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관계외상 평가지표와 가상현실 기반 인지편향 수정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rpersonal trauma evaluation index and a virtual reality based cognitive bias modification progra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A2A03038277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3 년 6 개월 (2018년 07월 01일 ~ 2021년 12월 31일)
연구책임자 윤혜영
연구수행기관 계명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조상현(계명대학교)
최윤경(계명대학교)
이종선(강원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국민의 심리적 건강과 삶의 질은 행복을 저해하는 요소들의 제거와 방지를 통해서 가능하다. 웰빙을 저해하는 심리적 요인의 중심에는 과거에 경험했던 대인관계 외상이 자리잡고 있다. 우발적으로 일어나는 자연재해나 재난사건에 비해, 타인에 의해 고의적으로 일어난 외상일수록 더 견디기 힘들고 더 큰 후유증을 남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관계외상이라 칭한다. Power와 Dalgleish(2016)는 기본 정서 이론과 심리적 장애를 연결시키려 시도하는 과정에서, 외상 이후 핵심 정서가 무엇인가에 따라 치료적 접근이 달라질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론에 기반하여 관계 외상에서 나타나는 핵심정서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이를 야기하는 인지적 취약성(looming maladaptive style)을 확인한 후, 인지적 취약성 변화를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고자 한다.
    ■ 컴퓨터로 제시된 모호한 상황에 대한 자동적 해석 경향성의 측정이나, 정서 갈등 상황에서 위협적 정보에 대한 암묵적 주의 조절, 접근-회피 동기에 기반한 대인관계 상황에 대한 회피 경향성을 포괄적으로 측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시간과 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인지행동치료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을 가능성이 낮은 관계외상 경험자들을 위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컴퓨터 기반 인지 편향의 수정(cognitive bias modification)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즉, 대인관계 외상 경험에 기반하여 컴퓨터로 제시된 모호한 상황에 대해서 보다 긍정적인 방식으로 해석하도록 반복적으로 훈련하는 해석 편향 수정 프로그램(Cognitive Bias Modification-Interpretation; CBM-I)이나,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회피하는 상황을 반복적으로 접근하도록 만드는 접근-회피 과제(Approach-Avoidance Task; AAT), 위협적 자극에 대해 주의를 유지하도록 만드는 PIM-ABM(Person Intentification Matching-Attention Bias Modification) 등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덧붙여 수치심이나 분노, 불안 등의 핵심 정서 변화를 위해 가상현실 기술을 핵심정서 수정에 이용할 수 있도록 가상현실 기반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즉 관계외상의 정서적 정보처리 특성에 근거하여 외상 정보와 관련된 노출치료를 VR로 구현하고자 한다.
    ■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 대인관계 외상 경험 및 핵심 정서 프로파일, 인지적 취약성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상관연구를 실시한 후, 핵심 정서 변화에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되는 인지편향 수정 및 가상현실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할 것이다. 자동적/암묵적 수준에서 대인관계 외상의 핵심정서와 관련된 인지 편향 경향성을 우선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시나리오 및 정서 자극을 제작할 예정이며, 이를 바탕으로 컴퓨터 기반의 인지편향 수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대인관계 외상 관련 이론의 발전
    ■ 대인관계 외상을 핵심 정서 프로파일을 파악하고, 핵심정서와 가장 관계있는 인지적 취약성을 주의, 해석, 접근동기의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확인한다.
    ■ 부정적 인지 편향을 교정하기 위한 컴퓨터 기반의 새로운 치료적 모듈을 개발,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들의 암묵적 수준의 정서적 정보처리 변화 가능성을 확인한다.
    2) 대인관계 외상에 대한 치료적 개입의 효율적 적용 방안 모색
    ■ 부정적 인지 편향을 교정하기 위한 컴퓨터 기반의 새로운 치료적 모듈을 개발, 대인관계 외상 경험이 임상적 장애로까지 발전하기 이전에 예방적 개입을 실시한다.
    ■ 대인관계 외상에 적용할 수 있는 치료반응지표를 개발함으로써 치료효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만든다.
