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중국 대도시지역 자동차산업시장에 존재하는 친환경정책의 실효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co-Friendly Policies in the Chinese Automobile Marke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B5A07070706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9월 01일 ~ 201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박미정
연구수행기관 부산과학기술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수의 연구 목적은 다음 네 가지로 귀결된다.
    첫째, 현재 중국은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성장패러다임 전환기를 맞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 자동차산업시장에도 영향을 미쳐 수요와 공급 체계 및 관련 산업의 정부 정책에 중요한 동인(動因) 변수가 되고 있다. 최근 중국 자동차산업시장에서 보이는 질적 성장 동력 모색을 위한 친환경적 접근 움직임이 이를 반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이후 중국 자동차산업시장 전반에 나타나는 발전 현황과 추세, 정부 정책의 변동 사항 등에 관해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자동차산업시장의 거시적 발전 흐름을 우선 조망하고자 한다.
    둘째, 중국 정부는 대도시지역의 심각한 대기오염방지 대책으로 역사상 유례없는 강력한 규제 조치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대기오염방지법안을 내놓았다. 또한 타도시 운행제한, 자동차구매제한, 신차등록제한, 친환경차 할당쿼터제 등 지역별로 차별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환경정책을 통해 자동차시장에 구조 조정이 일고 있다. 이러한 정부 정책들은 일부 도시에서 교통 체증 감소, 대기오염 완화 등 다소 성과를 보이는 듯 하나 일시적 임시방편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기오염의 심각성에 대한 검토를 전제로 중국 정부의 자동차구매제한정책을 비롯한 환경규제정책들에 대해 심층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동차산업시장 발전에 중요 변수가 되고 있는 차별적 친환경정책이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될 지 전망해보고 정책의 지속가능성에 관해 고찰하고자 한다.
    셋째, 중국 정부의 차별적 환경 규제 정책에 주목하여 중국 대도시 지역 자동차시장에 존재하는 환경 우호적 정책들과 경제 성장 중심의 환경 비우호적 정책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류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정책 간 상호 이해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제도적 문제점과 정부의 정책 수립상의 한계점을 규정하여 중국 자동차시장에 존재하는 친환경적 정책의 실효성에 대해 심층 분석하고자 한다.
    넷째, 본 연수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중국 자동차산업시장에 진출한 개인이나 우리 기업, 한국 정부에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ⅰ) 항시 가변적인중국 자동차시장 환경의 위험 요인을 파악하여 미리 점검하고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중국 산업 전반에 걸쳐 중국 정부가 내놓는 정책들은 거의 일방적·차별적·배타적 성격을 띠고 있다. 특히 자동차산업시장은 비교적 높은 수준의‘규모의 경제’를 보이는 기간산업에 속하므로 개인 혹은 외국기업 입장에서 정부 정책 문턱을 넘기가 쉽진 않다. 이러한 제도적 장벽에 적절히 대응 공략하기 위해서는 심도 깊고 유용한 정보가 한층 요구된다. 현 시점에서 정책 실효성 연구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과 관련 정보 등은 제도적 대응 방안 모색에 시기적절한 자료 제공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 사회적 ․ 산업적 기여도

    한 국가의 정책 변화는 경제성장 추세와 관련이 깊다. 최근 중국은 중속성장기에 진입하며 산업 전반에 구조 조정이 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근거하여 다음의 세 가지 학문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중국 자동차산업시장의 발전 현황 및 추이, 변화 분석에 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자료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중국 자동차산업시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제도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정부 정책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 정책 간 충돌 사례 등 그 연구 영역이 더욱 확장되는 발판이 마련될 것이다. 셋째, 인접 국가이자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는 중국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줄 것이다.
