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 및 대응능력 강화를 위한 연구
A Study on Strengthening Teacher's Sensibility and Responsiveness to Diversi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8S1A5A2A01036477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3 년 (2018년 07월 01일 ~ 2021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임은미
연구수행기관 전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다.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은 저출산, 빈부격차 심화, 고용구조의 급변 및 질 저하의 그늘을 지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상생과 협력의 사회통합을 이끌어낼 수 있는 필수적인 자질이다. 교사가 다양성에 대한 감수성과 대응능력을 기르기 위해 의도적으로 노력하지 않으면, 학생을 이분법적, 선형적, 위계적으로 분류하여 학생의 다양성을 대상화하고 변화할 수 없는 속성으로 간주하며 열등한 특징이라고 단정짓는 편견과 차별기제가 작동할 수 있다. 또한 교사 자신의 미성숙한 감정의 표출로 인해 소수민 집단 출신 학생과의 관계를 차단하고 상처를 주는 언행을 하는 등 교사 자신이 스스로와 학생에게 억압을 가하기도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차 년도 연구에서는 초, 중등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어떤 다양성에 직면하고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탐구하고자 한다.
    2차 년도 연구에서는 1차 년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의 내용과 구조가 전체 교사에게 일반화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 중등 교사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 검사를 개발한다.
    3차 년도 연구에서는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1차 년도 연구결과는 프로그램에서 우리 교육 현장의 체험을 반영하는 자료 제작 및 토론 자료의 소재로 활용한다. 2차 년도 연구결과는 프로그램 내용의 구조 기획, 프로그램 참가 교사의 다양성에 대한 감수성 및 대응능력의 자가진단 도구로 활용한다. 이 과정에서 현재 한국 교사의 실태를 담은 프로그램을 문화 다양성 관련 이론 및 연구들과 융합하여, 한국 교사를 위한 다양성에 대한 감수성 증진 및 대응능력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한다.
  • 기대효과
  • 이 연구에서 기대하는 효과는 교사가 다양한 문화 집단 출신의 학생들에게 가해지는 무의도적인 차별과 억압을 이해하여 적절하게 대응함으로써, 학교 현장의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다. 소수 교사로부터 시작된 변화가 학교풍토에 영향을 미치고, 다양성에 대한 학생의 감수성 및 대응능력 강화를 촉진시켜 상생과 협력의 사회풍토가 자리잡는 데 기여하는 것이 이 연구에서 기대하는 궁극적인 효과이다. 이 과정에서 교사 자신의 다양성 경험과 대응방식이 스스로에 의해 조명되고 수용되며, 우리나라 교사의 현실을 바탕으로 하는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 및 대응능력 척도가 개발되고,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통찰과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될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진술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내면적 체험내용에 목소리 부여
    교사들이 교육의 현장에서 직면하는 다양성 경험과 대응 내용을 심층적으로 드러내 주는 자료를 출간한다. 내면적 체험의 내용은 현상학적 분석을 통해 질적 연구 결과물의 형태로 제공할 것이다. 이는 교사의 다양성 경험을 이해하고 대응능력을 증진하려는 후속 연구, 교육 프로그램 제작에 활용될 것이다. 또한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의 내적 수용과 통찰 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아울러 교육 현장에 존재하는 다양성의 실태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육행정기관, 사회의 공감을 촉진함으로써 적절한 대응을 향한 협력적 분위기 조성에 기여할 것이다.

    2.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민감성과 대응능력 측정도구 제공
    심층면접 자료를 기반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전국의 교사들에게 실시하여, 교사의 다양성 경험에 대한 구조를 이해하고, 교사의 다양성과 대응능력 검사를 제작한다. 이는 교사들이 학교업무를 수행하거나 학생들을 지도할 때, 다양성에 대한 자신의 태도와 행동을 이해하게 하는 진단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다양성에 대한 긍정적 수용과 바람직한 대응 방안을 탐색하도록 촉진하는 피드백 매체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다양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는 사전-사후 검사로도 활용할 수 있다.

    3.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대응 역량 증진 프로그램 제공
    다양성에 직면할 때, 민감하게 알아차리고 주시할 수 있는 감수성, 교사 자신이 위축되거나 상대방을 억압하지 않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증진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현장의 필요에 따라 이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워크북과 매뉴얼로 이루어진 단행본으로 출판하고자 한다.
    이 프로그램은 다양성이 가득한 교육현장에서 교사가 스스로를 돌보고 학생과 동료에게 억압을 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지침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교사가 자신과 학생의 인권을 존중하고 차별과 억압을 감소시키는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촉진함으로써 구성원이 서로 소통하고 화합하는 학교문화 조성에 기여할 것이다.

