의 분석 및 특성화고 영어수업 관찰을 통하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충분한 영어 학습 기회를 제공받지 못한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들이 대학의 영어수업에 어떻게 적응하고 어떤 학습과정과 학습태도를 보이는지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의 분석 및 특성화고 영어수업 관찰을 통하여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 연구 참여자의 비구조화된 면담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여 본 연구 목적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는 개별 학습자가 경험한 대학 영어수업의 적응과정을 현장성 있는 경험을 바탕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자료 수집은 선행연구 조사, 특성화고 영어수업 관찰, 면담 조사, 연구 참여자의 대학 영어수업 이해도 확인, 자료 분석의 영어교육 전문가 2인의 조언 등을 통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단계와 추진 전략은 다음과 같다.
나. 연구 단계와 추진 전략 (1) 연구 준비 단계: 선행연구 분석 특성화고등학교의 영어교과 분석과 학습자의 영어 학습 동기에 대한 선행 연구를 조사하고 분석할 것이다. 특성화고 영어수업 현황과 학생들의 영어 학습 태도와 영어수업 인식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한다.
(2) 현장 수업 관찰 단계: 특성화고 영어교과 수업관찰 실제 특성화고등학교의 영어수업을 관찰하여 교사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 학습 태도 등에 대하여 조사한다. 특성화고 영어수업의 환경과 수업에서 이뤄지는 학습 활동을 관찰하고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3) 참여자 모집 단계: 연구 대상자 선정 본 연구는 면담조사를 활용한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하므로 참여자 모집은 본 연구에서 매우 주요한 출발점이 된다. 연구자가 재직하는 학교의 학생들 가운데 연구대상을 목적 샘플링 기법(purpose sampling technique)으로 모집할 것이며, 참여자 요건은 다음과 같다: 1) 특성화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 대학 진학 후 한 학기 이상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하였거나 혹은 전공수업에서 영어 원서교재를 사용한 수업을 수강한 적이 있고 3)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의사가 있는 학생이다. 연구자는 요건에 부합하는 연구 참여자를 7~8명 내외로 모집할 예정이며 연구 참여 동의를 얻어 참여자 당 각 4회씩의 면담조사를 실시할 것이다.
(4) 자료 수집 단계: 다각도의 자료 수집 본 연구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활동으로 모집된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비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할 것이다. 면담조사를 통하여 참여자의 정보를 얻고 본 연구를 위한 실질적인 자료를 수집할 것이다. 또한 참여자의 영어 교재와 노트를 검토하고 이해 정도를 질의하여 연구자 노트로 기록한다. 연구자 노트는 참여자의 대학 영어수업 이해 정도와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한 반응 등을 기록하여 연구 자료로 활용한다. (첨부된 연구계획서 연구방법의 연구도구 참조)
(5) 수집된 자료 분석 단계: 질적 분석 및 타당성 검토 연구 참여자의 비구조화된 면담을 전사(transcribing)하여 문서화한 자료와 면담조사를 진행하며 연구자가 기록한 메모를 분석 자료로 활용한다. 자료의 코딩과 분석은 Corbin와 Strauss(2008)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접근방법을 적용하여, 개방코딩(open coding), 축 코딩(axial coding), 선별 코딩(selective coding) 단계를 거치면서 코딩 범주의 체계화가 이뤄지도록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또한 자료 분석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영어교육 전문가 2인의 조언을 참조할 것이다.
(6) 연구 집필 단계: 연구결과 공유 및 확산 본 연구를 통하여 1년간 수집된 자료와 분석 결과를 중점적으로 집필할 것이며, 집필된 연구물을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및 학술지에 투고하여 연구결과를 공유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특성화고 졸업생들이 대학의 영어수업에 적응하는 과정과 학습 태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가 목적 샘플링 기법(purposive sampling technique)으로 모집한 12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3 ...
본 연구는 특성화고 졸업생들이 대학의 영어수업에 적응하는 과정과 학습 태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가 목적 샘플링 기법(purposive sampling technique)으로 모집한 12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3회에 걸쳐 반구조적인(semi-constructed)면담조사를 진행하였다.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각 3회의 면담조사 자료들은 녹음되고 전사되어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Corbin과 Strauss(2008, 2015)의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 분석방법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적용하여 개방코딩(open coding)의 개념화와 축코딩(axial coding)의 범주화를 거쳐 개방코딩과 축코딩에서 누적된 분석을 통해 선택코딩(selective coding)의 핵심 범주(core category)를 생성하는 단계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성화고 졸업생들은 대학의 영어 학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사전 학습의 결여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누적된 학습 결핍은 영어 학습에 대한 불안감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자들은 대학 영어수업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도움 요청을 기피하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이는 특성화고 출신의 노출을 기피하는 현상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 그럼에도 영어를 잘 하고 싶은 욕구와 학습 동기를 가지고 있으며 더불어 영어 학습법에 대한 도움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 입학 이전 단계에서 충분한 영어 학습 기회를 갖지 못한 특성화 고등학교 졸업생들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영어교육에서 소외되었던 학습자들이 대학교육을 통하여 성공적인 영어 학습자가 될 수 있도록 기초 수준의 영어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제언한다. 또한 특성화고 졸업생들의 영어 학습 못지않게 학습자들의 동기 고취 등을 위한 다양한 동기 프로그램에 대한 학교 차원의 관심과 지원도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daptation and learning attitude towards college English classes.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research interviews were perform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earcher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daptation and learning attitude towards college English classes.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research interviews were perform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12 participants through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and semi-construct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each participant were conducted three times. Three interviews with each participant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used as analytical data. The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grounded theory(Corbin & Strauss, 2008, 2015) creating core categories of selective coding through the cumulative analysis after conceptualizing open coding and categorizing axial cod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had difficulties studying English at college classes due to their lack of English knowledge, which led to learning anxiety. Participants also showed the passive attitudes toward asking for help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mselves to university English classes,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phenomenon that they were reluctant to reveal what they had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Nevertheless, they had the desire of learning English and learning motivation, and expected to get support for English learning method. This study stems from the attention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who haven't had sufficient opportunities for learning English before entering college. This study suggests that providing basic English education programs for those who have been isolated from English education would improve outcomes for English learners through college education. This study also implies the necessity of college support and help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not only for their English learning but also for motivational improvement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고등교육의 보편화로 국내 대학에는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대학 진학을 하며 이 가운데 특성화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도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는 대학 진학을 목표로 교육을 받아온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이 아닌, 현장실습 위주의 교육을 받은 특성화고 졸업생들이 ...