    본 연수 결과를 활용하여 다음의 사회적, 산업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중국의 대기오염 문제에 관해 사회적, 국가적 이슈로 다방면에 걸쳐 검토하고 정부 정책에 담긴 함의와 실효성에 관해 분석하는 기회가 된다. 둘째, 본 연수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국내외 자동차산업시장 종사자나 진출 희망 기업들에게 위험 변수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중국 자동차산업시장에 대한 정책 연구를 통하여 시장 상황에 대한 변동 변수를 반영하고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시기적절하고 실효성 있는 산업 전략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2) 교육과의 연계활용 방안

    현대사회를 살면서 중국과의 교류는 당연한 일상처럼 여겨진다. 인접 국가이자 경제 파트너인 우리로서는 중국의 변화 움직임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특히 경제 분야는 더욱 그러하다. 중국을 움직이는 가장 큰 특징은 강력한 정부의 리더십이다. 중국 정부의 정책들은 때론 애매모호하거나 보이지 않는 규제나 장벽이 존재하기도 한다. 중국의 자동차시장 관련 정책들도 예외는 아니다. 현 시점에서 다양한 컨텐츠로 중국을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는 대학 교육이 절실해지는 이유이다. 이상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교육과의 연계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중국 자동차시장에 대한 전문 지식과 정보를 관련 전공분야와 연계하여 글로벌 대학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물은 글로벌 경제 측면에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고 인력양성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세계적인 대학들은 중국의 경제성장이 지속가능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보이며 이와 관련한 교육과정개발 및 인력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학계에 중국 경제 지식에 대한 저변을 형성하는 긍정적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본 연수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 및 결과를 토대로 지침서를 저술하여 관련 업무 종사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며 향후 저서의 형태로 출판하여 대학 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 연구요약
  • 현재 중국은 세계 최대의 자동차산업 시장이다. 규모면에서 한국의 15배에 달하며 중국 경제 성장의 한 축으로 꾸준한 발전을 이어왔다. 2008년 말 글로벌 금융위기와 유럽 재정위기로 인한 국제적 경기 침체 속에서도 내수시장에 힘입어 자동차판매량은 지속적 증가 추세를 보여 왔다. 정부 주도로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대도시지역은 일명‘마이카 사회’로 진입했으며 이러한 추세는 자동차산업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되었다.
    중국 자동차산업시장의 급성장은 대도시 지역에 심각한 대기오염을 가져왔다.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아황산가스와 매연 배출량 증가는 자동차 보급 확산과 관련이 깊다. 대도시 지역의 자동차 수요가 매년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최근 몇 년 사이 수도 베이징을 비롯한 성장거점 도시군에 스모그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중국 대도시 지역의 교통 문제도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다. 도시 인프라 설비가 매년 늘어나고 있으나 높아진 자동차구매력으로 차량소유가 급증세를 보이는데 비해 도로망 수급 속도는 따라가지 못하는 실정이다. 주차난은 더욱 심각한데 대도시 지역의 비동력차량(非机动车:자전거 등) 수는 급감하는 반면 일반 엔진차량 수는 급증하고 있어 이로 인한 주차난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2015년 상하이 중심지역의 주차 공간 부족수는 130만 대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상하이시 환경보호국 2017)
    중국 정부는 대도시 지역의 대기오염과 교통체증 문제 해결을 위해 친환경 법안을 마련하고 적극적 규제 강화 정책을 발표 시행하고 있다. 최근 발표한 대기오염방지법안(大气污染防治法 2015)은 역사상 유례없는 강력한 환경 규제 조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역별로 차별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환경 우호 정책들로 타도시 간 운행제한, 자동차구매제한, 신차등록제한, 친환경차 할당쿼터제 등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들은 일부 도시에서 교통 체증 감소, 대기오염 완화 등 다소 성과를 보이는 듯 하나 일시적 임시방편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이에 본 연수에서는 중국 대도시지역의 자동차시장에 존재하는 환경정책과 관련하여 환경 우호적 정책들과 경제성장 중심의 환경 비우호적 정책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류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동차산업시장에서의 정책 지향점 및 제도적 문제점을 검토하고 정책 수립상의 한계점을 규정하여 중국 자동차시장에 존재하는 친환경 정책의 실효성에 대해 심층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수와 관련한 선행연구 동향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 주제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국내 연구의 경우 학술적 연구 사례로 대다수가 중국 자동차산업시장이나 환경산업과 관련한 종합적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중국 자동차산업시장 관련 국내 연구 자료는 일부 법안과 정책의 특징 소개, 발전 현황에 대한 통계나 조사 자료들을 활용하여 향후 전망과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자동차산업시장과 관련하여 연구된 환경정책 자료는 주로 대기오염의 원인 분석과 방지 대책, 대기오염법 및 환경오염법에 관한 내용과 특징 등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수행을 위하여 중국 및 해외의 실증적 자료가 많이 활용될 것으로 보이며 아울러 앞으로 관련 국내 연구가 더욱 활발해져 유용한 정보들이 두루 공유되길 바라는 바이다.
    본 연수의 시간적·공간적 범위를 다음과 같이 한정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시간적 연구범위는 2000년에 ‘대기오염방지법’ 제정을 시작으로 2015년 同 법안이 개정되어 시행되고 있는 최근까지를 포함시켜 검토하고자 한다. 급속한 도시화 추진으로 대도시 지역 중심으로 자동차산업시장이 활기를 띠기 시작한 시점이기도 하다. 둘째, 공간적 연구범위는 현재 대기오염 상황이 심각하여 자동차구매제한정책을 비롯한 환경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텐진(天津), 충칭(重慶) 등 4개 직할시를 대상으로 한다. 그밖에 연구 대상과 관련 있는 도시와 사건, 정부 정책들도 연구범위에 포괄적으로 포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 세 가지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전개하고자 한다.