    4. 다양성 존중이 일상화되는 학교문화 구현과 확산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은 교사 자신의 생활태도와 행동을 바꿈으로써 학생들에게 가해질 무의도적인 차별과 억압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학생들은 교사의 행동을 모델링하여 또래 및 다른 대인관계에서 상호 존중 행동을 적용하는 학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은 변화들이 전체 학교와 사회로 확산되고, 학생들이 다양성에 대한 감수성과 대응능력을 지니고 사회에 진출하여 상생과 협력의 차세대 문화가 자리 잡는 데 일조하는 것이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 연구요약
  • 1. 교사의 다양성 체험과 대응방안 이해
    교사의 다양성 체험과 대응방안 이해는 연구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해 1차 년도에 실시하는 연구이다. 우리나라 교사들이 다양성을 어떻게 경험하고 그에 대응하는지 체험적으로 생생하게 이해하고, 교육현장 기반 대응능력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 1차 년도 연구의 목표이다.

    가. 연구내용
    교사가 다양한 문화 집단 출신의 학생을 접하면서 내면적으로 어떤 경험을 하는지, 학생과의 상호작용에서 경험하는 ‘다름’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심층 분석한다.

    나. 연구방법
    초, 중, 고등학교 교사 각 10명(총 30명)을 대상으로 개인면접과 포커스 그룹 면접을 실시한다. 수집된 자료의 포화상태를 검토하여 연구 참여자 수를 조절할 수 있다. 면접 질문은 반 구조화 형식으로 구성한다. 교사들의 체험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녹음과 전사과정을 거친 면접 자료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한다.

    2.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 검사 개발
    1차 년도에 소수 교사와의 질적 면접을 통해 얻은 자료가 전체 교사에게 일반화될 수 있는 지 검증하고, 전체교사들을 위한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 검사>를 제작한다.

    가. 연구내용
    1차 년도 자료의 내용을 분석하여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을 나타내는 항목들을 추출하여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 검사>를 개발한다. 이 검사는 한국 교사들이 직접 경험한 실제적 체험을 기반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기존에 개발된 유사한 검사들인 다문화 교육역량 검사들과 차이가 있다.

    나. 연구방법
    추출한 항목들이 1차 년도 연구에서 얻은 원자료를 충분하게 반영하고 있는지 검토한다. 전문가 자문을 통해 문항 내용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예비 검사 설문지를 구성한다.
    초, 중, 고등학교 교사 각 30명(총 90명)을 대상으로 예비 검사를 실시하고 문항 타당성을 평가하여, 수정보완한 후 본 검사를 구성한다.
    본 검사 설문지를 전국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 600명에게 실시한 후,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 역량의 내용과 구조를 정리함으로써 구인타당도를 확보한다. 이어서 교차타당도, 공인타당도, 신뢰도를 분석하여 검사의 타당성을 확보한다.

    3.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 및 대응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 및 대응능력 증진 프로그램은 1차 년도와 2차 년도 연구에서 입수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되며, 3차 년도에 수행된다.

    가. 연구내용
    3차 년도 연구 내용은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 및 대응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역량 증진 교육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려면, 좀 더 실천적, 체험적, 성찰적 방법이 도입되어야 한다는 선행 연구들의 제안도 참고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고자 한다.
    제 1부 다양성에 대한 감수성 및 대응능력 자기점검은 프로그램 소개 및 구조화, 자기 및 집단원의 감수성 및 대응능력 공유, 다양성에 대한 다양한 교사의 체험 사례 제시 및 토론 활동을 통한 비판적 현실이해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제 2부 다양성에 대한 감수성 증진은 딜레마 사례를 제시하고 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선택하기 위해 연습하는 의사결정 집단작업을 시작으로 하여, 교육 현장에서 자신이 실제로 경험하는 다양성 사례를 떠올리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후의 활동은 성찰학습의 원리를 참고하여 진행한다.
    제 3부 다양성에 대한 대응능력 증진은 참가자 자신의 일상에서 부딪히는 다양성의 상황에 숨은 문화적 이슈를 찾아 보다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찾는 활동들로 구성된다. 마무리 활동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일어난 자신의 정서, 사고, 행동의 변화를 발표하며, 각자의 남은 과제 및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공유한다.

