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매체분산 환경에서 전자기록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전자기록 평가이론의 분석, 전자기록 평가방법론 개발, 전자기록 평가모형의 개발과 검증의 3단계로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전자기록 평가이론의 분석] 단계에서는 기존의 평가이론이 우리나 ...
다매체분산 환경에서 전자기록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전자기록 평가이론의 분석, 전자기록 평가방법론 개발, 전자기록 평가모형의 개발과 검증의 3단계로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전자기록 평가이론의 분석] 단계에서는 기존의 평가이론이 우리나라 정부기관의 기록생산 및 관리환경에 어떤 설명력을 갖는지 면밀히 검토하여 그 의미와 한계를 분석하고, 참여민주주의 및 전자환경에 적합한 국가기록평가의 목표와 원칙을 도출할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국제 비교연구(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와 거시평가사상 분석을 통해 국가기록평가의 목표와 원칙을 도출한다. 둘째, 다매체분산 환경에서 주요 평가이론의 적합성을 분석하고, 국가기록평가체제에서의 책임과 권한의 배분, 시민참여형 평가의 이론적 근거를 분석할 것이다.
[전자기록 평가방법론 개발] 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도출한 방향과 원칙을 반영하여 다매체분산 환경에 적합한 평가정책, 평가절차, 평가도구 재설계를 목표로 한다.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 개발된 기록평가방법론은 분산 환경에서 관리되는 전자기록에 적용하는 데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 2단계에서는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업무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전자기록에 포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평가방법론을 개발할 것이다. 기록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려면 평가정책, 평가절차, 평가도구라는 요소들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져야 하고 각 요소들이 모순되지 않게 체계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 첫째, 평가정책 설계를 위하여 전자기록 평가정책의 구조를 분석하고, 거시평가의 기조에 맞게 구체적인 정책과 실행방안을 제시한다. 둘째, 평가절차 설계를 위하여 다매체 분산환경의 전자기록 평가절차, 기록동결 절차, 시민참여형 평가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셋째, 평가도구 재설계를 위해 국제 비교연구, 현행 기록관리기준표 분석을 실시하며, 이를 토대로 기능평가와 기록 평가의 연계방안, 행정정보데이터세트, 이메일, 웹기록 등의 특수유형 전자기록을 위한 평가도구 설계방안을 제시한다.
[전자기록 평가모형의 개발과 검증] 단계에서는 2단계에서 개발한 평가도구를 중점적으로 검증하는 연구를 실시한다. 한편 평가정책, 절차, 도구가 결합된 국가기록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전문가 및 시민단체의 검증을 거쳐 모형을 개선한다. 아울러 새로운 평가모형 적용이 정부기관에 미칠 수 있는 정책파급효과를 분석한다.
각 단계별 과제를 중심으로 연구방법론을 설계하였으며 중앙행정기관 2곳, 국가기록원, 서울시를 대상으로 실증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설계안을 적용한 실행연구를 시도하여 연구결과의 실행가능성을 높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