    첫째, 중국 자동차산업시장 구조 체계 전반에 걸친 종합적 정보 분석을 위하여 한국과 중국 및 관련 해외국가의 문헌연구 자료나 각종 인터넷 자료를 활용하고자 한다.
    둘째, 본 연구의 주제와 내용에 최대한 부합되는 정책 자료들을 모아 시기별, 정책 목적별 등 연구에 활용될 기준별 분류 정
    리한다.
    셋째, 이상의 연구방법을 종합하여 중국 자동차시장에 존재하는 차별적 친환경 정책의 실효성에 대해 면밀히 분석하고 유용한 정보 자료로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초점은 중국 대도시지역의 자동차시장에 존재하는 환경정책과 관련하여 환경 우호적 정책들과 경제성장 중심의 환경 비우호적 정책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자동차산업시장에서의 정책 지향점 및 제도적 문제점을 검토하고 정책 수립상의 한계점을 규정하여 중국 자동차시장에 존재하는 친환경 정책의 실효성에 대해 심층 분석하고자 한다.
    현 시점에서 본 연수가 필요한 이유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최근 중국은 경제성장률 6%대의 뉴노멀시대(New normal:중속성장시대)로 진입하며 시대전환기를 맞고 있다. 성장 패러다임의 새로운 변화는 자동차산업시장 전반에도 나타나고 있으며 정부 정책에 적극 반영되고 있다. 현 시점에서 중국 자동차시장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큰 정부 정책에 대한 종합적 분석 시도는 학문적ㆍ산업적으로 유용하고 시기적절한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는 중국 자동차산업시장과 관련하여 현재 중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심각한 환경문제를 함께 다루고 있다. 수도 베이징을 비롯한 대도시 지역은 잦은 스모그 발생으로 시민들의 생존권마저 위협받고 있다. 이에 현 시점에서 중국의 대기오염 문제에 관해 학문적, 사회적, 국가적 이슈로 다방면에 걸쳐 살펴보고 중국 정부의 친환경 정책이 가지는 함의에 관해 심도 있게 고찰해볼 필요성이 있다.
    셋째, 중국 시장 경제의 가장 큰 특징은 정부의 강력한 리더십이다. 정부 정책들이 국제 시장 정세나 국내 상황에 따라 수시로 발표, 변경, 추가되어 기업이나 사업자의 실무 환경에 있어 가변성에 대한 부담이 항시 뒤따른다. 중국 자동차산업시장 진출에 관심 있는 개인이나 기업에 중국 시장 현황 및 환경적 위험 요소와 제도적 장벽 등에 대비한 유효한 대응 방안을 제시해줄 적절한 시기라 판단된다.
  • 영문
  •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olicies that exist in the automobile market in the metropolitan area of China systematically and in depth. Through this, will review the direction and institutional problems of government policy in the Chinese auto industry market. Ultimately, the research objective is to analyze in depth the effectiveness of eco-friendly policies existing in the Chinese auto market by defining the limits in policy making.
    There are three reasons why this training is required at this point. First, China has recently entered the New Normal era with an economic growth rate of 6 percent. A new shift in the growth paradigm is also seen across the auto industry market and is actively reflected in government policies. At this point,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y is likely to act as an important variable for the auto market. Therefore, a comprehensive analysis attempt on this will be a useful and timely study both academically and industrially.
    Second, this study deals with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occurring within the Chinese auto industry market. The capital, Beijing, and other metropolitan areas are even threatened by frequent smog outbreaks. Therefore, at this point, we need to look at China's air pollution problem in various fields as academic, social and national issues and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Chinese government's eco-friendly policies.