고등교육의 보편화로 국내 대학에는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대학 진학을 하며 이 가운데 특성화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도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는 대학 진학을 목표로 교육을 받아온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이 아닌, 현장실습 위주의 교육을 받은 특성화고 졸업생들이 대학의 영어수업에 적응하는 과정과 학습태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학 입학 전 단계에서 영어 학습이 부족한 특성화고 졸업생들이 대학의 영어수업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학습태도에 대하여 고찰하여 궁극적으로 기초학업이 결핍된 영어학습자들을 위한 대학과정의 학습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고등학교 졸업생의 대학 입학 이전의 영어 학습 경험은 어떠하며 대학의 영어수업에는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가? 둘째, 특성화고 출신 대학생이 대학의 영어 학업수행 과정에서 겪는 구체적인 어려움은 무엇이며 인지된 어려움에 대한 반응은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 출신 대학생의 영어 학습태도는 고교시절과 대학 진학 후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론에 기초하여 면담조사를 활용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가 목적 샘플링 기법(purposive sampling technique)으로 모집한 12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3회에 걸쳐 반구조적인(semi-constructed)면담조사를 진행하였다.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각 3회의 면담조사 자료들은 녹음되고 전사되어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Corbin과 Strauss(2008, 2015)의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 분석방법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적용하여 개방코딩(open coding)의 개념화와 축코딩(axial coding)의 범주화를 거쳐 개방코딩과 축코딩에서 누적된 분석을 통해 선택코딩(selective coding)의 핵심 범주(core category)를 생성하는 단계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특성화고 영어 학습 경험에 대하여 불충분한 학습 기회를 두드러지게 들었으며 이로 인하여 대학 영어수업에서 학습 불안감, 과제 수행 및 수업 이해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대학 과정의 영어 학습을 성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특성화고 영어 학습 경험에 대하여 불충분한 학습 기회를 두드러지게 들었으며 이로 인하여 대학 영어수업에서 학습 불안감, 과제 수행 및 수업 이해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대학 과정의 영어 학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이는 누적된 선수 학습의 결핍이 기인 요인으로 분석된다. 둘째, 참여자들은 대학 영어수업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도움 요청을 기피하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이는 특성화고 출신의 노출을 기피하는 현상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 참여자들은 대학의 영어수업 적응을 위하여 주변 지인의 도움보다는 인터넷 활용을 선호하는 현상이 두드러졌으나 표절이나 지적재산권 침해에 대한 문제의식은 희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면담 결과 참여자들은 영어의 기초적인 문법 요소와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어려워하였으며, 영어 문장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 보다는 단어를 유추하여 의미를 추측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참여자들은 누적된 영어 학습의 어려움에도 대학 진학 후 영어 학습 동기와 태도에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대학 과정을 통해 영어 능력 향상에 대한 기대를 보였으며, 영어의 내재적 동기와 필요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와 활용방안을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충분한 영어 학습 기회를 제공받지 못한 대학생 학습자들이 대학의 영어수업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파악하여 기초수준 학습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교양영어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둘째, 대학 입학 전 단계의 사전학습이 결여된 하위수준의 영어 학습자들을 위한 대학과정의 학습 지원 방안과 관련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과 연구를 촉진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이는 영어 학습의 실패를 경험한 성인 학습자를 위한 교수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셋째, 대학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배경을 지닌 학생들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켜 교육관계자들로 하여금 특성화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학생상담과 학습지도 등의 실질적인 현장교육에 도움을 주는데 활용할 수 있다. 넷째, 특성화고 출신 대학생들의 영어 학습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학습 실패 경험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교육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이들이 대학교육에서 이탈되는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다섯째, 영어 능력이 개인의 경쟁력을 판단하는 도구가 되는 현실에서 특성화고 졸업생들이 대학 교육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글로벌 시대의 경쟁력을 갖춘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색인어
특성화 고등학교, 대학생 영어 학습자, 대학 영어교육, 교양영어교육, 영어 학습 경험, 하위 수준 학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