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교육 단계별(초/중/고/대) 영어 교육의 생태학적 요인 분석 및 영어의사소통의지 구조관계모형의 개발
Ecological factor analysis on the environment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n schools and developmen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of willingness to communicate in English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8-S1A5A2A01-2018S1A5A2A01037785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7월 01일 ~ 2019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최재호
연구수행기관 상명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학생들의 영어의사소통의지(Willingness to Communicate in English)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생태학적 접근 방식을 통해 탐색하고자 한다. 영어 교육의 목표가 전통적 문법교육에서 영어의사소통중심 교육으로 전환됨에 따라, 학생의 의사소통 활동 참여를 높일 수 있는 교수법, 교육환경, 교육자료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학습자 측면에서 의사소통 활동을 결정하는 학생의 영어의사소통의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충분치 못하게 진행되었다. 또한 기존의 영어의사소통의지는 학생의 동기적 요인을 중심으로 요인간의 관계 탐구를 시도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실시된 기존 연구가 관련 요인을 학생의 정의적 요인에 국한하고, 대학생을 주요 대상으로 진행된 점을 한계로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는 연구를 계획한다. 먼저 관련 요인 분석을 위해 Peng이 제안한 생태학적 관점을 도입하여 교실내 환경, 교실외 언어 경험, 사회적 국가적 환경 및 맥락 등을 포함한 요인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구조관계 모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대상을 초,중,고등 및 대학생을 포함한 전체 학령기로 확대하고 서울과 지방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환경 및 맥락적 요인을 반영한 연구를 설계한다.

    본 연구는 각 교육 단계(초/중/고/대)별로, 영어의사소통의지와 관련 요인간의 구조관계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의사소통중심 영어 교육을 설계하고 실천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울러, 이론 모형으로만 제시된 생태학적 접근을 통한 영어의사소통의지를 실증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이론 모형의 검증을 학술적 연구 목표로 삼는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결과는 의사소통중심 영어 교육의 확대와 효과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의사소통을 결정하는 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학생들의 의사소통활동 참여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학생에 대한 이해는 교수설계 및 평가에 적극 반영되어 보다 효과적인 수업 설계와 진행, 평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사교육, 조기영어교육, 해외 어학 연수 등의 고비용의 영어 교육이 의사소통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대한 사회적 논란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데이터는 공교육 혁신 및 저비용 영어 교육을 설계하는데에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영어의사소통의지와 관련 요인간의 구조적 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최종 연구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1차 관련 요인 추출, 2차 요인 측정 도구 개발, 3차 요인별 데이터를 활용하여 요인간 구조적 모형 제시, 4차 학령 단위별 구조 모형 차이 분석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 연구 1단계는 요인 추출과 분류를 하는 단계이다. 요인추출은 문헌탐구, 수업관찰, 개인면접을 통해 실시한다. 자세히 기술하면, 1) 문헌탐구를 통해 영어의사소통의지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요인을 추출한다. 2) 수업관찰은 의사소통중심 영어 수업을 대상으로 하며, 학생의 의사활동 참여를 교실내 수업 환경, 언어학습활동, 교사의 행동 요인으로 분석하여 관련 요인을 추출한다. 3) 학생 및 교사와의 면접은 학생의 영어 관련 경험 및 영어 학습 목표, 영어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주는 사건이나 요인에 대한 질문을 토대로 면접을 진행한다. 요인추출을 통해 수집된 요인들은 Peng(2012)의 생태적 모형(Microsystem < Mesosystem < Exosystem < Macrosystem)의 기반으로 분류한다. 요인은 통합과 분류를 통해 saturation 이 이루어 질 때까지 분석을 실시한다.

    ● 연구 2단계는 추출된 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단계이다. 먼저, 요인에 해당하는 기존 측정 도구를 탐색하고, 기존 도구의 경우 본 연구에 적용하기 위한 수정을 실시한다. 기존 도구가 없는 경우는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필요한 경우 타당화를 실시한다.

    ● 연구 3단계는 문헌 연구나 이론적 탐색을 통해 요인간 구조적 모형을 형성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단계이다. 먼저 학생들을 대상으로 도구를 활용하여 요인별 데이터를 수집한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위해 각 학업 단위별 (초/중/고/대)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각 학업 단위별로 구조 모형을 제시하고 타당화를 위한 분석을 실시한다.

    ● 연구 4단계는 각 학업 단위별 모형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차이 분석은 모형간의 영어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요인별 영향력을 비교 분석한다. 학업 단위별로 차이가 클 경우, 개별 혹은 초점집단 면접을 통해 설명적 데이터를 수집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교육 단계별(초/중/고/대)로 영어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관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는 총 4단계에 걸쳐, 문헌 및 면접을 통해 주요 요인을 축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측정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면접은 초/중/고/대학교의 학생 및 교원, 총 2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면접내용은 질적분석을 통해 주요 개념을 도출하였다. 면접과 문헌 연구를 통해 제시된 개념을 바탕으로 측정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기존 도구의 활용 및 수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개발된 측정 도구로 구성된 설문을 초/중/고/대학생 1,500 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1,432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은 영어의사소통의지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분석되었고, 전체 학생,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별로 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형 간의 비교를 통해 유사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영어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동기, 자신감, 영어학습 경험이 제시되었으며, 학업 단계간의 차이가 다소 발견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유사한 모형이 제시되었다.
  • 영문
  • This study explored influencing factors of English willingness to communicate(WTC) across K-12 and college and developed structural equation models of WTC. The study comprises of four phrases. First,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amines plausible factors for WTC. Total 24 participant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colleges were interviewed. The next phase was to develop measure instruments for the factors. The existing instruments were referenced for the development. A survey comprising measuring instruments was conducted and total 1,432 respondents data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induce SEM models for all school year students, for elementary, for middle school, for high school, and for college, respectively. The models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to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For the influencing factors, motivation,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and confidence were common factors for WTC. The models share much similarity among the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교육 단계별(초/중/고/대)로 영어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관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는 총 4단계에 걸쳐, 문헌 및 면접을 통해 주요 요인을 축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측정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면접은 초/중/고/대학교의 학생 및 교원, 총 2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면접내용은 질적분석을 통해 주요 개념을 도출하였다. 면접과 문헌 연구를 통해 제시된 개념을 바탕으로 측정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기존 도구의 활용 및 수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개발된 측정 도구로 구성된 설문을 초/중/고/대학생 1,500 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1,432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은 영어의사소통의지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분석되었고, 전체 학생,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별로 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형 간의 비교를 통해 유사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영어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동기, 자신감, 영어학습 경험이 제시되었으며, 학업 단계간의 차이가 다소 발견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유사한 모형이 제시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본 연구의 결과는 학술대회 발표, 학술지 게재, 및 참여 학교 교사 공지 등을 통해 공유 및 전파할 계획임.
    ● 해당 결과는 의사소통중심 수업 설계 및 실천에서 학령별 특성에 따라 의사소통 참여를 유도하는 요인을 이해하는데 활용될 것임.
    ● 학습 환경, 학생의 개인적 요인 등과 의사소통중심 수업 활동 참여 간의 이론적 이해를 높이고, 추가적인 연구의 방향과 주제를 제시하게 됨
  • 색인어
  • 영어의사소통의지, 영어학습경험, 동기, 구조방정식 모형, 혼합연구방법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