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문재인 정부의 대북·통일정책과 한반도 평화증진과제
Moon Jae-in Administration’s North Korea and Unification Policy and Tasks for Promo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B5A07071043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9월 01일 ~ 201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강녕
연구수행기관 충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지난 2017년 5월 10일 대한민국 제19대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함으로써 문재인 정부가 출범했다. 최근 한반도 정세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로 인한 전쟁분위기에서 대화분위기로 rmㅂ1ᅟᅧᆫ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현 문재인 정부의 대북·통일정책이 여타 정부에 비해 어떠한 특징(공통성과 차별성)을 지니고 있고 현재 어떻게 추진되고 있으며 향후 한반도 평화증진과제는 무엇인가에 대해 고찰·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의 대북·통일정책의 특징분석에 이어 전쟁위기직전까지 치달았던 한반도가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북한의 비핵화와 관련한 평화분위기로의 급반전된 이후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증진과제를 고찰·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현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방향은 대선과정의 공약, 국정과제, 베를린 구상, 광복절 경축사 등을 통해 밝혀오다가 지난 2017년 11월 ‘문재인의 한반도정책’으로 정리하여 제시했다. 즉 2대 비전, 3대 목표, 4대 전략, 5대 원칙이 바로 그것이다. 그동안 우리정부가 북한을 대화·교류협력의 상대자로 인정한 이래 ‘선평화후통일’의 대북·통일정책의 기조를 유지해왔다. 문재인 정부출범이전 20여 년은 진보정부 10년, 보수정부 9년을 거치면서 대북·통일정책도 시계추처럼 진보에서 보수를 오갔다. 문재인 이전정부와 현 문재인 정부의 대북통일정책은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있고 어떠한 접근방식을 취해왔기에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이후 북한의 핵·미사일시험도발로 인한 전쟁분위기가 북한의 비핵화와 관련한 남북정상회담 개최와 북미정상회담 추진으로 이어지게 된 것이며, 향후 문재인정부의 한반도 평화증진과제는 무엇인지를 고찰·분석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은 크게 보아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가 취한 대북포용 패러다임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하지만 ‘대북정책’이라는 표현 대신 ‘한반도정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전정부와 차이 및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역사적 접근방법 및 법률적·제도적 접근방법을 취하고자 한다. 그리고 대북정책의 방향과 관련해서 정치철학적 접근방법, 북한의 핵문제해결과 관련해서는 외교·군사·경제 등의 포괄적 접근도 시도하고자 한다. 문재인 대통령의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의 2차례에 걸친 남북정상회담(제3차 정상회담: 2018.4.27.,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 제4차 정상회담: 2018.5.26., 판문점 북측 판문각) 그리고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북미 정상회담(2018.6.12., 싱가포르)이후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정책은 매우 중요한 의미와 파장을 지니게 될 것인바 이러한 변화이후 한반도의 평화증진과제를 정리해보고 정책적 제언을 하기 위한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관련 연구·교육 자료로는 물론, 정책입안과정에서도 미력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다소 산만한 감이 없지 않은 우리정부의 대북정책과 관련된 개념 및 이론의 정리를 통해 우리정부 특히 김대중 정부이후 대북포용정책에 대한 체계적 인식·설명과 관련해서이다. 문재인 정부와 이전정부의 정책의 비교분석을 통해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명확한 인지와 관련해서 이와 관련해서 이해를 얻고자 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대북포용정책과 대북봉쇄정책으로 대별해볼 경우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은 더 말할 필요조차 없이 전자에 속한다고 볼 수 있지만,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은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의 대북정책과 맥락을 같이하면서도 차별성도 지니고 있는바 이를 비교·정리함으로써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평창올림픽이후 한반도 정세변화 즉 남북·북미정상회담 현황과 전망분석을 통해 남북관계에 있어서 남북대화와 교류협력의 중요성 및 한반도 평화통일외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평창올림픽이후 크게 변화된 한반도 정세변화를 고려한 향후 문재인 정부의 추진과제 및 방향, 한반도 평화증진과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줄 것이다. 평창올림픽기간 중 문재인 정부의 특사외교를 활용한 한반도 분위기 반전외교는 괄목할만한 큰 성과를 거두어왔다. 2차례의 남측 ‘평화의 집’과 북측 ‘판문각’에서의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여 한반도 평화증진을 위한 합의 및 파행적 위기를 보인 비핵화와 관련한 북미정상회담의 지속노력에 양측이 뜻을 모으기도 했다. 