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복합양식 텍스트성과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 연구
A study of multimodal textuality and multimodal text reading abili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8-S1A5A2A01-2018S1A5A2A01037218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2 년 6 개월 (2018년 07월 01일 ~ 2020년 12월 31일)
연구책임자 서혁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디지털 매체의 발달로 문식 환경과 의사소통 방식에 변화가 일어났고, 이러한 변화가 텍스트의 존재 양태 및 소통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복합양식 텍스트(multimodal text)가 핵심적 소통 매체로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 관련 연구들은 디지털 매체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의사소통 방식에 주목하고, 복합양식 텍스트와 그 읽기 관련 연구도 관심을 끌고 있다. 이로 인하여 다양한 감각 기반 양식의 사용과 이것들의 복합적·동시다발적 작용, 비선조성, 링크에 기반한 텍스트의 확장성(하이퍼텍스트), 이에 따른 텍스트와 독자 간 상호작용성 확대, 독자의 구성자로서의 역할 강조 등의 논의들이 일부 진행되었다. 그러나 인쇄 매체 기반의 텍스트와 다른 복합양식 텍스트의 특성, 즉 다양한 기호들의 존재적 특성과 그에 따른 새로운 의사소통 방식에 대한 규명이 더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새로운 문식 환경에 걸맞은 읽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읽기 교육의 구체화 방안과 관련되므로 기존 연구와는 다른 방향에서 복합양식 텍스트와 그 읽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문자 텍스트와 대별되는 복합양식 텍스트의 특성을 텍스트성 차원에서 구조화하고,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가 문자 텍스트 읽기와 어떻게 같고 다른지 구체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복합양식 텍스트가 문자 텍스트와 달리 독자에게 요구하는 행위는 무엇이며, 이를 유도하는 텍스트적 기제는 무엇인지, 나아가서 이러한 복합양식 텍스트의 행동유도성(affordance)에 독자들이 어떻게 대응해 문식 실천을 하고 있는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문자 중심 텍스트와는 다른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로서의 특성[textuality]을 재검토하고 체계화하고자 한다. 기존 논의들은 문자와 문자 외의 양식들이 기호로 작용됨에 따라 달라지는 몇몇 특성이나 ‘복합양식성’이라는 거시적 차원에서 확장된 기호의 존재와 작용에 주목하거나, 문자 텍스트 중심의 텍스트성 기준을 그대로 차용하여 복합양식 텍스트의 특성들을 살피는 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로서의 존재 특성과 소통 방식에 주목하여, 복합양식 텍스트성을 개념화하고 그 기준 요소를 재구조화하고자 한다.
    둘째,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과 문자 텍스트 읽기 능력의 관계를 규명하여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이론적 검토 차원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과 문자 텍스트 읽기 능력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핀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의 구인들이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준거나 검사 도구 또한 구체적 검토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의 구인 설정 및 평가 준거의 마련, 두 읽기 능력 간 상관 및 영향 관계를 명료하게 확인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독자의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수행을 조사하여 독자들의 수행 양상을 밝혀내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문자 텍스트 읽기와 달리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를 할 때 학생들의 인지적 부담은 어떻게 달라지며, 두 읽기 간에 어떠한 차이가 어떻게 왜 나는지를 밝혀내고자 한다. 아울러, 독자들은 각각의 텍스트에 대해 어떠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며, 어떠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며 이를 해결해 나가는 방식상의 특징은 어떠한지 등을 분석해 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지식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학생들의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 및 수행 양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원이 필요한 부분을 구체화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교육의 목표와 성격, 범위와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연구 기대 효과를 학문적, 교육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학문적 측면으로는 (1)복합양식 텍스트성 정립을 통해 복합양식 텍스트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수 있다. 복합양식 텍스트의 존재 양태와 특성, 소통 방식 등을 구체화하고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성 및 기준 요소를 재정립하여 복합양식 텍스트를 수용‧생산하는 활동 전반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는 개념적 틀을 제공할 수 있다.
    (2)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 구인 및 평가 준거를 설정하고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와 문자 텍스트 읽기 능력 간 관계를 규명하여,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주제를 파생시킬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3)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수행에 관한 실증적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는 독자의 인지적 부담과 이를 해결해나가기 위한 읽기 전략 사용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여,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및 독자 수행에 관한 국어교육 분야의 이론 연구, 나아가 관련 정책 연구, 실행 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교육적 측면으로는 (1)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평가 실행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의 구인 및 평가 준거를 설정함으로써,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수행의 수준을 체계화하고 이를 평가하기 위한 실행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보다 종합적인 디지털 텍스트 읽기 평가 도구의 개발을 가능케 할 것이다.
