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결과>
§ 상실이나 놀림, 거부, 배신과 같은 다양한 관계 외상 경험 이후, 각 개인이 고통받고 있는 핵심 정서 프로파일을 발견하고, 이러한 핵심정서와 인지적 취약성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대인관계 외상의 인지적 취약성 및 치료적 개입 훈련 전후 ...
<연구결과>
§ 상실이나 놀림, 거부, 배신과 같은 다양한 관계 외상 경험 이후, 각 개인이 고통받고 있는 핵심 정서 프로파일을 발견하고, 이러한 핵심정서와 인지적 취약성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대인관계 외상의 인지적 취약성 및 치료적 개입 훈련 전후의 변화를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대인지각 판단과제와 사진자극 평정과제를 개발하였고, 이를 이후 연구에 활용하였다.
§ 관계외상자들이 경험하는 핵심정서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유형 1) 부정적 정서 저수준 유형, (유형 2) 불안-공포 유형 (유형 3) 대부분의 부정정서를 높게 보고하는 압도형 (유형 4) 관계외상 경험 이후 대부분의 부정 정서는 중간 정도 수준이나 분노감을 가장 높게 보고하는 분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관계 외상의 핵심 정서에 가장 부합하는 인지적 취약성 지표를 발견하고, 위협적 자극에 대한 적극적 주의 통제나 모호한 상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해석 편향 수정 훈련 프로그램, 회피 대상에 대한 접근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인지 편향 수정 프로그램, 핵심 정서에 대한 간접적 노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가상현실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에 더해, 관계외상 중 또래괴롭힘을 경험했던 성인 초기의 내담자를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능성 게임을 개발하였다.
§ 치료에 대한 동기가 뚜렷하지 않거나 인지행동치료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적은 준임상집단에게 해당 프로그램을 실시한 경우, 실질적인 불안이나 우울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등, 해석이나 주의, 접근 동기와 같은 인지적 취약성에 대한 훈련된 인지 편향 프로그램이 정서적 변화를 유발하여 실제로 심리적 고통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 대인외상을 경험한 집단의 경우 분노표정에 대한 신뢰도와 접근가능성을 낮게 평가하였으며, 거부맥락의 대인관계 상황에 대한 유의한 회피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 사회적 상황에 대한 해석편향 수정 프로그램에서 긍정적 심상 관점을 유지한 채 모호한 상황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훈련을 실시한 결과, 긍정해석편향의 증가, 사회불안의 감소가 나타났다.
§ 발표상황에 대한 가상현실노출과 웹기반 인지적 개입의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 그 효과를 검증한 결과, 증상심각도가 감소하고 긍정해석편향이 증가하였다.
§ 발표상황에 대한 가상현실노출과 웹기반 인지적 개입의 통합 프로그램을 VR을 활용한 이완 및 불안 감소 프로그램과 결합하여, 이에 대한 특허 출원을 완료하였다.
§ 관계외상 고통 완화를 위한 어드벤처 기능성 게임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특허 출원을 완료하였다.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심리학과 과학기술의 다학제간 융합을 토대로 한 실험적인 시도로, 전통적인 심리학적 평가 및 개입에 첨단 과학기술을 접목하여 서비스 전달체계를 다각화할 수 있는, 다학제 융합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예방적 개입 전략으로 활용 - 본격적인 면대면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예비적으로 인지 편향 수정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을 통해 고통스러운 핵심정서에 간접적으로 노출되어 봄으로써, 실제 노출 상황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 비용 효율적 정신건강 개입 서비스로 활용 - 시간, 공간, 비용적 제약으로 인하여 면대면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치료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국민 삶의 질과 웰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 제공 - 상실, 배신, 거부, 놀림과 같은 다양한 대인관계 외상 경험으로 야기된 부정적 정서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예방적 개입 전략을 실시함으로서, 전반적인 삶의 질 개선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