평창올림픽기간에 합의한 남북·북미정상회담의 개최합의의 후속적인 정상회담추진 및 합의사항이행은 한반도의 평화증진에 있어서 중대한 파장을 불러올 것임에 분명하다. 이러한 정세변화에 따른 향후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증진과제의 분석·정리는 후속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론에서의 정책제언은 향후 우리정부의 대북정책의 추진·발전·보완과 관련해서 아이디어를 제공함으로써 다소나마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의 대북·통일정책과 한반도 평화증진과제를 분석·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우리정부는 북한을 대화·교류협력의 상대자로 인정한 이래 ‘선평화 후통일(先平和 後統一)’의 대북·통일정책의 기조를 유지해왔다. 지난 20여 년 동안 진보정부 10년, 보수정부 9년을 거치면서 대북·통일정책도 시계추처럼 진보에서 보수를 오갔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방향은 대선과정의 공약, 국정과제, 베를린 구상, 광복절 경축사 등을 통해 밝혀오다가 지난 2017년 11월‘문재인의 한반도정책’으로 정리하여 제시했다. 즉 2대 비전, 3대 목표, 4대 전략, 5대 원칙이 바로 그것이다. 문재인 정부는 대북포용 패러다임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대북정책’이라는 표현 대신 ‘한반도정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지난 2018평창올림픽기간 중 남북·북미정상회담의 개최합의가 이루어진 이래 남북이 남측의 ‘평화의 집’과 북측의 판문각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바 있다. 향후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증진과제는 ①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 ②남북대화재개 및 남북기본협정체결, ③남북교류협력재개 및 활성화, ④이산가족상봉, 북한인권개선 등 인도적 문제해결, ⑤대내외적 평화통일 공감대의 확산이다. 한반도 평화증진은 선택이 아닌 시대적 요구라 할 수 있다. 남북한의 평화번영은 동북아의 평화번영은 촉발시키게 될 것인바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정책(평화와 번영의 한반도)의 성과적·성공적인 추진은 한반도 평화번영의 중요한 바로미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과거-현재-미래의 연계 속에서 현황분석을 통해 우리정부 특히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을 파악하고 현 상황에서 적실성 있고 우선적인 중요한 한반도 평화증진과제를 도출·종합해보고 정책적 제언을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I. 서론(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범위와 방법), II. 역대정부 대북·통일정책에 대한 분석(1. 문재인 정부이전의 대북정책의 개요, 2. 주요정부의 대북정책의 비교분석), III. 문재인 정부 한반도정책의 배경·비전·목표·전략·원칙(1.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정책의 배경, 2.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정책: 2대 비전과 3대 목표, 3.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의 특징과 추진현황 및 중간평가), IV. 평창올림픽이후 한반도 정세변화: 남북·북미정상회담 현황과 전망(1. 한반도 전쟁위기 분위기에서 비핵화 평화분위기로의 반전, 2. 남북한·북미 정상회담의 추진과 전망), V.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증진과제(1. 평창올림픽이후 기회요인과 도전요인 , 2. 향후 한반도 평화증진을 위한 주요추진과제), VI. 결론: 요약 및 정책적 제언”의 순서로 고찰·분석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대한민국 정부수립이래 본 연구가 한국연구재단 시간강사지원사업으로 채택될 경우 보고서의 제출시한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주로 문헌연구 중심으로 하되 대북·통일정책 관련 연구기관의 방문을 통한 자문·면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에 대비하라.”는 격언도 있지만, “평화를 원하거든 평화(여건)를 조성하라.”는 격언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보와 평화통일은 상호 조화롭게 추진되어야 한다는 절충적·상호연계적 관점에서 분석·고찰해보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국문요약]
    문재인 정부의 대북·통일정책과 한반도 평화증진과제
    김강녕(조화정치연구원)
    본 논문은 문재인 정부의 대북·통일정책과 한반도 평화증진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정부는 북한을 대화·교류협력의 상대자로 인정한 이래 ‘선평화 후통일’의 대북·통일정책기조를 유지해왔다. 지난 20여 년 동안 진보정부 10년, 보수정부 9년을 거치면서 대북·통일정책도 ‘대북포용’에서 ‘대북압박’으로 진보에서 보수를 오갔다. 문재인 정부는 대선과정의 공약, 국정과제, 베를린 구상, 광복절 경축사 등을 통해 대북·통일정책방향을 밝혀오다가 2017년 11월 ‘문재인의 한반도정책’으로 정리·제시했다. 즉 2대 비전, 3대 목표, 4대 전략, 5대 원칙이 바로 그것이다. 문재인 정부는 대북포용 패러다임에 바탕을 두고서 ‘대북정책’ 대신 ‘한반도정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향후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정책 추진과제는 ①북핵문제해결과 평화체제구축, ②남북대화재개 및 남북기본협정체결, ③남북교류협력재개 및 활성화, ④이산가족상봉, 북한인권개선 등 인도적 문제해결, ⑤평화통일 공감대의 확산이다. 문재인 정부는 2018평창올림픽을 평화올림픽으로 승화시켜 3차에 걸친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키고 2차에 걸친 북미정상회담의 중재역도 해왔는데 향후 평화증진과제를 어떻게 수행하느냐가 한반도 평화정착의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다. 우리는 튼튼한 안보와 국제적 공조 바탕위에서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정착에 중지와 역량을 모으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때라 생각된다.