    (2)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의 구체화‧체계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복합양식 텍스트성과 이를 읽는 독자의 능력 및 수행 특성을 규명하여, 복합양식 텍스트의 생산 및 수용에 대한 교재,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안 등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유형별 읽기 능력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현재의 문식 환경이 독자에게 요구하는 읽기 능력의 전체상을 확인하고, 읽기 교육의 성격과 목표, 내용과 방법 등을 구체화하기 위한 바탕을 제공할 것이다.
    (3)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의 체계화·전문화를 위한 이론적·실천적 지식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성과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 및 수행 특성을 규명하여,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수행의 과정과 수준을 살필 수 있는 이론적 지식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또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의 구인 및 평가 준거를 살피기 위해 수집한 제반 자료 및 결과는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을 체계화·전문화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의 축적에 기여할 것이다.
    사회·문화적 측면으로는 (1)복합양식 텍스트 및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에 대한 사회·문화적 이해를 제고할 수 있다. 이는 미래 사회에서의 새로운 리터러시 문화를 이해하고 대응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
    (2)바람직한 복합양식 텍스트 수용과 생산 문화를 조성할 수 있다.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 및 수준, 능숙한 독자의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양상을 확인하여 복합양식 텍스트를 생산·수용하는 양상과 방법에 대한 이해를 구체화할 수 있다.
    (3)복합양식 텍스트 기반 문식 능력을 갖춘 미래사회의 시민을 양성하는 데 필요한 사회적·제도적 기반 마련에 참조가 될 수 있다. 복합양식 텍스트를 이해하고 생산하는 문식 능력은 디지털 문식 환경에서 요구되는 핵심적 의사소통 능력인 바,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을 구체화함으로써 미래사회의 시민들에게 요구되는 새로운 리터러시 교육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복합양식 텍스트의 대두라는 문식 환경의 변화에 따라 텍스트의 존재 양태와 소통 방식 또한 다양한 양식을 사용하고 해석해야 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그 교육적 대안 마련 또한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1)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로서의 특성과 구조에 대한 이해, (2)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과 문자 텍스트 읽기 능력의 관계 규명, (3)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수행에 대한 이해 제고, (4)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에 대한 읽기 교육적 지원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복합양식 텍스트의 특성 및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과 수행 양상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지식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복합양식 텍스트성(multimodal textuality)을 개념화하고, 복합양식 텍스트의 기준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복합양식 텍스트의 개념 및 특성과 기존의 문자 텍스트의 텍스트성에 대한 국내외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복합양식 텍스트성을 개념화하며 복합양식 텍스트의 기준 요소를 재구조화하는 문헌 연구를 수행한다. 또한 교육적 관점에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의 구인 및 평가 준거를 도출하여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와 기존 읽기 능력 검사 및 평가와 관련된 논의를 검토하고, 능숙한 독자들의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수행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특성 및 능력의 구인을 탐색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타당화 과정을 걸쳐 복합양식 텍스트의 읽기 구인 및 평가 준거를 도출해 내고자 한다.