    3) 컴퓨터 기반의 치료프로그램을 통한 통합적 치료 서비스 전략의 제고
    ■ 본격적인 면대면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예비적으로 인지 편향 수정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 가상현실을 통해 고통스로운 핵심정서에 간접적으로 노출되어 봄으로써, 실제 노출 상황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시간, 공간, 비용적 제약으로 인하여 면대면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치료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4) 국민 삶의 질과 웰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 제공
    ■ 상실, 배신, 거부, 놀림과 같은 다양한 대인관계 외상 경험으로 야기된 부정적 정서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예방적 개입 전략을 실시함으로서, 전반적인 삶의 질 개선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연구요약
  • 상실이나 놀림, 거부, 배신과 같은 다양한 관계 외상 경험 이후, 각 개인이 고통받고 있는 핵심 정서 프로파일을 발견하고, 이러한 핵심정서와 인지적 취약성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관계 외상의 핵심 정서에 가장 부합하는 인지적 취약성 지표를 발견하고, 위협적 자극에 대한 적극적 주의 통제나 모호한 상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해석 편향 수정 훈련 프로그램, 회피 대상에 대한 접근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인지 편향 수정 프로그램, 핵심 정서에 대한 간접적 노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가상현실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치료에 대한 동기가 뚜렷하지 않거나 인지행동치료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적은 준임상집단에게 해당 프로그램을 실시한 경우, 실질적인 불안이나 우울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등, 해석이나 주의, 접근 동기와 같은 인지적 취약성에 대한 훈련된 인지 편향 프로그램이 정서적 변화를 유발하여 실제로 심리적 고통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확인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관계 외상에서 나타나는 핵심정서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이를 야기하는 인지적 취약성(looming maladaptive style)을 확인한 후, 인지적 취약성 변화를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상실이나 놀림, 거부, 배신과 같은 다양한 관계 외상 경험 이후, 각 개인이 고통받고 있는 핵심 정서 프로파일을 발견하고, 이러한 핵심정서와 인지적 취약성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대인관계 외상의 인지적 취약성 및 치료적 개입 훈련 전후의 변화를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대인지각 판단과제와 사진자극 평정과제를 개발하였고, 이를 이후 연구에 활용하였다. 또한 위협적인 자극에 대한 능동적 주의 통제나 모호한 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해석이 가능한 해석편향 교정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관계외상자들이 경험하는 핵심정서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유형 1) 부정적 정서 저수준 유형, (유형 2) 불안-공포 유형 (유형 3) 대부분의 부정정서를 높게 보고하는 압도형 (유형 4) 관계외상 경험 이후 대부분의 부정 정서는 중간 정도 수준이나 분노감을 가장 높게 보고하는 분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대인관계 외상의 인지적 취약성 및 치료적 개입 훈련 전후의 변화를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대인지각 판단과제와 사진자극 평정과제를 개발하였다. 대인외상을 경험한 집단의 경우 분노표정에 대한 신뢰도와 접근가능성을 낮게 평가하였으며, 거부맥락의 대인관계 상황에 대한 유의한 회피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위협적 자극에 대한 적극적 주의 통제나 모호한 상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해석 편향 수정 훈련 프로그램, 회피 대상에 대한 접근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인지 편향 수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특히 핵심정서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완 및 문제해결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VR 및 멘토링 게임을 통해 외상 경험에 간접적으로 노출하고 증상을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특허출원을 완료하였다.
  • 영문
  • ▪ This study analyzes the core emotional profiles that can be noted in interpersonal trauma, identifies the cognitive vulnerability (looming maladaptive style) behind them, and develops a treatment program for managing cognitive vulnerability. Especially, the study aims to find the core emotional profiles that each individual experiences after different interpersonal trauma such as loss, teasing, rejection, and betrayal.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re emotions and cognitive vulnerabilities. Through this, it identifies the cognitive vulnerability indicators that best match the core emotions of interpersonal trauma and develops an interpretation bias correction training program that enables active attention control over threatening stimuli or the positive interpretation of ambiguous situations.
    ▪ Based on potential profile analysis of key emotions experienced by those with interpersonal trauma, the study categorized them into (type 1) a low negative emotional level, (type 2) anxiety-fear, (type 3) overwhelmed such that most negative emotions were reported as high, and (type 4) most negative emotions were mid-level but anger was reported to be at the highest level after the experience of interpersonal trauma.
    ▪ In the group that had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the reliability of and approachability to anger expressions were assessed as low, and a significant tendency to avoid interpersonal situations in a rejection context was observed.
    ▪ It develops an interpretation bias correction training program that enables active attention control over threatening stimuli or the positive interpretation of ambiguous situations. And It also develops a cognitive bias modification program that increases the motivation to approach the object that is being avoided and a virtual reality treatment program that enables indirect exposure to core emotions.
    ▪ A relaxation and problem-solving scenario was developed to control core emotions, and opportunities were provided to indirectly expose those with interpersonal trauma to traumatic experiences and then control their symptoms using VR and mentoring games. And two program patent applications were comple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 국민의 심리적 건강과 삶의 질은 행복을 저해하는 요소들의 제거와 방지를 통해서 가능하다. 웰빙을 저해하는 심리적 요인의 중심에는 과거에 경험했던 대인관계 외상이 자리잡고 있다. 우발적으로 일어나는 자연재해나 재난에 비해, 타인에 의해 고의적으로 일어난 외상일수록 더 견디기 힘들고 더 큰 후유증을 남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관계외상이라 칭한다. Power와 Dalgleish(2016)는 기본 정서 이론과 심리적 장애를 연결시키려 시도하는 과정에서, 외상 이후 핵심 정서가 무엇인가에 따라 치료적 접근이 달라질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론에 기반하여 관계 외상에서 나타나는 핵심정서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이를 야기하는 인지적 취약성(looming maladaptive style)을 확인한 후, 인지적 취약성 변화를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고자 한다.