    Third,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market economy is the strong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Government policies will be announced, changed and added from time to time, depending on the international market situation or domestic situation. Consequently, there is a high degree of variability in the business environment of the entity or the operator. Now is the right time to present a valid response to individuals or businesses interested in entering the Chinese auto indust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중국 자동차산업시장의 급성장은 대도시 지역에 심각한 대기오염을 가져왔다.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아황산가스와 매연 배출량 증가는 자동차 보급 확산과 관련이 깊다. 대도시 지역의 교통 문제도 심각하다. 도시 인프라 설비가 매년 늘어나고 있으나 높아진 자동차구매력으로 차량소유가 급증세를 보이는데 비해 도로망 수급 속도는 따라가지 못하는 실정이다. 중국 정부는 도시교통과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대도시를 중심으로 자동차 관련 제한정책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정책적 측면에서 보면 현재 중국의 자동차산업시장은 동종 업종과 관련하여 환경 우호적 정책을 포함한 여러 정책들이 혼재해 있다. 시장 발전 상황과 산업 환경의 변화 요인에 따라 다양한 정책 변수가 존재하며 최근 중국 자동차산업시장을 둘러싼 정부 정책들은 외부 환경에 의한 시장 상황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산업 관련 정책 수립 시점의 중국 국내외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책 목적을 분석하고 궁극적 지향점을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초점은 중국 대도시지역의 자동차시장에 존재하는 환경정책과 관련하여 환경 우호적 정책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자동차산업시장에서의 정책 지향점 및 제도적 문제점을 검토하여 중국 자동차시장에 존재하는 친환경 정책의 실효성에 대해 심층 분석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 결과
    중국 정부는 대도시 지역의 대기오염과 교통체증 문제 해결을 위해 친환경 법안을 마련하고 적극적 규제 강화 정책을 시행 중이다. 대기오염방지법은 대도시지역의 대기오염방지 대책으로 역사상 유례없는 강력한 규제 조치라는 평가를 받는 법안이다. 환경 우호적 성격을 띤 자동차구매제한정책, 친환경자동차 개발 및 보급 촉진 정책(이하 친환경차정책)도 포함된다. 이러한 환경 우호적 자동차산업정책들은 구체적 영역의 틀에서 자동차산업시장의 정책 범주에 포함되며 각 정책에 관한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각에서는 자동차구매제한정책이 임시방편에 지나지 않으며 시장경제 체제에서 자동차 소비를 정책으로 제한하는 정책이 과연 정당한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이러한 주장은 중국의 교통체증은 규제가 아닌 도시기능 재정비를 통해 근본적으로 해결해가야 함을 강조한다. 도시 내 의료, 교육, 거주시설 등이 생활 환경에 편리한 접근성을 갖추도록 재정비하여 개인의 자동차 구매나 이용이 불필요해지는 환경을 조성해야한다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종합적으로 중국 대도시의 자동차구매제한정책 실시는 득과 실이 모두 존재한다고 볼 수 있으나 교통과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중국의 자동차산업은 대도시의 경제성장과 자동차산업 발전에도 영향을 주는데 총체적으로 득보다 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도시 대기오염문제에 대한 중국 정부의 정책적 대처가 이전에 비해 적극적인 것은 사실이다. 국제사회에 환경오염대국으로 인식되면서 지금까지의 미온적 대처 자세에서 조금씩 변화를 보이는 정도로 평가된다.
    중국은 빠른 경제성장, 소득향상에 의한 구매력 상승, 로컬기업과 외자기업 간 치열한 경쟁이 가져온 자동차 가격의 하락세 등으로 자동차산업시장에서 급속한 성장을 해왔다. 하지만 2016년 이후부터 로컬기업의 판매량 증가세가 감소하고 고급 브랜드 수요가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자동차 시장에서 저가, 저품질 부품은 더는 경쟁력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핵심기술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친환경자동차 관련 정책은 로컬기업들에 대한 신기술 개발 지원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시중에 판매된 신에너지 자동차는 기술력 미달, 디자인 수준 부족, 품질 안정성 결핍 등 원인으로 사용 만족도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배터리 수명도 한계 연한에 다다르고 있다. 환경보호와 에너지 절감이라는 측면에서 취지는 좋은 정책이긴 하나 친환경차 가격은 일반 승용차에 비해 상당히 고가로 정부 보조금 혜택이 있더라도 구매 수요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며 생산량과 판매량이 정부 목표치에 못 미치게 현실이다.
    이러한 정책들은 대체적으로 중국 정부가 기획하고 관련 부처나 기업이 따라 가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시장상황이 좌우되는 모습을 보여 왔다. 따라서 양자 간 모순은 정도의 차이는 있겠으나 중국 정부가 어느 산업에 초점을 더 둘 것인지, 혹은 얼마나 깊숙이 개입할 것인지에 따라 달려 있다고 하겠다. 종합적으로 추후 중국 자동차 시장으로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들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좀 더 세밀하게 중국시장을 분석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고급차량에 적용되는 고품질의 부품을 개발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중국의 자동차 산업에 관한 정책 트렌드를 파악하여 해당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한다면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2) 교육과의 연계활용 방안
    다음과 같이 교육과의 연계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중국 자동차시장에 대한 전문 지식과 정보를 관련 전공분야와 연계하여 글로벌 대학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물은 글로벌 경제 측면에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고 인력양성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세계적인 대학들은 중국의 경제성장이 지속가능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보이며 이와 관련한 교육과정개발 및 인력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학계에 중국 경제 지식에 대한 저변을 형성하는 긍정적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본 연수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 및 결과를 토대로 지침서를 저술하여 관련 업무 종사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며 향후 저서의 형태로 출판하여 대학 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 색인어
  • 중국 자동차산업시장, 중국 친환경정책, 중국 자동차구매제한정책, 중국 친환경차, 중국 대기오염방지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