    나. 연구방법
    프로그램 내용초안을 구성하고, 전문가 및 현장 교사의 자문을 통해 프로그램의 내용을 검토 받고 학교 현장에 맞는 운영방안을 수립한다. 프로그램 실험실시를 통해 현실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효과를 검증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서론]
    학생들의 문화다양성이 증가되는 오늘날 교사에게는 다양성에 대한 감수성과 대응능력이 요구된다(구자경, 임은미, 2009; 정민수, 정성민, 2014; Mthethwa-Sommers, 2014). 교사가 학생들의 다양성에 관심을 기울이고 우호적으로 대응할수록 학생은 교사 및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안전하게 느끼며 자신을 표현하고 자기를 실현하며 성장할 수 있다.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효과적인 대응은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줄 뿐 아니라 학생들에게도 모델로 작용하여, 학생이 다양성에 대한 감수성과 대응능력을 갖춘 성인으로 자라도록 하는 간접적인 효과도 갖는다(Shriberg et al., 2013).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은 저절로 길러지지 않는다. 특히 우리나라 교사들은 초, 중, 고등학교와 사범대학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동안 교육과정이 정해놓은 ‘정답’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오류 없이 찾아내며, 순응하는 훈련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학교는 입시위주, 무한 경쟁, 승자중심의 풍토가 강하다. 이러한 주류문화에 맞춰 ‘성공적으로’ 적응해 온 교사들이 다양성에 관대하고, 민감하며, 적절하게 대응하는 훈련을 받을 기회는 거의 없었다(박윤경, 성경희, 조영달, 2008).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다양한 소수문화 집단과 주류 문화 집단간의 상호작용 현실이 반영된 교사 자신의 일상생활 체험에서 비롯된 감정을 통찰하고, 의식화하여, 인지적으로 분석하고, 행동방안을 선택하는 연습을 반복해야 한다(Jun, 2009). 이 과정을 개인이 혼자서 하기 보다는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토론활동, 성찰활동, 행동실습 등을 통해 전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Mthethwa-Sommers, 2014; Mezirow, 2000). 그래야 일상에서 학생들을 대하면서 불시에 직면하게 되는 다양성에 민감하게 대응하며 적절한 대응방안을 구사하는 역량이 강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함으로써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을 증진하고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문제]
    1. 학교 현장에서 교사는 다양성을 어떻게 체험하며, 다양성 체험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2.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의 요소는 어떻게 구조화될 수 있는가?
    3.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과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내용]
    1차년도 연구는 연구문제 1을 해결하는데 중점을 두고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경험하는 문화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한 면접조사를 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교사의 문화다양성을 탐구하기 위한 반구조화 면접질문지를 구성하여 30명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에게 면접을 실시하였다. 이 중 초등학교 여교사 대상 면접결과를 분석한 자료는 학술지로 출간되었고(임은미, 2019), 다른 면접자료들에 대하여는 추가면접을 진행하면서 학술지 논문을 작성하고 있다.
    ※ 임은미(2019). 교사들의 문화다양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초등학교 여교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6(2), 205-232

    2차년도 연구는 연구문제 2를 해결하는데 중점을 두고, 1차년도 연구과정 및 결과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의 문화다양성 관련 기존척도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교사의 문화다양성관련 척도들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로 임은미(2021)의 교사의 다문화 사회정의 역량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충효, 방상옥, 고상희, 임은미(2019)의 한국 교사를 위한 교사문화신념 척도(TCBS)의 번안 및 타당성 탐색이 출간되었다.

    ※ 이충효, 방상옥, 고상희, 임은미(2019). 한국 교사를 위한 교사문화신념 척도(TCBS)의 번안 및 타당성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6(3), 479-504.
    ※ 임은미(2021). 교사의 다문화 사회정의 역량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다문화사회연구, 14(1), 217-252.

    3차년도 연구는 1,2차년도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 및 대응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프로그램은 1차년도와 2차년도 연구에서 입수한 연구 결과와 연구과정에서 얻은 문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구안되었다. 초등 및 중등교사 30명에게 다양성에 대한 감수성 및 대응능력 점검, 다양성에 대한 감수성 증진, 다양성에 대한 대응능력 증진을 골자로 하는 다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고 있다. 현재 학술지 투고를 위해 연구결과를 분석하는 중이다.