    주제어 : 문재인 정부, 대북·통일정책, 한반도정책, 한반도 평화증진, 선평화 후통일, 대북포용 패러다임, 남북대화·교류협력, 북한의 비핵화
  • 영문
  • <Abstract>

    Moon Jae-in Administration’s North Korea and Unification Policy and Tasks for Promo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Kim, Kang-Nyeong(Institute of Global Harmony)

    This paper is to analyse Moon Jae-in administration’s North Korea and unification policy and tasks for promo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Republic of Korea’s past administrations have maintained the keynote of ‘First Peace, Next Unification’ policy since they acknowledged the North as a partner to dialogues and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the past two decades, our administrations have gone through 10 years of progressive administration and 9 years of conservative administration, and policies on reunification and North Korea have come and gone in advance like clockwork. Moon Jae-in administration has provided the directions for North Korea policy in the process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manifesto, the 100 Point National Policy Agenda, Berlin Initiative, address on the 72nd Anniversary of Liberation etc. and then published ‘Moon Jae-in’s Policy on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provide that direction in November 2017. That is, the two visions, the three goals, the four strategies and the five principles. Moon Jae-in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 North Korea is based on a step-by-step-comprehensive approach and embracing paradigm and the term ‘Korean Peninsula Policy’ is used instead of ‘North Korea Policy.’ Our government's future tasks are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establish a peace regime, resume inter-Korean dialogues and exchanges, prepare the basis for its systematic efforts, and expand the consensus on peaceful reunification, etc. First of all, it is time to make all-out efforts to promot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successful hosting and mediation of the inter-Korean summit and North Korea-U.S.A summit. It is time for us to make our utmost efforts to bring about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and peaceful settlement of the Korean Peninsula on the basis of strong securit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Key Words: Moon Jae-in’ Administration,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Policy, the Korean Peninsula Policy, Promo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First Peace, Next Unification’ Policy, Inter-Korean Dialogue-Exchange and Cooperation,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국문요약]
    문재인 정부의 대북·통일정책과 한반도 평화증진과제
    김강녕(조화정치연구원)
    본 논문은 문재인 정부의 대북·통일정책과 한반도 평화증진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정부는 북한을 대화·교류협력의 상대자로 인정한 이래 ‘선평화 후통일’의 대북·통일정책기조를 유지해왔다. 지난 20여 년 동안 진보정부 10년, 보수정부 9년을 거치면서 대북·통일정책도 ‘대북포용’에서 ‘대북압박’으로 진보에서 보수를 오갔다. 문재인 정부는 대선과정의 공약, 국정과제, 베를린 구상, 광복절 경축사 등을 통해 대북·통일정책방향을 밝혀오다가 2017년 11월 ‘문재인의 한반도정책’으로 정리·제시했다. 즉 2대 비전, 3대 목표, 4대 전략, 5대 원칙이 바로 그것이다. 문재인 정부는 대북포용 패러다임에 바탕을 두고서 ‘대북정책’ 대신 ‘한반도정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향후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정책 추진과제는 ①북핵문제해결과 평화체제구축, ②남북대화재개 및 남북기본협정체결, ③남북교류협력재개 및 활성화, ④이산가족상봉, 북한인권개선 등 인도적 문제해결, ⑤평화통일 공감대의 확산이다. 문재인 정부는 2018평창올림픽을 평화올림픽으로 승화시켜 3차에 걸친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키고 2차에 걸친 북미정상회담의 중재역도 해왔는데 향후 평화증진과제를 어떻게 수행하느냐가 한반도 평화정착의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다. 우리는 튼튼한 안보와 국제적 공조 바탕위에서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정착에 중지와 역량을 모으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때라 생각된다.