    다음 단계로는 문자 텍스트 읽기 능력과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의 관계를 규명하여 읽기 능력의 전체상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두 읽기 능력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와 영향관계가 어떠한지 확인할 것이며, 문자 텍스트 읽기 능력 및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을 검사지를 통해 조사하고, 이에 대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다음으로 두 읽기 능력의 하위 구인 간의 상관성을 구체화하고, 문자 텍스트 읽기 능력의 구인 중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구인을 밝히고 그 정도가 어떠한지 확인할 것이며, 이를 위해 각 하위 구인에 대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또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수행에서 독자의 인지적 부담과 읽기 전략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함으로써 읽기 수행의 특성 및 양상을 확인하는 것 역시 본고의 중요한 연구 내용을 차지한다. 복합양식 텍스트의 ‘양식의 다중적 결합에 따른 감각의 통합과 이해의 용이성’ 여부에 주목하여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에서의 독자의 인지적 부담의 변화와 변화 지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난이도가 비슷하며 동일한 화제를 다루고 있는 다른 내용의 글을 각각 문자 텍스트와 복합양식 텍스트로 구성하여 제공하고, 문자 텍스트 읽기와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의 성취를 양적으로 비교·분석하고, 인지적 부담을 느끼는 부분과 이유 등을 자기 보고식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질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과정에서 인지적 부담이 발생할 때 독자들이 어떠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는지 그 실제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실적·추론적·비판적 읽기 과제를 수행할 때 독자가 사용하는 읽기 전략을 정밀 조사하되, 사고 구술과 시선 추적 장치를 통해 독자의 읽기 과정을 실시간으로 살펴보고 인터뷰를 통해 검증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의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 신장을 위해 어떠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지 구체화하고, 읽기 교육 내에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의 목표와 성격, 방법 등을 제안하여,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 신장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디지털 매체의 발달로 의사소통 환경과 방식에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문자, 이미지, 소리 등 다양한 형태의 양식들이 결합되어 구성된 복합양식 텍스트(multimodal text)가 핵심적 소통 매체로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진은 복합양식 텍스트의 특성 및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과 수행 양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지식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 하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복합양식 텍스트가 텍스트로 존재하고 기능하는 방식 및 특성을 ‘복합양식 텍스트성(multimodal textuality)’로 개념화하고, 영상성(imagance)를 복합양식 텍스트성의 핵심적 특성으로 보아 그 기준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복합양식 텍스트가 학습 목적 읽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능숙한 독자들이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을 때 사용하는 전략의 사용 양상을 규명하여,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수행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였다. 셋째,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의 구인 및 인지적 평가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을 규명하고,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 및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 평가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넷째, 문자 텍스트 읽기 능력과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두 읽기 능력이 유사한 경향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두 읽기 능력 간의 상관성 및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진은 이상의 연구들을 통해 복합양식 텍스트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도모하고,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의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며,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 신장을 위해 어떠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지 구체화하였다.
  • 영문
  • As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has changed the environments and the ways of communication, Multimodal texts, that consist of letters, images, and sounds, have emerged as a core communication mediu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of the Multimodal text reading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Multimodal text, and ability and performance aspects of Multimodal text reading. First, we conceptualize the way and characteristics of Multimodal text exist and function as 'multimodal textuality'. and derive its reference element by conceptualizing 'imagance' as a key characteristic of Multimodal textuality. Second, we identify the impact of Multimodal texts on reading to learn, and identify aspects of strategies used by skilled readers to read Multimodal texts, enhancing their understanding of Multimodal text reading performance. Third, by deriving constructs and cognitive evaluation factors of Multimodal text text reading ability, we identify Multimodal text reading ability, and lay the foundation for Multimodal text reading education and evaluation of Multimodal text reading ability. Fourth, we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etter-based text reading ability and Multimodal text reading ability, confirming the correlation and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reading abilities as well as having similar tendencies. Through the above studies, the researchers promoted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Multimodal text and laid the foundation for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Furthermore, we suggests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Multimodal text reading ability, and specify what educational support is needed to improve Multimodal text abil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등장하게 된 뉴미디어는 인류의 문식 환경과 의사소통 방식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텍스트의 존재 양태 및 소통 방식 또한 변화하였다. 즉, 문자, 소리, 영상 등이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복합양식 텍스트(multimodal text)가 핵심적 소통 매체로 대두되었고,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진은 복합양식 텍스트의 특성 및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과 수행 양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지식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진은 다음의 연구들을 진행하였다. 첫째,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성을 ‘복합양식 텍스트성(multimodal textuality)’으로 개념화하고, 그 기준 요소를 도출했다. 기존의 문자 텍스트의 텍스트성뿐만 아니라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성 및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문헌 연구를 진행하여, 복합양식 텍스트가 텍스트로 존재하고 기능하는 방식 및 특성을 구체화하고 ‘영상성(imagance)’을 복합양식 텍스트성의 핵심적 특성으로 개념화했다.
    둘째, 독자들이 복합양식 텍스트를 대상으로 어떻게 대응하며 문식 실천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수행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였다. 먼저 복합양식 텍스트가 학습 목적 읽기에 효과적인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복합양식 텍스트의 학습 효과성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고 고등학생 독자들이 학습 목적으로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는 과정을 시선 추적 장치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읽기 후 과제를 분석하고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복합양식 텍스트가 학습 목적 읽기에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지점들을 면밀히 규명하였다. 또한 능숙한 독자들이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을 때 사용하는 전략의 사용 양상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복합양식 텍스트 유형별로 독자들이 사용한 읽기 전략을 나누어 분석였다. 이를 위해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양상에 대한 국내외 연구에 대한 검토뿐만 아니라,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읽기 과정의 관찰 및 읽기 후 과제와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독자들이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를 수행할 때 사용하는 전략 사용의 양상과 수준을 구체화하였다.