    [활용방안 및 성과]
    이 연구의 결과는 현장 교사의 문화 다양성 경험에 대한 정보 제공, 교사의 문화다양성 자기점검 도구, 교사의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 사전-사후 검사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교사를 위한 문화 다양성 대응역량 증진 프로그램으로서 현장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영문
  • [Introduction]
    Today, when students' cultural diversity is increasing, teachers are required to have sensitivity and competency to respond to diversity. The more teachers pay attention to students' diversity and respond favorably, the safer they feel to interact with teachers and colleagues, express themselves, realize themselves, and grow. Teachers' sensitivity and effective response to diversity not only directly benefit students, but also act as a model for students, which has an indirect effect of growing up to be adults with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to diversity. Teachers'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to diversity are not developed by themselves. In particular, Korean teachers have been trained to complete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and college of education, find and comply with the "answer" set by the curriculum while preparing for the teacher selection exam. Schools have a strong entrance examination-oriented, infinite competition, and winner-centered climate. Teachers who have "successfully" adapted to this mainstream culture had few opportunities to receive training to be tolerant, sensitive, and appropriate to diversity.
    In order to develop teachers'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to diversity, they must repeat the practice of insight, consciousness, cognitive analysis, and choosing action plans from teachers' daily life experiences reflecting the reality of interaction between various minority and mainstream cultural groups. Rather than doing this process alone, transformational learning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discussion activities, reflection activities, and behavioral practices that promote interaction with others. Only then can the ability to respond sensitively to the diversity they encounter unexpectedly while dealing with students in their daily life and to use appropriate responses be strengthened. So,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nhance teachers' sensitivity to diversity and strengthen their ability to respond by raising and solving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Research Questions]
    1. How do teachers experience diversity in the school field and how do they respond to diversity experiences?
    2. How can the elements of teachers'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to diversity be structured?
    3. What is the composition and effect of the program to improve teachers'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to diversity?

    [Research contents]
    The first year's study focused on solving research question 1, and mainly conducted interviews to understand the cultural diversity that teachers experience in the school. To this en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naire was organized to explore the cultural diversity of teacher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mong them, data analyzing the interview results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were published as academic journals(Lim, 2019), and academic journal papers are being written while conducting additional interviews on other interview materials.
    ※ Lim, E. M. (2019). A narrative study on teachers’ cultural diversity experience: Focused on femal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6(2), 205-232.

    The second year's study focused on solving research problem 2, and developed a teacher's cultural diversity-related scal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existing measures related to teacher's cultural diversity based on the research process and result data in the first year. As a resul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eachers’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mpetency scale (Lim, 2021)’ and ‘Adaptation and validation study of the Teacher Cultural Beliefs Scale (TCBS) for Korean teachers(Lee, Bang, Ko, & Lim, 2019) were published.

    ※ Lee, C. H., Bang, S. O., Ko, S. H., & Lim, E. M. (2019). Adaptation and validation study of the Teacher Cultural Beliefs Scale (TCBS) for Korean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6(3), 479-504.
    ※ Lim, E. M. (202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eachers’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mpetency scale. The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ety, 14(1), 217-252.

    The third year'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to improve teachers'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to diversity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years' studies. The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in the first and second years of research and the literature analysis results obtained in the research process. The multi session programs conducted to 30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imed at monitoring their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to diversity, enhancing their sensitivity to diversity, and improving their responsiveness to diversity, and analyzing the results. Currently, research results are being analyzed to contribute academic journals.