    <Abstract>

    Moon Jae-in Administration’s North Korea and Unification Policy and Tasks for Promo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Kim, Kang-Nyeong(Institute of Global Harmony)

    This paper is to analyse Moon Jae-in administration’s North Korea and unification policy and tasks for promo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Republic of Korea’s past administrations have maintained the keynote of ‘First Peace, Next Unification’ policy since they acknowledged the North as a partner to dialogues and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the past two decades, our administrations have gone through 10 years of progressive administration and 9 years of conservative administration, and policies on reunification and North Korea have come and gone in advance like clockwork. Moon Jae-in administration has provided the directions for North Korea policy in the process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manifesto, the 100 Point National Policy Agenda, Berlin Initiative, address on the 72nd Anniversary of Liberation etc. and then published ‘Moon Jae-in’s Policy on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provide that direction in November 2017. That is, the two visions, the three goals, the four strategies and the five principles. Moon Jae-in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 North Korea is based on a step-by-step-comprehensive approach and embracing paradigm and the term ‘Korean Peninsula Policy’ is used instead of ‘North Korea Policy.’ Our government's future tasks are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establish a peace regime, resume inter-Korean dialogues and exchanges, prepare the basis for its systematic efforts, and expand the consensus on peaceful reunification, etc. First of all, it is time to make all-out efforts to promot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successful hosting and mediation of the inter-Korean summit and North Korea-U.S.A summit. It is time for us to make our utmost efforts to bring about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and peaceful settlement of the Korean Peninsula on the basis of strong securit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지난 20년간 즉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의 10년간의 대북포용정책과 9년간의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의 9년간의 대북압박정책의 비교를 통해 우리는 적지 않은 교훈을 얻었다. 분명한 것은 남북관계개선을 통해 장기적으로 한반도 평화체제를 이루기 위해서는 차가운 이성과 따뜻한 마음이 함께 조화를 이루는 남북간의 신뢰형성이 필수적인 것이며 단견적·피상적인 실용주의 혹은 상호주의 접근방식만으로는 달성이 어렵다는 점을 본 연구를 통해 확신할 수 있었다. 또한 한반도 평화증진을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서로간의 신뢰를 잃지 않으면서 북핵문제, 남북관계 등의 현안을 새로운 주변질서와 국제적 네트워크를 통해 풀어나가려는 자세, 남북관계에 대한 국민적 합의도출, 상호주의 및 실용주의 접근에 국한하지 않은 지속적인 대북포용정책의 고려, 그리고 한반도 평화·경제공동체의 추진 등임을 본 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적·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정책은 남북관계는 물론, 평화와 통일, 신경제지도구상 등 한반도의 미래를 이끌어갈 포괄적 구상이다. 남북·북미정상회담의 합의문의 구체적인 이행 및 후속회담의 추진을 통한 한반도 평화증진과제가 부과되어 있다. 현재 우리에게 주어진 우선적인 중요과제는 평창올림픽이후 조성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어떻게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인가 하는 점이다.