    § 컴퓨터로 제시된 모호한 상황에 대한 자동적 해석 경향성의 측정이나, 정서 갈등 상황에서 위협적 정보에 대한 암묵적 주의 조절, 접근-회피 동기에 기반한 대인관계 상황에 대한 회피 경향성을 포괄적으로 측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시간과 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인지행동치료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을 가능성이 낮은 관계외상 경험자들을 위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컴퓨터 기반 인지 편향의 수정(cognitive bias modification)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즉, 대인관계 외상 경험에 기반하여 컴퓨터로 제시된 모호한 상황에 대해서 보다 긍정적인 방식으로 해석하도록 반복적으로 훈련하는 해석 편향 수정 프로그램(Cognitive Bias Modification-Interpretation; CBM-I)이나,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회피하는 상황을 반복적으로 접근하도록 만드는 접근-회피 과제(Approach-Avoidance Task; AAT), 위협적 자극에 대해 주의를 유지하도록 만드는 PIM-ABM(Person Identification Matching-Attention Bias Modification) 등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덧붙여 수치심이나 분노, 불안 등의 핵심 정서 변화를 위해 가상현실 기술을 핵심정서 수정에 이용할 수 있도록 가상현실 기반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즉 관계외상의 정서적 정보처리 특성에 근거하여 외상 정보와 관련된 노출치료를 VR로 구현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 대인관계 외상 경험 및 핵심 정서 프로파일, 인지적 취약성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상관연구를 실시한 후, 핵심 정서 변화에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되는 인지편향 수정 및 가상현실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동적/암묵적 수준에서 대인관계 외상의 핵심정서와 관련된 인지 편향 경향성을 우선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시나리오 및 정서 자극을 제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VR 기반의 인지편향 수정 프로그램과 기능성 게임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 상실이나 놀림, 거부, 배신과 같은 다양한 관계 외상 경험 이후, 각 개인이 고통받고 있는 핵심 정서 프로파일을 발견하고, 이러한 핵심정서와 인지적 취약성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대인관계 외상의 인지적 취약성 및 치료적 개입 훈련 전후의 변화를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대인지각 판단과제와 사진자극 평정과제를 개발하였고, 이를 이후 연구에 활용하였다.
    § 관계외상자들이 경험하는 핵심정서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유형 1) 부정적 정서 저수준 유형, (유형 2) 불안-공포 유형 (유형 3) 대부분의 부정정서를 높게 보고하는 압도형 (유형 4) 관계외상 경험 이후 대부분의 부정 정서는 중간 정도 수준이나 분노감을 가장 높게 보고하는 분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관계 외상의 핵심 정서에 가장 부합하는 인지적 취약성 지표를 발견하고, 위협적 자극에 대한 적극적 주의 통제나 모호한 상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해석 편향 수정 훈련 프로그램, 회피 대상에 대한 접근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인지 편향 수정 프로그램, 핵심 정서에 대한 간접적 노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가상현실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에 더해, 관계외상 중 또래괴롭힘을 경험했던 성인 초기의 내담자를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능성 게임을 개발하였다.
    § 치료에 대한 동기가 뚜렷하지 않거나 인지행동치료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적은 준임상집단에게 해당 프로그램을 실시한 경우, 실질적인 불안이나 우울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등, 해석이나 주의, 접근 동기와 같은 인지적 취약성에 대한 훈련된 인지 편향 프로그램이 정서적 변화를 유발하여 실제로 심리적 고통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 대인외상을 경험한 집단의 경우 분노표정에 대한 신뢰도와 접근가능성을 낮게 평가하였으며, 거부맥락의 대인관계 상황에 대한 유의한 회피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 사회적 상황에 대한 해석편향 수정 프로그램에서 긍정적 심상 관점을 유지한 채 모호한 상황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훈련을 실시한 결과, 긍정해석편향의 증가, 사회불안의 감소가 나타났다.
    § 발표상황에 대한 가상현실노출과 웹기반 인지적 개입의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 그 효과를 검증한 결과, 증상심각도가 감소하고 긍정해석편향이 증가하였다.
    § 발표상황에 대한 가상현실노출과 웹기반 인지적 개입의 통합 프로그램을 VR을 활용한 이완 및 불안 감소 프로그램과 결합하여, 이에 대한 특허 출원을 완료하였다.
    § 관계외상 고통 완화를 위한 어드벤처 기능성 게임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특허 출원을 완료하였다.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심리학과 과학기술의 다학제간 융합을 토대로 한 실험적인 시도로, 전통적인 심리학적 평가 및 개입에 첨단 과학기술을 접목하여 서비스 전달체계를 다각화할 수 있는, 다학제 융합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예방적 개입 전략으로 활용 - 본격적인 면대면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예비적으로 인지 편향 수정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을 통해 고통스러운 핵심정서에 간접적으로 노출되어 봄으로써, 실제 노출 상황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 비용 효율적 정신건강 개입 서비스로 활용 - 시간, 공간, 비용적 제약으로 인하여 면대면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치료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국민 삶의 질과 웰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 제공 - 상실, 배신, 거부, 놀림과 같은 다양한 대인관계 외상 경험으로 야기된 부정적 정서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예방적 개입 전략을 실시함으로서, 전반적인 삶의 질 개선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색인어
  • 대인관계외상, 핵심정서 프로파일, 인지적 취약성, 인지편향수정, 컴퓨터 기반 치료 프로그램, 가상현실 치료 프로그램, 기능성게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