    셋째,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의 구인 및 인지적 평가 요소를 도출하여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읽기 능력 및 역량 평가와 관련된 국내외의 선행연구와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된 국내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읽기 능력의 구인 및 평가 기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각국의 자국어 교육과정과 기존의 읽기 평가 도구 및 문항을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의 인지적 평가 요소와 그 차원을 구체화하여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 및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 평가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넷째, 문자 텍스트 읽기 능력과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의 인지적 평가 요소를 바탕으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평가 준거를 마련하고, 이에 대응하는 문자 텍스트 읽기 평가 준거를 구성하였다. 그 후 복합양식 텍스트와 문자 텍스트 읽기 능력 검사지를 제작하여, 동일한 집단이 두 읽기 모두를 수행한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읽기 능력이 유사한 경향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두 읽기 능력 간에 다소 높은 정도의 정적인 상관성이 존재한다는 점, 문자 텍스트 읽기가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에 다소 약한 정도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혔다.
    본 연구진은 이상의 연구들을 통해 복합양식 텍스트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도모하고,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의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며,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 신장을 위해 어떠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지 구체화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복합양식 텍스트성(multimodal textuality)’과 ‘영상성(imagance)’이라는 개념을 정립함으로써 복합양식 텍스트의 내적 논리 체계에 터하여 복합양식 텍스트의 기준 요소를 마련하였을 뿐만 아니라 복합양식 텍스트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또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평가의 구인과 인지적 평가 요소를 마련하고 이를 체계화하여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더불어 다양한 측면에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수행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여 독자들의 복합양식 읽기 양상 및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복합양식 텍스트가 학습 목적 읽기에 미치는 영향과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을 때 독자들이 사용하는 읽기 전략의 사용 양상과 수준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복합양식 텍스트와 복합양식 텍스트를 통한 수용과 생산 과정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의 내용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 기대 효과와 연구 활용 방안을 학문적, 교육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양식 텍스트와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성과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의 다양한 수행 양상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과 문자 텍스트 읽기 능력 간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상의 연구들은 복합양식 텍스트의 특성 및 복합양식 텍스트를 둘러싼 수용‧생산 활동 전반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복합양식 텍스트와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 주제를 파생시킬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다. 또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 방안에 시사점을 제공하여 추후 이루어질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관련 연구가 다양한 방향에서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을 다졌다.
    둘째, 교육적 측면에서는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 방안을 구체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평가의 실행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와 관련된 학습 요소 및 평가 요소를 분석하고,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고 사용하는 독자의 능력 및 수행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복합양식 텍스트의 생산 및 수용에 관한 교육과정, 교재, 교수·학습 방안(내용, 방법, 평가, 학습 환경 측면)등을 구체화하고 체계화하기 위한 교육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상의 연구들을 통해 마련된 자료 및 결과들이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의 신장을 위한 읽기 교육, 그리고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는 읽기 교육의 방향을 기획하는 데 있어 기초 토대로 활용될 것이다.
    셋째,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는 복합양식 텍스트 기반 문식 역량을 갖춘 미래사회의 시민 양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과 이에 대한 평가, 그리고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어나가는 과정에서 독자가 어떠한 문제를 경험하며, 어떻게 이를 해결하는지 등을 규명하고 구체화함으로써 복합양식 텍스트와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심을 환기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였다. 또한 바람직한 복합양식 텍스트의 수용 및 생산 문화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청사진을 그리는 데 기여하였다. 이와 같은 작업들이 추후 복합양식 텍스트 기반의 문식 능력을 갖춘 미래사회의 시민을 양성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를 통해 미래사회의 시민들이 디지털 문식 환경에서 요구되는 핵심적 의사소통 역량인 복합양식 텍스트를 이해하고 생산하는 문식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문식성 교육의 사회 문화적 토대가 마련될 것이다.
  • 색인어
  • 복합양식 텍스트, 복합양식 텍스트성, 영상성, 정태적 복합양식 텍스트, 동태적 복합양식 텍스트,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전략, 복합양식 텍스트의 인지적 평가 요소, 문자 텍스트 읽기와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간의 관계,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 복합양식 문식성, 복합양식 읽기 교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