    향후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정책 추진과제는 ①북핵문제해결과 평화체제구축, ②남북대화재개 및 남북기본협정체결, ③남북교류협력재개 및 활성화, ④이산가족상봉, 북한인권개선 등 인도적 문제해결, ⑤평화통일 공감대의 확산이다. 문재인 정부는 2018평창올림픽을 평화올림픽으로 승화시켜 3차에 걸친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키고 2차에 걸친 북미정상회담의 중재역도 해왔는데 향후 평화증진과제를 어떻게 수행하느냐가 한반도 평화정착의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다.

    2. 활용방안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다소 산만한 감이 없지 않은 우리정부의 대북정책과 관련된 개념 및 이론의 정리를 통해 우리정부 특히 김대중 정부이후 대북포용정책에 대한 체계적 인식 및 설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평창올림픽이후 한반도 정세변화: 남북·북미정상회담 현황과 전망분석을 통해 남북관계에 있어서 남북대화와 교류협력의 중요성 및 한반도 평화통일외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결론에서의 제언은 향후 우리정부의 대북정책수립 및 발전에 있어서도 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기존 대북·통일정책의 특징비교, 문재인 정부의 대북·통일정책 및 평화증진과제분석 및 결언 등은 후속연구에 적게나마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과 관련해서 본 연구자는 후속연구 및 관련 강의·특강자료는 물론, 통일정책자문과정에서 활용할 계획이다. 분석내용과 관련해서 문재인 정부와 이전정부의 정책의 비교분석을 통해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명확한 인지와 관련해서 이와 관련해서 이해를 얻고자 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대북포용정책과 대북봉쇄정책으로 대별해볼 경우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은 더 말할 필요조차 없이 전자에 속한다고 볼 수 있지만,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은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의 대북정책과 맥락을 같이하면서도 차별성도 지니고 있는바 이를 비교·정리함으로써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평창올림픽이후 크게 변화된 한반도 정세변화를 고려한 향후 문재인 정부의 추진과제 및 방향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문재인 정부의 향후 대북정책의 추진과제를 평창올림픽기간 중 문재인 정부의 특사외교를 활용한 한반도 분위기 반전외교는 괄목할만한 큰 성과를 거두어왔다. 즉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바로 그것이다. 평창올림픽기간에 합의한 남북·북미정상회담의 개최합의의 후속적인 정상회담추진 및 합의사항이행은 한반도의 평화증진에 있어서 중대한 파장을 미치고 있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이러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와 관련한 정세변화에 따른 향후 추진과제의 분석·정리는 후속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본 연구자는 “문재인 정부의 대북·통일정책과 한반도평화증진과제”라는 본 연구를 심층적인 후속연구물로 발전시켜 활용할 계획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연구자가 연구중인 국제관계론, 북한체제론, 남북한관계론, 남북한 외교·안보·통일론 등의 이론적 연구발전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출강하는 대학·대학원 강의 및 기타 관련주제의 특강에서 교육자료로, 그리고 민주평화통일자문과 관련해서 정책제언자료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 색인어
  • 주제어 : 문재인 정부, 대북·통일정책, 한반도정책, 한반도 평화증진, 선평화 후통일, 대북포용 패러다임, 남북대화·교류협력, 북한의 비핵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