    [How to use and Outc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pre-post test of the teacher's cultural diversit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field teacher's cultural diversity experience. In addition,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the field as a program to improve cultural diversity response competencies for teach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서론]
    이 시대의 교사에게는 다양성에 대한 감수성과 대응능력이 요구된다(구자경, 임은미, 2009; 정민수, 정성민, 2014; Mthethwa-Sommers, 2014). 교사가 학생들의 다양성에 관심을 기울이고 우호적으로 대응할수록 학생은 교사 및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안전하게 느끼며 자신을 표현하고 자기를 실현하며 성장할 수 있다.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효과적인 대응은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줄 뿐 아니라 학생들에게도 모델로 작용하여, 학생이 다양성에 대한 감수성과 대응능력을 갖춘 성인으로 자라도록 하는 간접적인 효과도 갖는다(Shriberg et al., 2013).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은 저절로 길러지지 않는다. 특히 우리나라 교사들은 초, 중, 고등학교와 사범대학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동안 교육과정이 정해놓은 ‘정답’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오류 없이 찾아내며, 순응하는 훈련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학교는 입시위주, 무한 경쟁, 승자중심의 풍토가 강하다. 이러한 주류문화에 맞춰 ‘성공적으로’ 적응해 온 교사들이 다양성에 관대하고, 민감하며, 적절하게 대응하는 훈련을 받을 기회는 거의 없었다(박윤경, 성경희, 조영달, 2008).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다양한 소수문화 집단과 주류 문화 집단간의 상호작용 현실이 반영된 교사 자신의 일상생활 체험에서 비롯된 감정을 통찰하고, 의식화하여, 인지적으로 분석하고, 행동방안을 선택하는 연습을 반복해야 한다(Jun, 2009). 이 과정을 개인이 혼자서 하기 보다는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토론활동, 성찰활동, 행동실습 등을 통해 전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Mthethwa-Sommers, 2014; Mezirow, 2000). 그래야 일상에서 학생들을 대하면서 불시에 직면하게 되는 다양성에 민감하게 대응하며 적절한 대응방안을 구사하는 역량이 강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함으로써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을 증진하고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학교 현장에서 교사는 다양성을 어떻게 체험하며, 다양성 체험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2.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의 요소는 어떻게 구조화될 수 있는가?
    3.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과 대응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과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내용]
    1차년도 연구는 연구문제 1을 해결하는데 중점을 두고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경험하는 문화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한 면접조사를 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교사의 문화다양성을 탐구하기 위한 반구조화 면접질문지를 구성하여 30명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에게 면접을 실시하였다. 이 중 초등학교 여교사 대상 면접결과를 분석한 자료는 학술지로 출간되었고(임은미, 2019), 다른 면접자료들에 대하여는 추가면접을 진행하면서 학술지 논문을 작성하고 있다.
    2차년도 연구는 연구문제 2를 해결하는데 중점을 두고, 1차년도 연구과정 및 결과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의 문화다양성 관련 기존척도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교사의 문화다양성관련 척도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로 임은미(2021)의 교사의 다문화 사회정의 역량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충효, 방상옥, 고상희, 임은미(2019)의 한국 교사를 위한 교사문화신념 척도(TCBS)의 번안 및 타당성 탐색이 출간되었다.
    3차년도 연구는 1,2차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 및 대응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1차년도와 2차년도 연구에서 입수한 연구 결과와 연구과정에서의 얻은 문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구안하였다. 현재 초등 및 중등교사 30명에게 다양성에 대한 감수성 및 대응능력 점검, 다양성에 대한 감수성 증진, 다양성에 대한 대응능력 증진을 골자로 하는 다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고 있다. 현재 연구결과를 분석하는 중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1차년도 질적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경험하는 억압, 차별, 특권 등의 현상을 이해할 수 있었고, 2차년도 척도개발 연구를 통해 교사문화신념 척도를 번언타당화하고 교사의 다문화 사회정의 역량 척도를 개발타당화하면서 교사의 문화다양성 대응역량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었다. 3차년도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 연구를 통해 교사의 문화다양성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방법들을 학습할 수 있었다. 현재 세 편의 학술지가 출간되었고, 3년간 수집된 자료를 정리하여 학술연구를 계속진행하고 있다.

    [활용방안]
    - 현장 교사의 문화 다양성 경험에 대한 정보 제공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얻어진 그리고 앞으로 얻어질 질적 연구결과들은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경험하는 억압, 차별의 불평등을 밝혀주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각자의 문화 다양성을 수용하고 존중받고자 하는 욕구, 또한 문화 다양성을 확보하려는 노력과 성과들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척도개발을 통하여 얻은 문화다양성의 영역별 수치들은 연구대상의 문화 다양성 수준을 통해 우리나라 교사의 문화 다양성 수준을 이해하는 자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자료들은 학교 현장의 문화 다양성 수용의 현 상태를 공론화하고 문화 다양성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동기유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교사의 자기점검 도구로 활용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그리고 앞으로 얻어질 양적 연구 결과들은 우리나라 교사의 문화 다양성에 대한 신념, 다문화 교육역량, 사회정의 교육역량을 양적으로 측정하는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들이다. 이 척도들은 교사가 자신의 문화 다양성 역량 역량을 측정하여 성찰의 도구를 삼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교사의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 사전-사후 검사로 활용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척도들은 교사의 문화다양성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구안할 때 참여자의 출발점 행동을 진단하며 프로그램 효과검증의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 교사를 위한 문화 다양성 대응역량 증진 프로그램 제공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 및 대응능력 증진 프로그램은 교사 연수 및 교육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프로그램 전체를 활용하여 연수와 교육을 실시할 수도 있고, 프로그램의 일부를 강의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교사, 초중등 교사, 문화다양성,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감수성,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대응능력, 전환학습, 교사의 문화다양성 대응역량 증진 프로그램, 교사문화신념, 교사의 다문화 사회정의 역량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